스티브잡스(5)
-
나 자신과 마주하는 체험, 마크 로스코展
그림 속에 녹아있는 화가들의 삶은 작품 감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멕시코의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는 교통사고로 얻은 후유증으로 외로움과 고통 속에서 혼자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주체인 자화상을 많이 그렸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에드바르트 뭉크는 어린 시절 겪은 연이은 가족의 죽음으로 공포가 작품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대체로 화가가 살아오면서 받은 영향이나 주체가 그림에 투영되곤 하는데 반대로 화가의 생보다는 감상하는 이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화가가 있습니다. 그림의 한계를 넘어서기 올 6월 28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리는 마크 로스코 전은 일반적으로 작품을 보러 가는 게 아닌 회화와 직접 대면하고 관람자 자신과 마주하는 만남을 체험하게 됩니다. 현대의..
2015.04.20 -
완벽주의의 역설
비범한 성공을 거둔 완벽주의자들 애플의 스티브 잡스, 바이올린 연주자 정경화,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개그맨 이경규, 가수 보아. 국적도 성별도 나이도 직업도 다르지만 이들을 아우르는 하나의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완벽주의(perfectionism)’입니다. 하나같이 자타가 공인하는 것처럼 적당한 수준에 머무르거나 만족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비범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들의 탁월한 퍼포먼스를 보면 과녁 정중앙을 맞히는 ‘퍼펙트 골드’가 연상됩니다. 잡스는 깔끔함과 단순함 추구…신종균 삼성전자 사장은 일벌레 2011년 10월, 56세에 췌장암으로 사망한 잡스는 여느 CEO가 그렇듯 자신의 상품이 IT산업에서 최고가 되길 바랐습니다. 컴퓨터의 디자인이나 폰트(서체), 아이콘 등의 ..
2015.04.15 -
직장인, 인문학에 '입문'하다
이공계의 위기를 바라보며 '너희는 위기이기라도 하지, 우리는 이미 죽기 직전'이라고 하소연하던 인문학. 학문의 기본이 되는 인문학이지만 그간 홀대를 받아온 경향도 없지 않은데요. 그랬던 인문학이 최근에는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특히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스터디와 인문학 아카데미까지 열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인문학 열풍의 이유를 한 번 살펴볼까요? 출처 - 서울신문 자기계발과 힐링을 동시에 해결하는 인문학 “소크라테스와 한 끼 식사를 함께 할 수 있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을 내놓을 수 있다.” 아이팟과 아이폰으로 세계를 혁신한 애플의 전 CEO 고 스티브 잡스가 한 말입니다. 실제 스티브 잡스는 살아생전에 애플을 애플답게 만드는 것은 기술과 인문학의 결합에서 나온다고 누누이 강조했었죠. 세계적으..
2013.06.26 -
스티브 잡스 전기작가 월터 아이작슨을 인터뷰하니
작년 10월 24일 스티브 잡스 전기가 나오자마자 허겁지겁 읽었다. 925쪽에 이르는 두꺼운 책을 읽는데 전혀 지루하거나 막힘이 없었다. 왜 아이폰은 배터리를 꺼내서 충전할 수 없는가, 아이팟은 왜 아이튠스를 통해서만 음악을 넣거나 지울 수 있는가, 왜 애플의 모든 기기 이어폰은 흰색인가. 그리고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스티브 잡스가 되었는가. 이런 질문들에 대한 해답이 그 책 안에 모두 있었다. 1시간 만남 위해 비행기로 13시간 이동 그의 히피적인 생각과 생활방식이 어떻게 최첨단의 IT 테크놀로지와 만나 세계 최고의 기업, 최고의 제품을 만들 수 있었는지는 지금도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다. 스티브 잡스를 인터뷰해야만 해결되는 궁금증일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제 어느 누구와도 인터뷰를 할 수 없다. 그래서..
2012.06.05 -
우리에게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인문학 박물관'
“인문학, 얼마나 알고 계세요?” “애플의 DNA에는 기술 뿐만 아니라 인문학이 녹아있다!” 이제는 고인이 된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 2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한 말입니다. 이 말은 많은 창작자와 기업인들에게 커다란 자극이 되었습니다. 대체 인문학이 무엇이길래? 우리는 ‘인문학’에 대해 얼마나 많이, 또 제대로 알고 있나요? 앞서 언급한 잡스의 애플에서 출발해 보겠습니다. 스마트폰이나 mp3 등의 제품은 애플의 출시 이전에도 이미 개발돼 있었습니다. 다만 애플은 기존의 것보다 직관적인 제품을 만들어내고, 하나의 기술 회사라기보다 고유의 문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집중했습니다. 또한 싸고 가볍고 성능 좋은 제품을 넘어서 사람들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윤택하게 만드는 것에 기술 개발의 목적을 두었죠. 그리하여 IT..
201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