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스마트폰 공모전 미디어교육 이벤트 다독다독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책 뉴스리터러시 뉴스 신문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재단(652)

  • 구글, 전자책 저작권 소송 타결의 의미

    2012.10.09
  • 세계대학평가로 보는 한국 대학의 위상

    2012.10.08
  • 한국 다문화가정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살펴볼까요?

    2012.10.05
  • 초등학교 못 마친 노인이 교과서 바꾼 사연

    2012.10.05
  • 서경덕 교수가 말하는 청소년의 꿈을 위한 3가지

    2012.10.04
  • 경제적 가치 1조원, 싸이 열풍 시작과 현재

    2012.10.04
구글, 전자책 저작권 소송 타결의 의미

올해 한국 국회도서관의 장서는 460만 권에 이릅니다. 하지만 당장 그 5배 이르는 책을 언제 어디서나 빌려볼 수 있게 된다면? 인터넷 황제 구글의 전자도서관 프로젝트는 이런 개념으로 2005년부터 추진되어 왔습니다. 세상의 모든 책을 스캔해서 구글 도서관이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로 보관하고 유통해 모든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겠다. 더 이상 책이 절판되어 읽지 못하는 일이 없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는 미국 대형 출판사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옵니다. 그리고 2005년에 시작된 구글과 대형 출판사 그리고 작가 협회의 저작권 소송은 7년이 넘도록 진행되어 왔습니다. 구글 전자도서관 – 인류 지식의 보고 VS 저작권 침해 얼마 전에 다독다독에서 구글이 9월부터 아시아 최초로 우리나라에..

2012. 10. 9. 13:05
세계대학평가로 보는 한국 대학의 위상

며칠 전 영국 타임스 산하 ‘타임스 하이어 에듀케이션’(THE)이 ‘2012 세계대학평가’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세계대학평가에서 포스텍(포항공대)와 서울대가 세계대학평가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네요. 포스텍에 69.4점으로 세계 50위, 서울대가 65.9점으로 세계 59위입니다. 서울대는 지난해까지 124위였다가 65단계나 뛰어올랐습니다. 대학의 학업 성취도를 일관된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옳은 것이냐는 비판도 있지만 세계대학순위가 발표될 때마다 한국 대학은 몇위나 했을지 궁금한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 대학이 세계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또 세계 1위 대학은 어디일지 이런 호기심 때문이겠죠? 오늘은 그 호기심을 함께 풀어가볼까요? [출처-THE 홈페이지] THE 세계대학평가 영국 타임스 산하 타임스..

2012. 10. 8. 10:09
한국 다문화가정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살펴볼까요?

©다독다독

2012. 10. 5. 11:07
초등학교 못 마친 노인이 교과서 바꾼 사연

난 초등학교를 마치지 못한 채 소년 가장이 됐다. 늦둥이 외아들로 아버지가 노쇠하셨기 때문이다. 나도 역시 허약한 데다 농토도 없이 농촌에 사는 건 너무 희망이 없어 혼자 도시로 나왔다. 두어 해 여기저기 헤매며 월급도 제대로 못 받다가 용케도 ○○일보 대구지사에 취직했다. 일요일, 공휴일도 없이 새벽 네 시에 일어나 20여 분 달음박질로 출근하는 게 신이 났다. 서울에서 열차 편으로 온 신문을 배부하고 나면 여유 시간이 생겨 열심히 신문을 읽었다. 50년대는 4면뿐이라 여러 신문을 다 읽었다. 한자가 대부분인 사설과 평론 등도 읽을 수 있었던 건 집에서 아버지한테 ‘명심보감’을 배운 덕분이었다. 4, 5년 꾸준히 읽다 보니 ‘이건 이치에 맞다, 저건 안 맞다’는 판단력이 길러졌고, 글 쓰는 요령도 조금..

2012. 10. 5. 10:12
서경덕 교수가 말하는 청소년의 꿈을 위한 3가지

한국홍보 전문가 서경덕 교수와 가수 김장훈이 타임스퀘어 대형광고판에 종군위안부 관련 광고를 시작했습니다. '기억하시나요?'라는 제목의 이 광고는 한국의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은 일본의 진심어린 사죄를 기다리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 한국과 한국의 문화 그리고 이제 아픔까지 알리고자 노력하는 서경덕 교수님의 강의가 철원 김화고등학교에서 있었습니다. 서경덕 교수는 글로벌시대에 청소년들이 어떻게 꿈을 키워나가야 하는지 자신의 경험을 녹인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들려주셨어요. 서경덕 교수가 말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것 3가지 함께 살펴보실까요? [출처-서울신문] 첫 번째, 글로벌 에티켓을 잘 지키자! 18년 째 한국 문화와 역사를 전 세계에 알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서경덕 교수. 그가 한국..

2012. 10. 4. 13:44
경제적 가치 1조원, 싸이 열풍 시작과 현재

요즘 싸이의 강남스타일 때문에 문화판은 연일 뜨겁습니다. 우리나라 음악계의 50년 숙원이었던 빌보드 점령과 영국 차트 점령 등 꿈같은 일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요. 아직 아쉽게 빌보드 1위의 왕좌를 밟지는 못했지만 2위라는 기록 역시 전무후무합니다. 특히 이 노래가 영미권을 고려하지 않은 순수 한국어 노래라는 점에서 더욱 대단하고요. 이에 싸이는 그 특유의 대범한 딴따라 정신으로 화답했습니다. 10월 4일 빌보드 1위 발표 결과와 상관없이 무료공연을 선보이기로 한 거죠. [출처-박원순 시장 트위터 캡쳐] 이에 박원순 서울 시장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월드스타 싸이의 공연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저녁에 퇴근 하시면 모두 서울 광장에서 만나게 되는 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마법 같은 가을을 보내..

2012. 10. 4. 09:59
1 ··· 82 83 84 85 86 87 88 ··· 10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