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추천도서(6)
-
오늘의 추천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법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계속해 오고 있는 영역을 심화시키는 것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을 위해 소중한 일이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독자들 사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가장 완벽한 지침서로 꼽히고 있는 입니다. 이 책은 단편적인 일회성 미디어 교육이 아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와 비판적 미디어 수용 교육, 창의적 미디어 활용과 생산 교육, 민주시민 교육 등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폭넓은 주제와 활동 사례를 자세하게 소개하며,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다양한 교육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신문·뉴스 활용 교육,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뉴스에 기초한 교육이라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지식, 정보 등을 포괄하는 교..
2021.12.29 -
오늘의 추천도서 – 읽는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문해력? 이제는 맥락을 읽고 세상을 디자인하는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입니다. 이 책은 세상의 본질을 꿰뚫는 능력인 ‘리터러시’에 대해 말해주는데요 이 책의 저자는 ‘문해력’이 아닌, ‘리터러시’를 말해야 하는 시대라고. 리터러시란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인 ‘문해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말합니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 뉴스를 재생산하고 유통하는 시대, 우리는 리터러시로 좀 더 정밀하게 세상의 맥락을 읽고 더 나은 사회를 디자인하는 인간,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포용적으로 소통하는 주체가 될 필요가 있는데요. 나는 무엇에 대하여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내가 그렇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나의 앎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내가 무엇을, ..
2021.11.24 -
오늘의 추천도서 –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미디어 정보의 옳고 그름과 가짜 뉴스를 판단할 수 있는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왜 중요할까요?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입니다. 이 책은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소개와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말해주는데요,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학습 방법과 지침들을 제시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스마트 기기와 각종 앱을 사용하며,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습니다. 우리가 얻은 정보들 모두 믿을 수 있을까요? 미디어리터러시 이는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살아가기 위한 필수 역량이며, 학습자 개인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세상을 바꾸는 능력입니다. 출처 : YES24
2021.10.27 -
오늘의 추천 도서 – 디지털 자녀와 아날로그 부모를 위한 대화법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코로나, 미디어 지형을 바꾸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1시간 55분으로 2019년에 비해 약 6분이 증가하였습니다.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10대의 경우 36분이 증가하여 가장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원격수업으로 인한 미디어 노출이 불가피하여 자녀의 미디어 사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디어 사용 시간이 늘어난 자녀들을 부모는 어떻게 이해하고 구체적인 대화 방법을 몰라 답답하거나 화가 나기도 합니다. 코로나19로 야외 활동에 제한받는 상황에서 부모와의 관계, 부모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미디어와 SNS를 이해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세상을 소통하는 자녀와 긍정적..
2021.08.25 -
오늘의 추천 도서 – 안전하게 로그아웃
국가인권위원회가 2019년에 실시한 에 따르면, 혐오표현을 접한 청소년은 10명 중 7명인 68.3%로, 이 중 82.9%가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경험하였습니다.1) 혐오표현을 경험한 청소년 중 40%는 위축감을 37.7%는 두려움과 공포심을 느꼈고 38.9%는 자유로운 표현이 위축되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온라인상의 만연한 혐오표현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유럽연합은 ‘불법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행동기준’을 마련하여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에 각각 신고절차를 두고 24시간 안에 검토해 혐오표현을 삭제하거나 접근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네이버, 네이트 등 포털사이트의 연예 뉴스 댓글 서비스를 폐지하여 인격권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익..
2021.07.28 -
오늘의 추천 도서 –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
인터넷의 비약적 발전은 정보의 자유로운 교환을 바탕으로 사회관계망(SNS)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에 정보의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누구나 쉽게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검증되지 않은 정보에도 자연스럽게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자극적인 제목과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각종 개인 SNS에 유포하고 공유하는 행위가 확산되면서 사회적 분열과 갈등이 야기되고 있습니다. 실제 통계자료를 보면 국민의 89%가 가짜뉴스가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 555명을 대상으로 허위정보가 가장 많이 유통되는 경로를 질문한 결과 유튜브가 22%로 1위를 차지하였고, 최근 들어 유튜브에서 가짜뉴스라고 판단되는 동영상을 보거나 전달받은 경험은 34%로 일반 국민 3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