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스트(5)
-
세계 역사를 바꾼 두 가지 보도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교수 이재경 교수의 글입니다. “그 사람은 참으로 특별한 존재였다. 그 어떤 방송기자도 다시는, 회사 안이거나 밖에서나, 에드워드 머로우(Edward Murrow)가 쌓아 올린 명망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데이비드 핼버스텀의 말이다. 1960, 70년대 미국 언론의 거장들을 인터뷰해 쓴 ‘군림하는 권력(The Powers That Be)’이라는 책에서다. 방송기자의 롤 모델 에드워드 머로우는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나는 1996년 뉴욕의 UN본부에서 열린 미디어 관련 포럼에서 그의 이름을 처음 들었다. 1982년부터 TV 기자를 시작했고, 80년대 중반과 90년대 초에는 미국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공부하며 7년여의 시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미국 방..
2016.03.14 -
난민 취재 위해 난민이 된 저널리스트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독립사진작가 전해리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시리아 난민 친구와의 만남 2014년 초에 케어(Care)라는 구호단체와 일을 하기 위해 요르단과 레바논을 간 것이 시리아 난민들을 만난 첫 경험이었습니다. 이때 만난 오므란이라는 친구가 이 모든 일을 시작하게 만든 당사자입니다. 늘 생글생글 사람 좋게 웃는 오므란의 모습에서 그가 요르단으로 건너오기 전 겪어야 했던 아픔을 느끼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2012년 말에 친누나가 출산이 가까워져 어머니와 함께 병원으로 택시를 타고 가던 중 총격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어머니는 즉사하고 절규하던 누나도 배 속의 아이를 충격으로 잃었으며 매형이 체포되어 끌려가는 것을 하룻밤 사이에 목격한 그는 희망을 잃고 형, 남동생과 함께 201..
2015.11.30 -
1960년대 유일한 방송계 여성 저널리스트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언론학 박사, 전 광운대 정보콘텐츠대학원장 / 김성호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한국 방송 최초의 여성 기자는 김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동아일보가 설립한 동아방송(DBS)이 1963년 3월 개국에 앞서 모집한 1기 수습기자 시험에 합격해 1971년 8월까지 8년 남짓 방송기자로 활약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방송 사료에는 김지자보다 2년 여 앞서 공채 시험에 합격한 여성 기자가 2명 보이는데, 그중 한 여성이 1961년 5월 KBS 기자 공채에 합격한 정기자이고, 다른 한 여성은 그해 9월 MBC에 합격한 주옥연입니다. 앞으로 심층적 탐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이들이 기자 생활을 한 자취가 없는 점으로 미루어 합격 후에 곧바로 퇴직했거나 혹은 그 기록된 문..
2015.08.17 -
저널리즘 배움터, 예비언론인을 위한 ‘저널리즘 스쿨’
출처_ journalism “언론사에 들어가기 전, 과연 올바른 저널리즘이 무엇인지 제대로 논하고 배워본 적이 있을까?” 전직 기자 출신 한 언론학자의 압축적인 한마디입니다. 이것은 언론사 입사 후 하루하루 쫓기며 ‘하루살이’ 생활을 하는 어린 연차의 언론인들이 저널리즘을 고민할 틈이 없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데스크 지시로 현장에 달려가고, 취재하고, 기사를 쓰며 아슬아슬하게 마감을 끝내기 바쁜 그들이 녹초가 된 몸을 이끌고 스스로 저널리즘에 대한 고민을 한다는 것은 언감생심이랍니다. 그래서 언론사 입사 전, 예비 언론인으로서 저널리즘 교육이 더욱 절실하죠. 국내에는 현재 예비 언론인을 위한 저널리즘 스쿨이 거의 전무합니다. 미국이나 유럽에는 언론인 양성을 위한 저널리즘 스쿨이 보편화됐지만, 국내..
2014.10.22 -
저널리스트라면 꼭 알아야 한다! 에드워드 머로 & 로저 에버트
출처_ 네이버 영화 저널리스트들은 ‘잘 보는 사람들’입니다. 특정한 대상(인물 혹은 현상)을 끈질기게 보는 관찰자들이죠. 단지 보는 데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본 바를 세상에도 보여줍니다. 그 보여주기의 방식은 말과 글과 사진과 영상 등이죠. 묘하게도 영화의 구성과도 닮았습니다. 영화는 대사(말)와 시나리오(글)와 스틸컷(사진)과 씬(영상)으로 이루어지죠. 물론 저널리스트의 말과 글은 허구의 각본에 따르는 게 아니라 진실에 입각해야 한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말입니다. 저널리스트의 모티브는 ‘내가 본 것을 대중에게도 보여줘야 한다는 책임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널리즘=책임감’이라는 단순한 공식이 성립될 수는 없겠지만, ‘책임감’은 분명 저널리스트가 자신의 지성과 행동을 대외적으로 표출하게 되는 ..
201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