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12)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플랫폼 자율 규제’ 투 트랙
여성 혐오(misogyny)는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고 멸시, 비하하는 정서·표현· 태도로서 고대 그리스 신화 및 문학에도 나타날 정도로 그 뿌리가 깊다. 한국 사회에서 사이버상의 여성 혐오는 2000년대 이후 특정 사이트를 중심으로 디지털 하위문화인 놀이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여성 혐오 문제는 사이버상의 단순한 ‘표현’ 문제가 아니다. 표현이 갖는 위력은 위계적 권력 구조에서 화자의 권력에 따라 달라진다. 여성 혐오 표현은 권력의 문제이다. 여성 혐오를 다루는 미디어의 권력 구조가 잘 드러난 사례로 지난여름 도쿄 올림픽 여자양궁 금메달 3관왕인 안산 선수에 대한 일련의 온라인 폭력 사건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당시 사건의 진행과 언론의 보도 과정을 살펴보고, 디지털 미디어에서 전..
2021.11.10 -
미디어오늘 '유튜브 저널리즘'
미디어오늘은 지난 5월부터 한 달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자유언론실천재단과 함께 ‘유튜브 저널리즘’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 여러 현장 기자들의 경험과 전망이 담긴 세미나의 내용이 e-book으로 발간됐습니다. 유튜브가 저널리즘의 도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 드립니다. .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 http://bit.ly/youtubejournalism . #미디어오늘 #유튜브 #저널리즘 #유튜브저널리즘 #동영상 #시청자 #콘텐츠 #플랫폼 #미디어먼데이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08.09 -
‘이용자 퍼스트’로 생각하고 혁신하라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김선호・김옥태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올해 모바일 뉴스 포맷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선행 연구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뉴스 포맷은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분야라서 선행 연구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몇 개 안되는 연구 중에 눈에 띄는 것이 케빈 반허스트(Kevin Barnhurst)가 하버드대 쇼렌스타인센터에 체류하면서 2002년에 발간한 보고서였습니다. 당시 미국 신문들이 어떤 포맷을 사용하는지 분석했던 반허스트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인터넷판 미국 신문들은 온라인에 맞는 새로운 형식으로 출판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웹 버전은 인쇄 버전을 복제하고 있다.(…) 소수의 기사만이 하이퍼링크, 이미지..
2015.12.04 -
광고주 관점에서 본 네이티브 광고 활용과 효과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박에델만코리아 박하영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8월 20일 ‘한국형 네이티브 광고의 모색’을 주제로 허핑턴포스트에서 네이티브 애드 미디어 데이를 개최했습니다. ‘네이티브 광고’라고 규정한 매체 상품들이 본격적으로 집행된 지 1년여 남짓한 시점에서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에 대한 광고주들의 관심이 드러난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티브 광고를 거론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부분은 배너 광고의 몰락입니다. 이로 인한 디지털 매체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광고주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기에 급감하는 배너 광고의 클릭률 대비 네이티브 광고의 효율적인 광고 효과, 자연스러운 소비자의 관심 유도 및 긍정적인 태도 형성 등은 분명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 일반적으로 네..
2015.10.30 -
보이지 않는 엔진, 플랫폼의 특징
참여자들에게 개방적인 플랫폼 시장과 반대되는 사례로는 백화점을 들 수 있습니다. ‘11번가’ 같은 오픈 마켓은 온라인에서 공급자로서 등록만 하면 누구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규칙이 공급자로서의 소비자에게 신뢰를 깨는 행위를 했을 때는 다시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개방적이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구조에서 신뢰를 지키지 않는 행위는 플랫폼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화점은 공급자로서 거래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백화점에서는 MD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조건과 계약, 검증을 거쳐 상품 공급자를 결정하는 폐쇄적 참여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왜(why) 그리고 어떻게(how) 플랫폼이 비즈니스의 보이지 않는 엔진으로 작동하기 시작한 걸까요. 이 글은 ..
2015.07.02 -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애플 아이튠즈, 앱스토어 그리고 구글맵스 언제부터인지 플랫폼이란 말이 일상 용어처럼 되었습니다. SNS 플랫폼, 뉴스 플랫폼, 콘텐츠 플랫폼, 거래 플랫폼, 음악 플랫폼 등등. 음악을 좋아하여 자주 다운로드 받는 사람들도 애플 아이튠즈(iTunes)를 플랫폼이라고 하는 데에서는 갸우뚱해질 것입니다. 사전적으로 플랫폼이란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국립국어원)를 뜻합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소프트웨어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진 2000년대 이후로 플랫폼이란 용어가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다양한 행위자들을 참여하여 서로 연결되어 관계를 맺은 채 상호작용을 벌여 가치를 창조하는 시스템(system) 또는 비즈니스를 플랫폼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애플 앱스토어 등장은 수많은 ..
201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