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공모전 신문읽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기자 책 미디어교육 신문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0)

  •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

    2016.05.11
  • '뉴스보이' 세상을 바꾼 소년들

    2016.05.10
  • 낙종하더라도 기사 신뢰도가 최우선

    2016.05.09
  •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2016.05.04
  •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2016.05.03
  •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2016.05.02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

[요약] 지난 26년간 언론에서 가장 논쟁적인 정보원은 누구였을까? 어떤 해에 어떤 주제가 쟁점이 됐을까? 어떤 주장이 나왔고, 어떻게 반박됐을까? 이제 이러한 궁금증의 많은 부분을 풀 수 있게 됐습니다. 뉴스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를 통해서입니다. #150만 건 기사의 뉴스 빅데이터로 본 신문의 역사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연구팀은 다양한 사회적 의제에 대한 뉴스를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해 대규모로 살펴보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전문보고서 (뉴스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앤 인사이트, 약어 NAI)를 창간했다. 창간호에서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26년간 보도된 정치면, 사회면, 경제면 기사 약 150만 건의 기사의 정보원과 인용문 주제를 분석했다. 국내 뉴스 빅데이터 분석 규모로는 최..

2016. 5. 11. 16:00
'뉴스보이' 세상을 바꾼 소년들

[요약] 1899년 뉴욕에서 신문을 팔며 생계를 유지하던 ‘뉴스보이’들의 파업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뉴스보이’라고 들어보셨나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뉴욕에서 신문을 팔고, 배달하여 생계를 유지하던 소년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지금은 사라진 이 소년들의 ‘어떠한’ 이야기가 최근 다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는 무엇일까요? 1899 뉴스보이 파업 이야기를 알기 위해서는 1899년 뉴욕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신문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유일한 매체였던 당시, 신문사 간의 경쟁이 매우 치열했습니다. 신문사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선정적인 신문 보도를 일컫는 ‘황색언론(Yellow Journalism)’이 창시되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퓰리처상(Pulitzer Prizes)..

2016. 5. 10. 11:00
낙종하더라도 기사 신뢰도가 최우선

신문이나 방송 뉴스에서 심심찮게 접하게 되는 문구가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이나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같은 말들이다. 이 문구를 쓰는 기자들이나, 그런 기사를 승인하는 데스크들이나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인다. 이런 얼굴 없는 취재원들의 발언을 직접 인용 처리해주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런 관행이 뉴스 신뢰성 제고 관련 연구를 할 때마다 단골로 지적되는 ‘익명 취재원’이다. 익명 직접 인용 금지 바다 건너 뉴욕타임스에서 익명 취재원과 관련한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져왔다. 딘 베케이 편집국장은 지난 3월 15일 국장단 명의로 기자들에게 보낸 메일을 통해 익명 취재원 사용 관행을 정비하겠다고 선언했다. 베케이 국장을 비롯한 국장단 3명이 제시한 원칙은 크게 네 가지였다. 1. 기..

2016. 5. 9. 12:00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요약]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의존하는 ‘캥거루족’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캥거루족‘ 그것이 알고 싶다 성인이 되면 당연히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지금 혼자 살고 계신가요? 아니면 부모님과 함께 살고 계신가요? 대학을 졸업해 취직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직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취직을 했더라도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캥거루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캥거루족’이 얼마나 될까요?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3천 5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하는 캥거루족 입니까?’라는 질문에 37.5%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3.7%로 제일 많았고 30대가 33.7%..

2016. 5. 4. 11:00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요약] 일본, 에콰도르 연쇄 지진으로 ‘불의 고리’가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며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알면 두렵지 않다! 지진 발생 시 응급상황 대처와, 대피요령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최근 연이은 지진 소식에 불안한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일본을 시작으로 에콰도르, 필리핀에서 규모 5.0이 넘는 강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환태평양 조산대, 일명 ‘불의 고리(Fire ring)’에 포함되는 지역입니다. 지구상의 지진·화산대 중 환태평양 조산대의 지진·화산 발생비율은 절대적인 수치를 차지합니다. 모든 지진의 90%, 규모가 큰 강진의 81%가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 중심부에서 벗어나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2016. 5. 3. 12:00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글입니다. "크롱카이트를 잃으면 모두를 잃는 것" 1968년 2월 27일, 미국 CBS방송의 ‘이브닝뉴스’는 특별 방송을 보도했다. 월터 크롱카이트(Walter Cronkite) 앵커가 베트남에 직접 가서 보도한 ‘베트남으로부터의 리포트: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라는 제목의 특별 방송이었다. 통신사 기자에서 전직해 CBS 저녁 뉴스의 앵커가 된 지 6년 만에 처음 시도하는, 크롱카이트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된 보도였다. 이 보도 이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은 완전히 싸늘해졌다. 그만큼 월터 크롱카이트 보도의 영향력이 강력했었다. 크롱카이트 자서전을 보면 이 무렵 베트남 특별 리포트를 취재하는 과정의 고뇌가 잘 정리돼 있다. 제임스 슐레진..

2016. 5. 2. 09:17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