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책 신문읽기 공모전 스마트폰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독서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1)

  •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2016.05.02
  •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2016.04.27
  •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2016.04.25
  •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2016.04.20
  • 불렛저널 노트법으로 스케줄 관리하기

    2016.04.19
  • 세상을 바꾼 보도, 참언론에 성역은 없다

    2016.04.11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글입니다. "크롱카이트를 잃으면 모두를 잃는 것" 1968년 2월 27일, 미국 CBS방송의 ‘이브닝뉴스’는 특별 방송을 보도했다. 월터 크롱카이트(Walter Cronkite) 앵커가 베트남에 직접 가서 보도한 ‘베트남으로부터의 리포트: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라는 제목의 특별 방송이었다. 통신사 기자에서 전직해 CBS 저녁 뉴스의 앵커가 된 지 6년 만에 처음 시도하는, 크롱카이트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된 보도였다. 이 보도 이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은 완전히 싸늘해졌다. 그만큼 월터 크롱카이트 보도의 영향력이 강력했었다. 크롱카이트 자서전을 보면 이 무렵 베트남 특별 리포트를 취재하는 과정의 고뇌가 잘 정리돼 있다. 제임스 슐레진..

2016. 5. 2. 09:17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요약]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한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좋은 일’의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근로자의 날이 존재하기는 하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비정규직 비율이 22.4%로 OECD 가입국 기준 평균 비율(11.8%)의 두 배에 달합니다. 또한, 가입국 중 노동시간 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 근로자들과 시민들은 ’좋은 일‘을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좋은 일’의 기준은? 희망제작소(The Hope Institute)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네이버 해피로그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를 통해 ‘좋은 일 기준 찾기’ 온라인..

2016. 4. 27. 11:00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요약] 신문이나 방송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에 밀려 사라져 간다는 주장과 이에 반해 소셜 미디어를 뉴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소개합니다. 에밀리 벨 ‘우리가 알고 있던 뉴스의 종말’ 달라진 뉴스 환경 지난 5년 동안 가상현실, 실시간 동영상, 인공지능 뉴스봇, 문자 메시지, 채팅앱 등 엄청난 기술 혁신은 뉴스 생태계를 놀라운 수준으로 바꿔놓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저널리즘만 집어삼킨 것이 아니라 선거, 금융 시스템, 개인사, 여가 산업, 소매업, 정부와 보안까지 관여하게 됐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사안이 있다. 첫째, 뉴스 산업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 회사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

2016. 4. 25. 10:53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요약] 4월 7일은 한국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 창간 61주년을 기념하여 제정한 '신문의 날'입니다. 제60회 신문의 날을 맞아 각 신문사에서 진행되었던 행사들을 살펴봅니다. #독립신문과 ‘신문의 날’ 매년 4월 7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신문의 날‘입니다. 신문의 날은 120년 전, 1896년 4월 7일, 국내 첫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서재필 박사가 정부로부터 자금을 받아 독보적으로 운영한 독립신문은 국민들이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글로 작성되었고, 자유·민권과 민중계몽에 앞장섰습니다. “우리는 첫째 편벽되지 아니하고도 무슨 당에도 상관이 없고 상하귀천을 달리 대접하지 아니하고… 모두 한글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요…”. -독립신문..

2016. 4. 20. 12:00
불렛저널 노트법으로 스케줄 관리하기

[요약] 불렛저널을 통해 하루하루 해야 할 일들을 자신만의 아이콘을 사용하여 정리하여, 계획적으로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불렛저널이 뭔가요? ‘불렛저널(Bullet Journal)’ 들어보셨나요? 아마 다이어리를 쓰시는 분들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불렛저널은 문장이나 단어 앞에 주의를 끌기 위해 붙이는 그래픽 문자 ‘불렛(Bullet)’을 활용한 일정 관리법으로 지난해 말부터 해외 블로거들 사이에서 유행하여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불렛저널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페이지가 적혀있는 목차를 통해 정보 찾기가 쉽다는 것입니다. 둘째, 자신만의 불렛을 통해 본인에게 최적화된 방법으로 다이어리를 작성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점입니다. ..

2016. 4. 19. 12:00
세상을 바꾼 보도, 참언론에 성역은 없다

이규연 탐사저널리스트·JTBC 탐사기획국장 [보도 개요]1. 제목: 가톨릭의 아동 성추행 은폐2. 매체(나라): 보스턴글로브(미국)3. 취재: 월터 로빈슨 등 4명4. 최초 보도일: 2002년 1월 5일5. 수상: 2003년도 퓰리처상 대상(http://www.pulitzer. org/winners/6974) “사제 성추행이라는 은폐된 진실을 꿰뚫는 취재를 보여줬다. 용기 있고 포괄적인 보도로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 영향을 줬다. 그리고 로마가톨릭 교회의 변화를 가져왔다.” 2003년 4월, 미국 퓰리처상 이사회는 찬사를 보내며 대상을 수여했다. 탐사보도에는 여러 애칭이 있다. 워치독(감시견), 머크레이커(추문추적자) 등이 그것이다. ‘스포트라이트’도 그 반열에 오를 만큼 탐사보도의 대명사로 통한다. 필..

2016. 4. 11. 11:31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