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이벤트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읽기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다독다독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인도 사람이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부끄러워하는 사연

    2014.11.06
  • 아이디어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라는 것이다.

    2014.11.06
  • 유럽저널리즘센터의 ‘데이터 저널리즘 온라인 무료 강의’

    2014.11.05
  • [페이스북 이벤트] 2014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2014.11.05
  • 1993년에서 2015년까지, 한 눈에 보는 수능 변천사

    2014.11.05
  • 목적이 뒤바뀐 ‘다독’, 실용적 독서법은 올바를까?

    2014.11.04
인도 사람이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부끄러워하는 사연

해처럼 밝게 빛나는 아이들의 얼굴이 천사와 같지 않나요? 사진 속 주인공들은 필자가 방문하였던 인도의 남부 하이드라바드(Hydrabad) 주의 고아원인 왕의 아이들 고아원(King’s Kids school))의 아이들입니다. 어릴 적부터 학대를 받고 부모로부터 버림 받은 아이들의 집인 이 곳에서 아이들은 행복한 천사 같아 보였습니다. ‘슬럼 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re)’는 대니 보일 감독의 작품으로서, 슬럼가의 아이들의 삶을 다룬 영화입니다. 영화의 아역들은 실제로 슬럼가의 아이들을 캐스팅한 것으로도 화제가 되기도 했었죠. 영화의 장면에는 조직이 아이들을 불구자로 만들어 구걸을 시키고, 폭력을 일삼는 듯 하는 장면들로 관람객들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인도 재외국민인 필자에게 사람들..

2014. 11. 6. 13:00
아이디어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라는 것이다.

출처_ [김중혁이 캐는 창작의 비밀] (3) 두 번째 탐험 - 서점의 발견 / 2014.10.27. / 한국일보 누구나 어떤 생각이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습니다. 관련된 생각을 했던 것도 아닌데 불현 듯 말이죠. 그리고 그 생각이 다른 생각을 불러올 때가 있습니다. 물론 서로 관련이 있는 내용이 아니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두통약을 떠올렸는데, 전혀 관련이 없는 어린 시절 딱지치기를 하던 기억이 이어지는 것이죠. 그리고 연결해서 추위가 생각납니다. 서로 다른 듯 생각이 꼬리를 물고 나왔지만, 이것들은 실상 연결고리가 있답니다. 어린 시절 매서운 추위에도 밖에 나가 딱지치기를 하다가 감기에 걸려 두통약을 먹었던 이야기로 연결되는 것이죠. 이렇듯 생각들은 서로 연결되면서 새..

2014. 11. 6. 09:00
유럽저널리즘센터의 ‘데이터 저널리즘 온라인 무료 강의’

지난 8월 29일(이하 현지시간) 유럽저널리즘센터(European Journalism Centre, 이하 EJC)는 1,250명에게 ‘데이터 저널리즘 온라인 무료 강의’ 수료증을 발급했다고 공지했습니다. 수료생은 전 세계 100여개 국 기자, 개발자, 디자이너, 통계전문가, 대학(원)생 등 이었는데요, 이 중에는 우리나라 수강생 18명도 포함돼 있었죠. 1 EJC 산하 ‘데이터 저널리즘 이니셔티브’2가 주관한 ‘데이터 저널리즘 온라인 무료 강의’는 지난해 10월 15일 처음 강의 계획을 공개했고 인터넷을 통해 수강 신청을 받아 전 세계 170여개 국, 2만 1,000여 명의 수강생이 참여한 가운데 올해 5월19일 공식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출처_캔버스 네트워크 ‘저널리즘 온라인 무료 강의’ 한국어 자막도..

2014. 11. 5. 13:00
[페이스북 이벤트] 2014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페이스북 이벤트]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명사들의 읽기 경험담과 노하우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독讀한 습관이 벌써 여덟 번째 강연자를 맞이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진행된 강연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기로 했답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2014 독讀한 습관 강연 속에는 명사들이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주제가 담겨 있겠죠?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에서 명사와 알맞은 주제를 맞추고 푸짐한 선물도 받아가세요. ^^ ▶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 바로가기 읽기에 대한 즐거움을 찾고 명사들과 함께 읽기 경험담과 노하우를 나눌 수 있는 독讀한 습관 강연은 11월에도 계속 이어집니다. 취업, 스펙, 연애 ...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청춘들에게 활짝 문이 열려 있답니다. 독讀한 습관에 오셔서 읽기..

2014. 11. 5. 11:46
1993년에서 2015년까지, 한 눈에 보는 수능 변천사

출처_ MBC 해마다 11월이면 따뜻한 한 잔의 음료를 나눠주는 후배들의 응원도, 학부모들의 간절한 기도 모습도 보게 되는 때가 있습니다.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날인데요. 올해는 11월 13일에 전국적으로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1994학년도부터 처음으로 도입된 뒤로 벌써 22번째 시험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금까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어떤 이야기들이 있는지, 입시학원가는 어떻게 바뀌었는지, 신문 기사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대마다 다른 수험생의 주말 시간표 듣기평가 시간에는 시험장 근처 비행기 이착륙이 중지될 정도로 수능은 말 그대로 국가적인 행사입니다. 하지만 수능의 시작은 지금처럼 많은 사람이 관심가질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고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도입..

2014. 11. 5. 09:00
목적이 뒤바뀐 ‘다독’, 실용적 독서법은 올바를까?

출처_ phawker 책을 읽으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합니다. 책보다 경험을 주장하는 사람도, 책을 읽으라고 추천하지 않는 사람도 책이 이롭다는 것에 대해서 부정하진 않죠. 하지만 책을 읽을 때, 한 권의 책만 읽는 사람만큼 위험한 사람도 없습니다. 편협한 생각에 빠지기 쉽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쉽게 치우칠 수 있는 생각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다독’이 있습니다. 많은 책을 읽어 습득한 지식과 간접경험은 어디로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판단력을 길러줍니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다독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독서법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바로 ‘실용적 독서법’인데요. 기존의 ‘다독’과 무엇이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다독’, 많이 읽는 것의 의미 ‘다독’은 많은 책을 읽는다는 의미입니다. 성직자이자 시인..

2014. 11. 4. 13:00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