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신문읽기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책 다독다독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기자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서먹했던 아버지와의 사이를 좁혀준 '신문'

    2013.06.19
  • 여러분이 들었던 신문읽기 강의, 다독다독과 함께 나누세요!

    2013.06.17
  • 작가들의 SNS에서 숨겨진 명언들 찾아보니

    2013.06.17
  • 영자신문 인포그래픽으로 쉽게 영어공부하는 방법

    2013.06.17
  • 파워블로거가 꿈꿨던 '세상을 바꾸는 글쓰기'란?

    2013.06.17
  • 서울에서 찾아본 테마별 이색 도서관

    2013.06.14
서먹했던 아버지와의 사이를 좁혀준 '신문'

동양의 위대한 성인, 공자는 ‘주역’ 을 여러 번 읽었던 탓에 책을 맸던 가죽 끈이 3번이나 끊어졌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 역시 어렸을 때부터 책을 많이 읽은 것으로 알려져 있죠. 이처럼 읽기의 중요성은 과거부터 꾸준히 강조되어 왔습니다. 요즘은 상황이 변하고 있습니다. 책은 물론 세상보기의 창(窓)이었던 신문까지 열독률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읽기 문화 전반이 쇠퇴하고 있는거죠.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신문읽기 문화 확산을 위해 신문논술대회를 주최했습니다. 올해로 벌써 4번째 인데요. 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신문읽기에 대한 경험담을 주제로 지난 3월 19일부터 4월 18일까지 우리들 가슴 속에 담겨있던 신문읽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공모 했습니다. 한달 남짓한 기간 동..

2013. 6. 19. 12:11
여러분이 들었던 신문읽기 강의, 다독다독과 함께 나누세요!

2013년 1학기 대학 신문읽기 강좌 후기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신문의 이해와 비평', '신문기사작성론',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작법' 등의 강좌를 들으면서 생각하셨던 것과 느낀 것을 후기로 술술 풀어주세요. 강좌를 들으면서 있었던 에피소드, 강좌를 듣고 달라진 사고 방식에 대한 이야기도 좋고요^^ 강좌를 맡으셨던 교수님과 찍은 사진, 수업을 들으면서 정성스레 적었던 노트 필기 등 후기 글에 여러분만의 사진을 넣어주셔도 좋습니다. 여러분이 들었던 강의에 대한 생각과 느낌 다독다독과 나누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공식 SNS 팬이 되시면 더 알찬 정보를 편하게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공식 페이스북 공식 트위터 ⓒ다독다독

2013. 6. 17. 16:26
작가들의 SNS에서 숨겨진 명언들 찾아보니

성공한 사람들의 명언은 우리가 살면서 힘겨울 때 많은 의지와 격려가 돼주곤 하는데요. 과거에는 이런 유명한 분들의 명언을 신문이나 TV를 통해서만 만나볼 수 있었죠. 하지만 최근 SNS 시대가 도래하면서 독자들은 보다 간편하게 그 분들의 목소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한 명저를 펴내고도 은둔하던 유명 작가들, 팬들과 친해지고 싶어도 기회가 없던 얼굴 없는 만화가들의 입장에서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SNS는 독자와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고마운 통로가 되어주고 있고요. 출처 - 서울신문 지난 2006년 개설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 ‘트위터(twitter)’는 우리를 보다 넓은 세상으로 인도하는 항해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실..

2013. 6. 17. 13:56
영자신문 인포그래픽으로 쉽게 영어공부하는 방법

영자신문 그래픽 뉴스로 공부하기 신문은 주로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사진과 그래픽의 역할도 매우 중요합니다. ▲코리아헤럴드 그래픽 뉴스 온라인 섹션(http://www.koreaherald.com/list.php?ctv=2) 시각적인 정보의 경우 효율성이 높은데, 예를 들어 텍스트로 상당히 많은 단어를 사용해서 설명해야 할 내용이 하나의 그래프로 더 효율적인 제시가 가능하지요. 코리아헤럴드의 경우 매일 2면에 Graphic News가 나오는데, 그 날의 주요 기사중의 하나를 그래픽으로 깔끔하게 표현하고 동시에 부담 없는 텍스트 기사가 같이 있어서 영어공부의 자료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래픽 뉴스에서 나오는 표현을 가지고 공부해보겠습니다. 1) 스마트폰 중독 중독(addiction)의 이미지를 ..

2013. 6. 17. 10:43
파워블로거가 꿈꿨던 '세상을 바꾸는 글쓰기'란?

누구나 이 분야만큼은 자신 있다고 생각하는 분야가 있다. 그런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에는 여러 계기가 있겠지만, 대부분 자신이 한 노력에 대해 칭찬을 받았기 때문이 아닐까?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게 된 건 바로 그 때문이다. 그저 시험 성적도 보통이고, 생활에 있어서도 오히려 보통 아이들처럼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이 아니라 홀로지내는 시간이 더 많았던 내게 유일한 친구는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꾸준히 독후감을 썼었는데, 중학교 시절 독후감 숙제에서 국어 선생님께 공개적으로 아이들이 보는 앞에서 칭찬을 받았었다. 그때 나는 정말 기분이 좋았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사회문제를 이야기하는 글과 지역 글쓰기 대회에서도 수상을 하면서 내게 글쓰기는 하나의 자부심으로 자리 잡..

2013. 6. 17. 09:41
서울에서 찾아본 테마별 이색 도서관

봄이 왔었나 싶을 정도로 무서운 속도로 무더위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뜨거운 햇살과 조금만 움직여도 뻘뻘 나는 땀 때문에 여름의 뜨거운 인사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으시죠? 아침부터 찾아오는 무더위에 지쳐 우리는 자연스럽게 차가운 음료와 시원한 곳을 찾아다니게 됩니다. 하지만 무조건 무더위를 피하기에는 막상 어디로 가야할지 발 길이 망설여지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서울에 숨어 있는 이색 도서관을 찾아가 볼까합니다. 더위도 피하고 책도 읽을 수 있는 일석이조 나만의 ‘미리merry바캉스!’ 함께 떠나볼까요? 더위에 지친 연인을 위한 이색 ‘데이트 코스’ 도서관 한 때 인상 깊었던 TV 광고가 생각납니다. 애인이랑 만나면 밥 먹고 차 마시고 영화보고, 영화보고 밥 먹고 차 마신다는 일반적인 데이트 코스에 대한 지겨..

2013. 6. 14. 13:55
1 ··· 261 262 263 264 265 266 267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