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독서 뉴스 뉴스리터러시 NIE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기자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2022.10.21
  •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2022.10.18
  •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2022.10.17
  • [웹진 다시보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2022.10.14
  •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2022.10.11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2022.10.07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양소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정치적 가짜뉴스의 문제로 시작해 코로나라는 인포데믹의 시기를 지나면서 허위정보는 시급한 대처가 필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이로 인해 몇 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허위정보 대응 능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게임이 개발됐다. 게임의 교육적 효과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팩트체크 게임이 개발돼 게임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 팩트체크센터가 개발한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를 소개한다. ‘팩트, 플리즈’는 전문가의 팩트체크 과정을 일반 이용자 수준으로 전환하여 시뮬레이션해 보는 게임이다. 게임을 구성하는 디..

2022. 10. 21. 15:52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기후 위기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얼마 전 서울과 수도권에 내린 115년만의 기록적 폭우에 이어 역대급이라는 태풍 힌남노까지 찾아왔다. 기후변화, 기후 위기의 시대다. 이제는 학교에서도 본격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정확히 알리고, 시민 행동의 필요성을 가르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관련해 뉴스를 교재 삼아 기후 위기 수업을 진행하는 한 초등학교 수업 속으로 들어가 본다. 김주영(김제검산초 수석교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세계 시민 교육이 중요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정작 행동하는 우리 청소년의 모습은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현 교과서에 대한 아쉬움은 ‘직접 만들어 수업을 해 보자’라는 생각으로, 그리고 한국언론진흥재단 포미(ForME) 사이트의 기후..

2022. 10. 18. 17:10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 ​ ​ 허위정보, 가짜뉴스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몇 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허위정보 대응 능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게임이 개발됐다. 게임의 교육적 효과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팩트체크 게임이 개발돼 게임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를 소개한다. ​ ​ 양소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 ​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게임은 허위정보 분별 능력을 높이는 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게임에 참여한 경우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경우보다 허위정보 분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측면에서 교육용 게임이 상당히 효과적..

2022. 10. 17. 17:51
[웹진 다시보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 수강 후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립중앙도서관은 지난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생활 속에서 다양한 정보를 현명하게 소비하기를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번 교육의 주요 내용을 수업 자료 및 참가자 경험 수기를 바탕으로 재구성해 소개한다.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시대 전후의 모든 매체와 의사소통 수단에 접근해서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더 나아가 정보를 만들어 실제로 사회 행동에 나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접근, 분석, 평가, 창조, 행동 등 크게 5가지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며,..

2022. 10. 14. 10:14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 수강 후기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립중앙도서관은 지난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이하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생활 속에서 다양한 정보를 현명하게 소비하기를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번 교육의 주요 내용을 수업 자료 및 참가자 경험 수기를 바탕으로 재구성해 소개한다.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무엇보다도 미디어 리터러시 실천이 개인적 차원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필요한 역량임을 이해하게 됐다. 또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으로서 당연히 미디어 리터러시를 실천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 가장 큰 수확이었다. 최근 뉴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2022. 10. 11. 17:46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특별 대담 :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한 ‘언론학자-교육학자’ 상호 작용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송은아(계간 , 자유기고가) 지난 4월 12일, 웹진 발간 20호를 기념해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언론학자와 교육학자는 어떻게 상호 작용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특별 대담이 진행됐다.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활발하게 활동 중인 언론학자와 교육학자 4인이 참석한 대담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미디어를 읽고 쓰는 것 자체가 리터러시이며, 수용자도 미디어 교육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미디어학과의 거의 모든 커리큘럼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해당된다. 다만 그 다양한 커리큘럼이 미디어 교육이라는 하나의 영역으로 집중되어 있지 않기 때문..

2022. 10. 7. 14:24
1 ··· 24 25 26 27 28 29 30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