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책 기자 신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NIE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시상식 및 토크콘서트 생중계 이벤트 당첨자 안내

    2020.05.19
  •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2020.05.08
  • [이벤트]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개관 기념 [시민에게 묻습니다 Event]

    2020.05.07
  • ‘시민-플랫폼·언론-국회·정부’ 전 사회적 대책과 실천 필요

    2020.05.04
  • 예비 교사도 미디어 리터러시 배우고 싶어요!

    2020.04.29
  •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2020.04.24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시상식 및 토크콘서트 생중계 이벤트 당첨자 안내

5월 8일 금요일, 제1회 공모전 시상식이 진행됐습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들과 공모전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을 위하여 유튜브 생중계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특별히 1부 ‘언론인과 함께 하는 토크콘서트’ 시간에는 평소 뉴스 혹은 미디어와 관련하여 궁금했던 질문을 하실 수 있도록 댓글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시청자 분들의 뜨거운 관심과 참여로 수많은 토크콘서트 질문이 응모되었는데요! 추첨을 통해 세 분에게 에어팟을, 열 분에게는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당첨자 명단을 참고하시고, 경품 지급을 위해 아래 주소로 정보를 입력해주시길 바랍니다. 선정되신 분들 모두 축하드립니다^^ ■ 개인정보 수집 동의 및 제출 : http://naver.me/G0O9TwQJ ■ ..

2020. 5. 19. 20:21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미국의 선거 관련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와 선거’ 미디어교육의 오랜 핵심 주제 지난 2016년 대선을 거치면서 미국에서는 허위정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동시에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학교 정규 교과과정에서 선거 관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왔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윤지원 (미 로드아일랜드 미디어교육연구소 교수) 2016년 미국 대선은 가짜뉴스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과 우려를 낳는 계기가 됐고 수많은 언론과 평론가들이 2016년을 가짜뉴스의 해로 지목했다.1) 〈버즈피드(BuzzFeed)〉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 2016 대선 관련 기사 중 페이스북에서 가장 많이 읽힌 상위 20개의 가짜뉴스가 19개의 전통 언론사에서 나온 상위 20개 ..

2020. 5. 8. 10:51
[이벤트]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개관 기념 [시민에게 묻습니다 Event]

5월 12일 정식 개관하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을 축하해 주세요! 여러분이 소망하는 미디어교육원은 어떤 모습인가요? ⠀ 나는 미디어교육원이 OOOOO 교육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예시1)나는 미디어교육원이 "언론과 시민이 모두 즐거운" 교육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예시2)나는 미디어교육원이 "자유로운 토론과 유익한 교육이 가득한" 교육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위 문장을 완성하는 이벤트에 참여하고 베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도 즐겨볼까요? 댓글로 여러분이 바라는 미디어교육원의 모습을 들려주세요! ⠀ ✔이벤트 기간: 5월 07일(목)~5월 12일(화) ✔당첨자 발표: 5월 14일(목) ✔이벤트 경품: 베스킨라빈스 싱글레귤러(30명) ⠀ 참여방법 STEP1. 게시물 댓글에 문장을 완성해 주세요 ..

2020. 5. 7. 11:12
‘시민-플랫폼·언론-국회·정부’ 전 사회적 대책과 실천 필요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공개 토론회 인터넷이 발달하고 SNS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사실이 아닌 내용이 진짜 뉴스처럼 확산되고 이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허위조작정보가 민주주의에 큰 위협이라는 문제 인식 아래 국내에서도 학계, 언론 단체, 시민 단체 등의 전문가들이 모여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제언했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성욱제 (KISDI 방송미디어연구실 연구위원) 지난해 12월 2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과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전문가 회의’(위원장 이재경, 이하 ‘전문가 회의’)1)는 프레스센터 18층 회의장에서 ‘허위조작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이라는 이름의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공개 토론회는 ‘전문가 회의’와 정보통신정..

2020. 5. 4. 10:48
예비 교사도 미디어 리터러시 배우고 싶어요!

‘교육대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 확대’ 제안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미래 교사를 위한 대학 내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강좌가 충실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 교육대 학생들이 학교 측에 직접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의 확대를 요청했다고 한다. 글 김현희·심현지·임선형·조수빈 (경인교대 사회과교육과 학생) “초등교사가 됐을 때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능력이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교육대학교 과정 중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강의가 적어 대다수 학생이 이를 알고 적용해 볼 능력을 기르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 ‘미디어 리터러시 강좌 확대 편성’ 제안은 ‘현대 사회의 연구’라는 ..

2020. 4. 29. 14:15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유아 대상 미디어교육 ‘미디어랑 나랑 꼬꼬마 미디어 리터러시’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쉽지 않다. 어른의 눈높이로 어린이를 판단하면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되기 마련이다.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놀이와 접목해서 미디어교육을 하는 현장을 찾아가본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앞으로 아이들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미디어 세상을 더 많이 만나게 될 것이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미디어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고 어른보다 더 현명하고 똑똑한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이용자로 자라주길 희망한다. 지금 어린이들이 만나는 미디어 세상은 부모 세대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다. 부모들은 아이들의 미디어 노출 시..

2020. 4. 24. 09:00
1 ··· 68 69 70 71 72 73 74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