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다독, 다시보기/지식창고(523)
-
아이디어를 실현 가능하게, 크라우드 펀딩
정말 기막힌 아이디어가 있는데 자금이 없어 접으신 분들 분명 있으실 겁니다. '내 아이디어가 세상밖으로 나온다면 대박인데!' 하시는 분들,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진즉 알고 계셨을지도 모르고 지금 자금을 모으기 위해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겠죠?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간단히 말해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방식을 일컫습니다.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예술가, 사회활동가 등이 자신이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익명의 다수에게 투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크라우드 펀딩, 한국의 첫 사례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 펀딩사이트는 2008년에 시작한 인디고고(www.indiegogo.com)이며 현재 가장 유명한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는 2009년에 시작한 킥스타터(www...
2015.04.23 -
놀라운 역사적 사건, 종이 제조법의 발명
디지털 기술이 종이를 대체할 것이라는 수많은 예상에도 불구하고 광고, 책, 사진, 신문, 포장지, 지폐, 휴지에 이르기까지 종이가 없는 세상은 생각할 수조차 없습니다. 생활의 도처에서 거의 모든 사회적 활동에 사소하면서도 중요한 일들을 끊임없이 수행하는 종이는 어떤 과정을 통해 발명되었을까요. 어떻게 전세계에 확산되어 구텐베르크 인쇄기와 운명적 만남을 할 수 있었을까요. 종이 발명 이전에 사용된 재료들 종이 발명 이전에는 돌, 금속, 찰흙 외에 동물의 가죽이나 뼈, 나무껍질, 나무, 대나무 등이 기록 재료로써 사용되었습니다. 이 재료들 중에서 종이와 가장 비슷한 것은 이집트의 파피루스(papyrus)였습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파피루스 줄기를 얇게 저며서 가로와 세로로 맞추어 놓고 끈기가 있는 액체를..
2015.04.23 -
저널리즘의 이상향을 보여준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다음주 4월 28일부터 다독다독에서 준비한 언론 영화 콘서트가 시작됩니다. 언론과 저널리즘을 소재로 한 최고의 화제작 네 편을 상영하고 각 영화에 대한 인사들의 강연까지 준비돼 있습니다. 많은 분들과 함께 다양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오늘은 영화 콘서트 시작 전 언론에 대한 영화 한 편 살짝 소개해 보려고 해요. 이번 영화 콘서트에서 상영하는 영화는 아닙니다. 1976년에 개봉한 아주 오래된 영화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입니다. 앨런 J. 파큘라 감독이 1972년 6월에 미국에서 일어난 워터게이트 사건을 재조명한 영화로 시대가 많이 지났지만 영화가 주고 있는 메시지는 여전히 명확하고 우리가 다시 한 번 꼭 되짚어 봐야 할 순간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워터게이트 사건 FBI..
2015.04.22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4월 3주)
비가 많이 왔던 한 주였습니다. 덕분에 빗소리를 들으며 조용히 책 읽기에 좋았습니다. 이번 주부터는 따듯한 봄 날씨라고 하니 책 한 권 들고 가볍게 산책 나가기 좋을 것 같습니다. 4월 3주 신간은 자서전에서부터 다큐멘터리 형식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책들이 선정됐습니다. 1위는 스마트 기기가 지능을 저하시킨다는 주장에 반박을 하는 “생각은 죽지 않는다”, 2위는 힐러리가 국무장관 시절의 일들을 직접 기록한 “힘든 선택들”, 3위는 전문 지식인과 예술인으로 활동한 조선시대 중인들의 이야기를 엮은 “조선의 중인들”입니다.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책에서 읽었던 다양한 간접경험들이 도움이 되곤 합니다. 선정된 책들을 읽고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1위 : 생각은 죽지 않는다 클라이브 ..
2015.04.21 -
개인화•능동화 경향 뚜렷, TV 시청 시간은 감소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정용찬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사회분석실 ICT통계분석센터장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신문이 인터넷 환경에서 유료 독자의 감소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이제는 많은 사람들에게 놀랍지 않은 상식이 되어버렸습니다. 미디어 환경이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과연 미디어 소비자의 관심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주관하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매년 수행하고 있는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는 이러한 관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가장 큰 변화, 스마트폰 영향력 확대 2014년 조사에서 가장 큰 특징을 하나 꼽으라면 단연 스마트폰의 영향력 확대를 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와 문자 메신저라는..
2015.04.16 -
‘스몰데이터’부터 차근차근 꾸준하게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함형건 / YTN 정치부 기자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용어에 대한 오해부터 바로잡고자 합니다. 데이터 저널리즘이란 말이 탄생한 배경에는 시시각각 생산되는 천문학적 규모의 디지털 데이터, 즉 빅데이터 시대가 자리 잡고 있지만, 기자들이 뉴스룸에서 활용하게 될 대부분의 데이터는 빅데이터라기보다는 ‘스몰데이터’에 가깝습니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이 말하는 빅데이터와 언론계의 빅데이터 활용 개념에는 의미상의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데이터 작업을 처음 시작하는 기자라면, 가장 쉽고 간단한 작업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특히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출입처의 자료, 스프레드시트 행수가 대략 1만 개 미만인 데이터 시트나,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텍스트 자료..
201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