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다독다독 독서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2011.04.18
  •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2011.04.18
  • 신문기자들은 트위터를 어떻게 활용할까?

    2011.04.15
  • 따뜻한 카리스마의 취업 노하우 ‘신문을 통해 자기소개서를 꾸며라’

    2011.04.14
  • ‘아프니까 청춘이다’ 김난도의 꿈 탐색법은?

    2011.04.13
  • 신문의날 표어, 그 시절 시대상 담겨있네

    2011.04.13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대한민국 신문사의 연합체, 신문협회에서는 2006년부터 격년으로 신문이용에 관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독자 프로파일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0년 세 번째 프로파일 조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종이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뉴스 콘텐츠를 접하는 온라인 독자들까지도 집계에 포함시켰는데요. 모든 매체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요즘, 기존 종이신문의 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신문의 위기가 찾아온 것일까요? 그런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이번 신문 독자 조사는 기존의 포괄적 의견이나 태도를 묻는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개별 신문기사 및 광고를 독자들이 직접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신문 이용 행태와 관..

2011. 4. 18. 13:30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블로그 글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질문입니다. 개인 미디어라는 특성상 블로그 글이라 하면 ‘일정한 형식이 없는 자유로운 글’을 뜻했는데요. 하지만 블로그 문화가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든 지금은 일기처럼 가볍게 쓰는 글이 아닌, 어느 정도 정제된 글쓰기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메인을 장식하는 파워블로거들의 글을 읽어보면 전문기자를 능가하는 글솜씨와 논리정연함에 놀라게 되는데요. 그럼 이렇게 ‘읽을만한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 글을 읽을까 말까? 리드문이 90%를 좌우해 최근 나오는 가요들은 대부분 클라이막스 부분을 도입부에 배치해 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노래를 다운 받기 전 30초 간의 미리듣기를 통해 이 노래를 구입할..

2011. 4. 18. 09:34
신문기자들은 트위터를 어떻게 활용할까?

소셜네트워크가 대중화된 요즘, 다양한 사람들이 트위터를 통해 소통하고 있는데요. 연령도, 성별도, 직업도 다른 불특정 다수가 모인 공간인만큼 타임라인을 채우는 멘션도 다양합니다. 단순히 개인적인 잡담을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공유했으면 하는 사회문제를 언급하고 의견을 구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트위터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하면 평소 만나보기 힘들었던 유명인이나 전문가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합니다. 트위터 역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볼 때, 수많은 전문가 중에서 실제 미디어 종사자들의 활용방식이 궁금하지 않을까 하는데요. 현업에서 종사하고 있는 미디어 관계자들, 특히 최전선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기자들은 트위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요? 일반인과는 조금 다른, 그들의 트위터 ..

2011. 4. 15. 13:31
따뜻한 카리스마의 취업 노하우 ‘신문을 통해 자기소개서를 꾸며라’

요즘 청춘들은 신문을 잘 읽지 않는 편입니다. 그래서 기업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 자체가 많지 않은데요. 그러다보니 자기소개서에는 자신의 입장만을 고려해 서술되어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하지만 상대를 모르고 글을 써서는 좋은 결과를 만들기 힘듭니다. 이는 연애편지의 원리와 마찬가지인데요. 아무리 화려한 수사와 어구로 꾸민다고 하더라도 상대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일방적으로 쓴 글이라면 상대가 그 편지를 좋아하기 어렵겠지요. 설령 당사자가 만남을 수락한다고 하더라도 진심이 없으면 들키기 마련입니다. 연인의 이름도, 직업도, 취향도, 왜 상대를 좋아하게 되었는지 등에 대한 정보조차 모른다면 상대는 당신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실제로는 관심도 없으면서 막무가내로 들이댄다고 생각하지 않을까요. 이것은 자기소개..

2011. 4. 14. 09:47
‘아프니까 청춘이다’ 김난도의 꿈 탐색법은?

20대 ∙ 대학생 ∙ 청춘 이런 단어들은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밝고 명랑하고 희망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언젠가부터 이런 단어들을 우리 20대 대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대학생이 되면 애인도 만들 수 있고, 너 하고 싶은 것 다 할 수 있어’라는 부모님의 말씀이 이제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된 듯 합니다. 오히려 대학 입학과 동시에 꿈을 잃고 자신감을 잃어가는 것이 지금의 대학생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런 아픈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청춘들을 위해 4번째 강연자로 김난도 교수가 나섰습니다. 김난도 교수는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통해 힘들어하는 젊은이를 위한 희망 레시피를 전했는데요. 현장 등록을 위해 긴 줄을 선 학생들을 보며 인기를 실감할 수 있..

2011. 4. 13. 13:34
신문의날 표어, 그 시절 시대상 담겨있네

4월에는 많은 기념일이 있답니다. 새봄을 맞이하는 식목일을 비롯해 독재를 타도한 4.19 혁명기념일, 몸이 불편한 이웃을 돌아보는 4.20 장애인의 날 등이 있는데요. 혹시 이중 신문과 관련된 기념일도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바로 4월 7일 신문의 날인데요. 잘 모르셨다구요? 이래봬도 올해로 55회를 맞이한 유서 깊은 기념일이랍니다. 신문의 날은 1957년 4월 7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기리는 의미로 만들어졌는데요. 신문의 날을 전후한 1주일 동안은 신문주간으로 정해 언론 자유의 중요성과 신문의 역할을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행사로 한국 신문의 지향점을 짧은 문구로 정리한 ‘신문의 날 표어 공모전’을 들 수 있는데요.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각..

2011. 4. 13. 09:27
1 ··· 170 171 172 173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