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다독다독 NIE 스마트폰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미디어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이벤트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홍보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하는 보도자료 Tip

    2011.05.09
  • 취재에서 배달까지, 신문은 이렇게 만들어져요

    2011.05.06
  • 광고, 취재, 경쟁이 없는 북한신문

    2011.05.06
  • 신문 멀리하게 되는 원인은 기자 때문이다?

    2011.05.04
  • 예비언론인들에게 들어본 언론고시 합격 전략은?

    2011.05.04
  • 의외로 쉽다, 신문재활용으로 만든 나만의 편지함

    2011.05.03
홍보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하는 보도자료 Tip

홍보 담당자는 회사를 대변해야 하는 업무 특성상 여러 개의 신문과 인터넷 등 많은 정보를 수집하게 됩니다. 수집하다가 잘못된 정보가 있거나 이슈가 터질 때면 재빠르게 보도자료를 작성해 배포하기도 하죠. 그런데 보도자료를 보게 되면 도대체 어떤 말을 하고 싶었던 건지 도무지 알 수가 없고, 몇 번이나 반복해서 읽어야 겨우 이해가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래 기업/기관이 알리고자 하는 바를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자료인데 왜 이렇게 어렵게 쓰는지 의문이 들 때도 있구요. 보도자료는 잘 쓰는 것 보다 쉽게 쓰는 게 오히려 독자에게는 받아들여지기가 편한데요. 반드시 ‘보도자료는 이렇게 써야 한다’라는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도자료를 작성할 때에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보도..

2011. 5. 9. 09:05
취재에서 배달까지, 신문은 이렇게 만들어져요

우리는 하루의 시작을 신문과 함께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일 아침 오늘은 어떤 새로운 세상 이야기가 펼쳐져 있을지 기대하며 신문을 읽고 있는데요. 이렇게 접하는 신문이 나오기까지는 정말 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력이 숨어있죠. 신문의 기사는 항상 새롭습니다. 어제와 똑같은 내용의 기사가 오늘 다시 나올 수는 없죠. 그렇다면, 그렇게 새롭고 많은 기사가 어떻게 하루 만에 뚝딱 만들어질까요? 신문을 읽다보면 과연 어떤 제작과정을 거친 후 우리가 읽게 되는지 궁금할 때도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엔 신문이 우리에게 배달 되기까지의 과정을 한 눈에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건, 사고, 뉴스의 현장에는 항상 기자들이 있습니다 신문이 만들어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기자가 아닐까 합니다. 뉴스를 찾아 ..

2011. 5. 6. 13:42
광고, 취재, 경쟁이 없는 북한신문

안녕하십니까. 동아일보 기자 주성하라고 합니다. 오늘부터 북한 신문에 대해서 여러 회로 나눠 연재하려 합니다. 북한이라는 사회의 특성상 신문이라는 것도 보나마나 뻔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싶지만, 의외로 그 뻔해 보이는 북한 신문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또한 현실입니다. 북한의 신문은 존재 목적 자체가 한국을 비롯해 세계의 대다수 신문과는 다릅니다. 우리의 신문은 말 그대로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하지만 북한의 신문은 새 소식 전달보다는 노동당 정책을 선전하고 사람들을 교육시키려는 목적이 더 큽니다. 존재 목적뿐 아니라 구독 행태와 배달 방식, 신문사 운영 방법 등도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신문과는 많이 다릅니다. 우리의 눈에 때론 황당하고, 때론 웃기고, 때론 진지하..

2011. 5. 6. 09:00
신문 멀리하게 되는 원인은 기자 때문이다?

많이 읽든(다독多讀) 잘 읽든(정독精讀) 무엇인가 읽는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 읽지 않고서는 판단을 한다든가 행동을 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읽는 행위는 불가피하게 거의 모든 인간 행위의 출발점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정말 그럴까요? 한 번 더 생각해보면 읽는 행위에 앞서는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아주 명백하게 그렇습니다. 그것은 제대로 쓰는 행위입니다. 글이 제대로 쓰여야 제대로 읽는 것도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비문(非文)과 알아듣기 힘든 암호로 점철된 글을 주고서 “이거 정말 중요한 것이니 잘 읽어보라”고 신신당부 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건 거의 고문이나 다름없을 겁니다. 읽어봐야 남는 것도 없을 것이구요..

2011. 5. 4. 13:14
예비언론인들에게 들어본 언론고시 합격 전략은?

요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서 공부하는 스터디 모임이 대세입니다. 학원을 안 다녀도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힘든 공부지만 여럿이 함께 하니 덜 힘든 장점도 있는데요. 이렇게 같은 목표를 향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 토익, 면접, 영어회화 등. 정말 다양한 스터디 모임 중에서 이번에 만나본 모임은 비교적 다른 스터디에 비해 대중화(?)되지 않은 언론고시 스터디 모임이었는데요.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대학생들의 진지함이 느껴졌던 그들만의 수업현장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언론고시의 막막함, 스터디 모임에서 해결하다 언론사 시험은 ‘언론고시’라는 말이 있듯이 예로부터 높은 경쟁률과 난이도를 자랑하는데요. 정작 목표를 잡고 열심히 노력하려 ..

2011. 5. 4. 09:05
의외로 쉽다, 신문재활용으로 만든 나만의 편지함

신문을 보고 난 후에 여러분들께서는 어떻게 하세요? 폐품을 주우러 다니시는 어르신들을 위해 지하철 선반 위에 올려놓기도 하고, 재활용을 위해 신문을 분리 수거함에 넣기도 하는데요. 신문지를 돌돌 말아 작은 막대형태의 기둥을 만들면 보기보다 튼튼한 재활용 소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릇은 물론 작은 수납함까지 만들 수 있으며, 공작소재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죠. 이번에 블로거 데코트리님께서는 신문을 활용해 예쁜 편지함 만드는 법을 전수해 주셨는데요. 한번 볼까요? 신문지 1부, 고체풀, 목공풀, 가위, 칼, 자, 연필, 아크릴물감, 젯소, 바니쉬, 붓 먼저, 신문지 1장당 4등분을 해서 잘라둡니다. 그 후에 끝부분에 붓이나 가느다란 펜을 끼워서 돌돌 말아주고, 끝에 고체풀을 발라 접착시켜 주는데요. 이..

2011. 5. 3. 13:43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