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뉴스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책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미디어 기자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기억력 상실의 시대, 가장 좋은 디지털 치매 예방법은?

    2011.04.26
  •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2011.04.25
  •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2011.04.21
  • 종이 편집을 알아야 온라인 뉴스가 재미있어진다?

    2011.04.20
  •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2011.04.20
  • 책보다 사람 만나는 재미, 독서모임 참여해보니

    2011.04.19
기억력 상실의 시대, 가장 좋은 디지털 치매 예방법은?

얼마 전 온라인게임에 적용되는 ‘셧다운제’가 국회 법사위를 통과했다고 합니다. 셧다운제는 만 16세 미만 청소년들이 심야 시간에 게임에 접속하지 못하게 하는 법인데요. 밤 12시가 되면 접속이 끊어지도록 되어 있기에 일명 ‘신데렐라법’이라고도 합니다. 이 제도를 두고 게임업계와 정부의 입장은 상반되어 있는데요.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법적인 제재를 고려할만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나아가 인터넷 중독이 심각하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꼭 청소년층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닌데요. 하루라도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고, 한 번 접속하면 며칠이고 밤을 샐만큼 온라인 게임에 빠지며, 사람들과 어울려 대화를 나누는 대신 인터넷을 통한 피상적인 교류가 증가하는 등 모든 연령대에서 조금씩은 인터넷 의존..

2011. 4. 26. 09:21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최근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기기와 첨단기술은 문화 콘텐츠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출퇴근 시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인데요. 스마트폰 하나만으로도 새로운 뉴스 소식은 물론 게임과 책, 영화까지 즐길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죠. 이런 추세 때문에 자연스레 신문과 책을 읽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젋은 세대에서는 전자책(E-Book)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종이책 위주의 독서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과 초•중•고등학생 3천명을 대상으로 ‘2010년 국민 독서실태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만 18세 이상 성인의 연평균 독서율은 2009년보다 6..

2011. 4. 25. 09:15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요즘 대학생들이 가장 관심 있어하는 분야 중 하나는 언론과 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신문방송학과’같은 언론분야 학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큰 뜻을 품고 좀 더 열정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빛내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언론인이 되고 싶어하는 많은 학생들을 위해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하고 기자라는 꿈을 이룬 언론인을 만나봤는데요. 서울신문의 김소라 기자(26)를 만나 기자가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을 물어보고, 기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어떤 말을 들려줬는지 김소라 기자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 힘든 만큼 보람도 큰 일이 기자 아닐까요? 작년 10월 4일 입사해 정신없던 6개월간의 수..

2011. 4. 21. 13:27
종이 편집을 알아야 온라인 뉴스가 재미있어진다?

요즘은 뉴스와 정보에 대한 경계가 희박해진 상황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유통되는 가장 큰 정보의 리소스는 여전히 뉴스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뉴스를 소비하며 생활합니다. 온라인 및 모바일 접촉 환경이 크게 부각되면서 과거에 비해 종이나 방송으로 뉴스를 소비하던 때 보다 미디어 절대량은 훨씬 많아졌습니다. 매체가 다양해지고, 매체의 진입장벽도 거의 없습니다. 많은 신생 언론사들이 등장했고, 그리고 블로그-유튜브-트위터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무료로 게재하고 소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됐습니다. 검색엔진은 잠재적으로 개방된 온라인 정보들을 모아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다시 확산시킵니다. 스마트 기기와 소셜네트워크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에 촉매제가 됐습니다. 미디어 세..

2011. 4. 20. 13:22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우리가 사는 세상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살며, 하루에도 많은 사건들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생기는 사건 중 어떤 사건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고, 어떤 사건들은 알려지지 않는데요.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바로, 알려진 사건에는 알려지지 않은 사건보다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어떤 요건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뉴스에 대해 흔히 ‘그 날 일어난 새로운 일’이라고 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하루에 일어난 일 중에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것’ 이라고 할 수도 있겠는데요. 이처럼 뉴스란 신문기자가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하거나 흥미로운 사건을 신문에 실어 놓은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가 사람을 물면 뉴스가 되지 않지만, 사람이 개를 물면 뉴스가 된다” 라고 말했던 저명한 언론인 찰스 대너..

2011. 4. 20. 09:08
책보다 사람 만나는 재미, 독서모임 참여해보니

“책 읽는 게 재미있어요? 책 그냥 읽기 귀찮아요. 시간이 없어요.” 그동안 책 블로그를 운영하며 들어온 제일 많이 들은 말이 '읽을 시간이 없다'는 것과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는 두가지였습니다. 없는 시간도 쪼개서 책 읽을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바로 '흥미'랍니다. 책 읽는 즐거움을 알게 되면 짬짬이 남는 시간에 친구와 메신저나 트위터로 수다 떠는 시간보다 책을 읽는 시간이 자연스레 늘어납니다. 요즘은 전자책(e-book) 어플이 많아져서 언제든지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었으니 책에 대한 흥미만 가지면 언제든 책과 함께할 수 있습니다. 책 읽는 흥미, 독서토론 모임에서 찾아라 저는 책읽기가 어렵다는 분들에게 독서모임에 참여해 책이야기를 나누어 보라고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독서모임에 참여..

2011. 4. 19. 09:49
1 ··· 169 170 171 172 173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