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공모전 스마트폰 이벤트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신문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막장토론’에도 돋보인 팩트체크

    2016.10.19
  • 검은 시위

    2016.10.18
  • 공공제약사 설립 찬반논란

    2016.10.14
  •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이별'

    2016.10.12
  • 노벨상 그리고 일본

    2016.10.12
  • 대한민국은 비타민D 결핍 국가?

    2016.10.11
‘막장토론’에도 돋보인 팩트체크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9월 26일 힐러리와 트럼프의 대선 1차 TV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8,400만 명의 미국인이 지켜본 첫 TV 토론 이후 경합주에서 힐러리의 지지율은 반등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9일에는 2차 TV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2차 토론 후 여론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그리고 어떤 말이 오갔을까요? 미국 여론과 주요 쟁점에 관한 힐러리와 트럼프의 발언을 팩트체크 해보았습니다. #미국에서 바라보는 두 후보 부동산 재벌 출신의 도널드 트럼프(70, 이하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와 미국 역사상 첫 주요정당 여성후보인 힐러리 클린턴(68, 이하 클린턴) 민주당 대선후보는 역대 미국 정치권에서 보기 드문 대통령 후보들이다. 막말과 기행으로 이목을 끌었던 트..

2016. 10. 19. 17:00
검은 시위

[요약] ‘죽음’이나 ‘절망’을 상징하여 불의에 저항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검은색. 지난 5월부터 캄보디아에서 ‘블랙 먼데이(Black Monday)'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시민단체들은 매주 월요일마다 검은 옷을 입고 나가 훈센 정부의 폭압 정치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여 구속 수감된 인권운동가 5명의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는 전면 낙태금지법에 반대하는 여성들과 이에 공감한 남성들이 검은 옷을 입고 시위에 나섰습니다. 3만 명의 시위대가 바르샤바 광장에 모였고 '나의 자궁은 나의 선택'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했습니다. 이에 지난 6일 폴란드 정부와 의회는 전면 낙태금지법을 철회했습니다. 검은색은 ‘죽음’이나 ‘절망’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검은색의 어두운..

2016. 10. 18. 12:00
공공제약사 설립 찬반논란

[요약] 최근 제약업계에 공공제약사 설립에 대한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올라 찬반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는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복지부와 제약사측은 반대의 입장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공공제약사 찬반의견과 해외 사례를 살펴봅니다. 공공제약사 설립을 놓고 정치권·정부부처·제약업계, 그리고 학계와 시민단체 간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시민사회단체는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건복지부와 제약사 측은 반대의 입장을 내비치고 있는데요.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국민이 필요한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공공제약사 설립은 국민이 반드시 필요한 의약품을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약을 만들고 시장에 개입하겠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발생했던 메르..

2016. 10. 14. 11:00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이별'

[요약] 최근 ‘안전이별’이라는 말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안전이별’은 연인과 이별할 때 스토킹 당하지 않고, 사진이나 동영상 유출 협박 등 보복 범죄에 시달리지 않고 무탈하게 헤어지는 것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연인을 살해, 폭행 치사해 검거된 사람이 296명에 이르렀고 살인미수로 검거된 사람도 309명에 달했습니다. 데이트폭력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안전이별’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급증하는 데이트폭력 최근 언론에는 이별범죄가 꾸준히 보도되고 있습니다. 스토킹부터, 개인정보 유출, 협박, 폭행 등 크고 작은 괴롭힘을 당하는 여성들이 꽤 많은데요. 지난 여름에는 이별을 통보한 여자친구의 직장을 찾아가 빙초산을 투척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2016. 10. 12. 17:00
노벨상 그리고 일본

[요약] 매년 인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노벨상. 일본은 올해 23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미국에 이어 역대 2위 수상국이 되었습니다. 일본이 노벨상 강국이 된 데에는 탄탄한 과학 인프라와 과학기술분야 투자가 있었습니다. 일본이 2016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000년 이후로 수상자를 집계하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습니다. 노벨상 강국인 일본의 수상 비결을 알아봤습니다. # 일본, 3년 연속 노벨상 받다 일본이 올해도 노벨 과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지난 3일, 노벨 생리의학상에 오스미 요시노리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가 선정된 것입니다.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는 세포 내 불필요한 단백질을 재활용하는 ‘오토 파지(autoph..

2016. 10. 12. 11:00
대한민국은 비타민D 결핍 국가?

[요약] 최근 한국의 성인 남녀 10명 중 9명이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D 결핍 상태에 빠져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알레르기 비염과 같은 면역성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필수 영양소 비타민D. 비타민D 결핍을 막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비타민D 결핍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이 2010년 약 3천 명에서 2014년 3만 1천 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진료인원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남성(86.8%)보다 여성(93.3%)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0년은 10세 미만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지만 2012년 이후 적극적인 건강검진 등의 이유로 40대, 50대 진료인원이 매우 증가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비타민..

2016. 10. 11. 17:00
1 2 3 4 5 6 7 8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