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스마트폰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NIE 독서 책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세 부모 아기 출산 ‘유전병 부모의 해결책 될까?’

    2016.10.11
  • 성과 연봉제가 뭐길래?

    2016.10.07
  • 치약에 발암물질이?

    2016.10.06
  • 부르키니 금지 논란, 당신의 생각은?

    2016.10.05
  • 지진, 미리 알 수 있다? 지진 전조현상 논란!

    2016.10.04
  • 필리핀, 마약전쟁인가 인권전쟁인가

    2016.10.03
세 부모 아기 출산 ‘유전병 부모의 해결책 될까?’

[요약] 지난 2월 영국 의회에서 ‘3부모 체외수정법’이 통과되며 논란이 일어났던 가운데, 최근 미국 연구진에 의해 세 명의 DNA를 가진 ‘세 부모 아기’가 출산됐습니다. 세 부모 아기 출산의 찬반양론을 살펴봤습니다. 세계 최초로 엄마, 아빠, 난자제공자 등 세 명의 유전자를 결합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유전 질환을 막는 획기적인 시술이라는 입장과 생명윤리의 금기를 넘었다는 입장이 엇갈려 의학계에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했죠. 세 부모 아기 출산, 찬반양론을 살펴봤습니다. #유전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희망을 세계 최초로 세 부모를 가진 아기는 요르단 출신의 부모를 둔 아브라힘 하산입니다. 하산은 엄마의 유전자 변이를 물려받지 않기 위해 엄마의 난자에서 빼낸 핵을 공여자의 난자에 주입한 후 아빠의 정자..

2016. 10. 11. 11:00
성과 연봉제가 뭐길래?

[요약] 최근 금융권과 철도ㆍ지하철 노조 측에서는 파업이 이어졌습니다. 잇따른 파업의 이유에는 성과 연봉제가 있었습니다. 기업 생산성과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성과연봉제의 도입에는 객관적인 평가기준과 법적 근거에 대한 논란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금융권과 철도 지하철 노조, 의료 공공부문 측에서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며 파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성과연봉제가 무엇인지, 성과연봉제의 찬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기업 생산성, 경영 효율성 높이는 성과연봉제 성과연봉제란 개인과 팀이 달성한 실적을 급여, 승진 같은 보상과 연결하는 인사 체계입니다. 현재 연봉은 연공, 직급과 비례한 기본급에 부가급을 더하는 구조입니다. 성과연봉제란 부가급을 개인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비율을 점차 늘려나간다는 의미입..

2016. 10. 7. 11:00
치약에 발암물질이?

[요약] 국내 유명 화장품 제조업체인 아모레퍼시픽에서 만든 치약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에서 검출된 위해 성분이 검출되었습니다. 식약처는 치약 11개 제품에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드러나 해당 제품 회수 및 판매 중단 조치를 내렸습니다. #치약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지난달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아모레퍼시픽의 치약 11개 제품에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드러나 해당 제품 회수 및 판매 중단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CMIT/MIT는 문제가 됐던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유독성이 강해 코나 입으로 흡입하면 기침, 호흡곤란, 폐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알레르기..

2016. 10. 6. 15:00
부르키니 금지 논란, 당신의 생각은?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프랑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슬람 여성의 전신 수영복 ‘부르키니’ 착용을 금지하기 시작했습니다. ‘종교를 드러내는 옷이 공공질서를 어지럽힐 수 있다’는 이유라고 했으나 테러로 인한 이슬람 반대 정서라는 의견이 다분합니다. ‘부르키니’ 착용 금지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견해를 소개합니다. #부르키니 착용, 이슬람과 프랑스의 정체성 격돌 지난 8월 프랑스 휴양도시 니스의 바닷가에서 네 명의 무장경찰이 지켜보는 가운데 윗옷을 벗고 있는 이슬람 여성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이슬람계 여성을 위해 고안된 수영복인 부르키니를 벗으라는 경찰의 지시에 따르는 장면이었다. 이 사진은 논란이 됐고, 해변에서 부르키니 착용을 금지해야 할지, 허용해야 할지를 두고 ..

2016. 10. 5. 11:01
지진, 미리 알 수 있다? 지진 전조현상 논란!

[요약] 9월 12일 규모 5.8의 지진이 경주를 훑고 가면서, 지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지진운, 가스 냄새 등을 이유로 지진 전조현상이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지진 전조현상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9월 12일부터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자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지진운’과 동물들의 ‘특이 행동’ 등이 지진 전조현상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진 전조현상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과학적 의견은 어떤지 알아봤습니다. #숭어와 개미 떼 이동 지난 8월 30일 울산 태화강 인근에서 숭어 떼가 2~3km 정도 일렬로 줄지어 이동하는 모습이 발견됐습니다. 경주지진 13일 전 촬영된 이 영상은 ‘지진 전조현상’이 아니냐는 의혹과 함께 화제가 됐습니다. 하지만 관련 전문가들..

2016. 10. 4. 11:00
필리핀, 마약전쟁인가 인권전쟁인가

[요약]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시작한 ‘마약전쟁’. 취임한 7월 1일부터 50여 일 동안 마약 용의자 1,779명이 사살됐습니다. 무차별 인명 살상에 대해 인권단체가 비판의 목소리를 이어가고 있으며, 유엔 인권기구들은 이와 관련한 인권침해 실태에 대한 현장조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약전쟁의 시작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필리핀의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7월 1일 취임을 하면서 ‘마약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마약과의 전쟁’, ‘부정부패 척결’을 우선 해결과제로 내세웠습니다. 그는 언론을 통해 마약 매매 연루 의혹이 있는 공직자와 정치인 등 159명의 명단을 공개하며 24시간 안에 소속 부처·기관에 혐의 사실을 보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거부하면 경찰에 체포 명령을..

2016. 10. 3. 17:00
1 ··· 3 4 5 6 7 8 9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