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교육 공모전 기자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읽기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뉴스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2013.04.19
  •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2013.04.17
  • 불안 파고드는 과잉보도 살펴보니

    2013.04.15
  • ‘나혼자 산다’로 생각해본 1인 가구 현상

    2013.04.12
  • 충무로 최고 이야기꾼은 강풀? 그 속내 살펴보니

    2013.04.12
  • 서울 세계 자살률 1위, 지금 돌아봐야 할 것

    2013.04.11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아마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실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와 2조입니다. 그렇다면 그 헌법 전문에서도 인정하는 우리나라의 두 뿌리가 되는 역사적 사건을 아시나요? 바로 3.1 운동과 4.19 혁명입니다.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적혀있죠. 오늘은 바로 대한민국의 뿌리가 되는 4.19혁명 53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뜻 깊은 날에 당시부터 지금까지 신문 기사들은 4.19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4.19 혁명이 일어난 배경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국민들의 기대와는 달리 안타깝게도 1848..

2013. 4. 19. 09:43
뉴스스탠드 시행 2주,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

N포털 사이트의 신문보기 방식이 로 바뀐 지도 2주가 지났습니다. 기존에 제목을 통해 독자를 끌어들이던 방식에서 신문 지면을 그대로 가져와 게재하는 방식을 택한 는 도입부터 온라인에서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를 시작한지 2주가 지난 지금, 초기부터 거론되었던 언론사 트래픽 감소가 역시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50%이상 감소한 방문자 수에 많은 언론사는 충격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포털사이트 하나로 언론사 전체가 들썩이게 된 이유, 현재 온라인 뉴스 생태계는 어떤 변화를 앓고 있는 것일까요? ▲ 신문 가판대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갈등, 첫 시작부터 많은 언론사들의 우려를 샀던 도입이 2주가 지난 지금, 예상보다 더 큰 후유증이 몰아쳤습니다. 무료로 포털사이트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

2013. 4. 17. 09:54
불안 파고드는 과잉보도 살펴보니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편승해 뜬소문들이 나돌고 있습니다. 북한의 공격이 시작되면 가장 안전한 곳이 ‘중국 관광객이 가장 많은 백화점이다’ 같은 괴담들 말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SNS뿐 아니라 언론들에서도 북한 관련 괴담이나 미확인 정보를 지나치게 크게 부풀리거나 외신마저 과잉보도를 하는 경우가 나타났다는 것이죠. 북한의 전쟁도발이 평소보다 수위가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고조되는 북한의 핵도발에 어떤 외신은 화재에 대비해 원래 지하철역에 상시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방독면과 마스크까지 전쟁 대비 물자가 민간에 풀리기 시작했다며 한반도의 위기를 부풀렸습니다. 또 어떤 외신은 한 지하 주차장을 북한의 핵공격을 피하기 위한 지하벙커라고 소개하는 웃지 못 할 일도 있었죠. 언론은 항상 사실에 입각한 정보를 근거로 공..

2013. 4. 15. 09:42
‘나혼자 산다’로 생각해본 1인 가구 현상

1인 미디어, 1인 창업, 1인 미용실, 1인 시위, 1인 가구까지 이제 혼자서 무언가를 한다는 게 전혀 어색하지 않은 세상이 되어 가고 있는데요. 이제 예능에서도 1인 가구를 다루고 있습니다. MBC 예능 프로그램인 ‘나 혼자 산다’는 혼자 사는 연예인들의 일상을 불타는 금요일 심야에 보여주고 있는데요. 최근 자발적, 비자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1인 가구에 대해 생각해볼까요? [출처 – 나 혼자 산다] 대가족? 핵가족마저 해체 중 나 혼자 산다는 지난 설날 방영한 남자가 혼자 살 때가 좋은 반응을 얻어 정규 편성이 된 프로그램인데요. 모든 프로그램이 민족의 대명절을 맞이해 외국인들까지 한복을 입히고 좋은 점이든 나쁜 점이든 가족이 모인 문화에 대해 방송하고 있던 가운데 혼자 사는 남자들의 삶을 보여주는..

2013. 4. 12. 14:00
충무로 최고 이야기꾼은 강풀? 그 속내 살펴보니

이제는 ‘원소스 멀티유즈’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게 다가옵니다. 소설이 영화가 되고, 영화가 뮤지컬이 되면서 많은 콘텐츠들이 제작기획 단계부터 한 개의 플랫폼을 넘어 다양한 플랫폼을 생각하고 만들어진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은 풍토는 이제 원소스멀티유즈가 콘텐츠 제작에 당연한 법칙이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현재 충무로에 강타한 바람은 바로 웹툰입니다. 충무로의 최고 이야기꾼은 더 이상 명감독이 아닌 웹툰작가 ‘강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웹툰의 영화화가 이제는 비일비재 한데요. 오늘은 충무로에 불고 있는 웹툰의 영화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충무로의 최고 이야기꾼 ‘강풀’ [출처-서울신문] 충무로 왜, 웹툰의 이야기에 빠져들었을까? 웹툰이 영화로 제작되는 풍토는 오래되었지만, 올해만큼 ..

2013. 4. 12. 09:30
서울 세계 자살률 1위, 지금 돌아봐야 할 것

세계 1위의 도시 서울. 안타깝지만 불명예스러운 자살률 순위입니다. 서울의 자살률은 미국 뉴욕의 4.8배이며 마찬가지로 자살률이 높다는 일본 도쿄보다도 평균 3.2명이 많죠. 한편 중국은 낙태 문제로 떠들석 합니다. 매년 서울시 인구에 해당하는 1,300만 건이나 낙태수술이 이뤄지고 있다고 해요. 낙태와 자살, 세계 곳곳에 생명 경시가 만연해 있는데요. 오늘은 우리 사회의 생명 경시 풍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출처 – 서울신문] 자살도 양극화 되는 세상. 가장 큰 원인은 경제적 어려움 서울시 자살률이 세계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인구 10만명당 26.1명(2009년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욕(5.5명), 런던(9.0명), 홍콩(15.2명), 도쿄(23.0명)..

2013. 4. 11. 14:14
1 ··· 86 87 88 89 90 91 92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