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언론진흥재단 기자 미디어교육 공모전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독서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초연결 사회와 소셜미디어 성장의 역설

    2023.10.11
  • 한글날과 미디어 리터러시, ‘순화어’를 알아보자

    2023.10.06
  • 추석 명절,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문해력)가 필요한 순간!

    2023.09.26
  • 미디어 과의존, 소통 역량은 하락…성찰과 표현 기회 늘려야

    2023.09.22
  •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23.09.20
  •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2023.09.14
초연결 사회와 소셜미디어 성장의 역설

책 소개-‘포스트매스미디어: 연관성 위기에서 초위기로’ ​ written by. 김용찬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 지금 우리는 디지털 혁명이 불러온 변화의 한복판에 서 있다. 특히 미디어는 이 변화의 바람을 정통으로 마주하고 있다. 누구나 유튜브 채널이나 개인 SNS에서 사적이고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방송할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찾아보는 새로 나온 책, 《포스트매스미디어》의 주요 내용을 저자가 직접 소개했다. ​ 이제는 ‘어떻게 리터러시 높은 미디어 환경을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어떻게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하면서도, 정의롭고, 평등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을 돕고, 차이와 다름을 포용하는 미디..

2023. 10. 11. 12:00
한글날과 미디어 리터러시, ‘순화어’를 알아보자

한글날과 미디어 리터러시, ‘순화어’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다가오는 10월 9일은 한글 반포 577년을 기념하는 한글날입니다. 한글은 문자가 어려워 쉽게 읽고 쓰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쉽게 배워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고유한 문자인데요. 한글 덕분에 우리는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정보들을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나의 의견이나 주장을 글로 써서 사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디어리터러시 역시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많은 정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때로는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이해 능력을 말하는데요. 오늘 편집부에서는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반포 의의를 다시 한 번 되새겨보고, 우리가 여러 가지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순화된 용어들을 몇 가지 소개..

2023. 10. 6. 16:00
추석 명절,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문해력)가 필요한 순간!

추석 명절,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문해력)가 필요한 순간! (with.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곧 추석 연휴가 시작됩니다. 다른 때보다 긴 연휴인 만큼 가족·친지들과 두런두런 대화할 시간도 많은데요. 명절 대화 주제에는 아무래도 시사 소식이 빠질 수 없겠죠? 교통 상황을 알려주는 귀성·귀경길 뉴스, 성묫길·나들이길 날씨 뉴스를 비롯해, 정치인들의 활동 뉴스, 대목을 맞은 시장물가 안내 뉴스 등 여러 매체가 평소보다 더 많은 특집 소식을 쏟아냅니다. 정보가 많이 쏟아지는 만큼, 그 중 올바른 정보를 판별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이런 불상사를 사전에 막기 위해 필요하죠.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비판적으로 이해·활용하며, 나아가 이를 창조적으로 표현하고소..

2023. 9. 26. 12:00
미디어 과의존, 소통 역량은 하락…성찰과 표현 기회 늘려야

코로나19 이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written by.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대담. 김아미 (서울대 빅데이터혁신융합대학 연구교수)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김광희 (진말초 교사) ‘코로나 학번’ 세대를 채용한 영국의 대기업이 이들을 대상으로 입사 후 재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여파로 격리된 채 대학 생활을 보낸 탓에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지는 등 회사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과연 학교 선생님들은 코로나 이후의 교육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계간 는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 연구자와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천 중인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 ​ 코로나 이후 미디어교육의 목표는 일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균형..

2023. 9. 22. 09:30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당첨자 발표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되었던 여름호 퀴즈 이벤트 블로그 댓글 총 505개로 엄청난 참여율을 보여주셨는데요. 그 정답 먼저 공개합니다! 1. 퀴즈 1. 이번 여름호의 특별기획 주제는? ○○ 리터러시 교육 ​ 정답: AI 2.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일컫는 단어는? (힌트: 특별기획 2-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p.14) ○○○ ○○ ​ 정답: 디지털 소양 다들 잘 맞혀주셨나요? 이벤트 당첨자로는 총 열 분을 선정했습니다.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 ​ ​ 당첨되신 분들은 9월 26일(화)까지 본 게시글 비밀댓글에 '닉네임(아이디) / 연락..

2023. 9. 20. 11:25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미디어 리터러시 ​ 아프리카에서 인육 케밥을 판매한다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트럼프를 지지했대! 북한에서는 설 명절 선물로 마약을 주나 봐? A형 혈액형이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하다며? 위의 정보들은 정말 100% 사실일까요? 유언비어나 허위 사실, 엉터리 지식은 머나먼 고대사회에서도 존재했지만, 이런 “카더라” 소식들이 이제는 현대 사회의 발전된 디지털 기술을 만나 합성 사진은 물론, 육성을 흉내 내는 AI 딥페이크(Deep Fake) 영상으로까지 제작되어 온라인에 무분별하게 공유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 ​ ​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2023. 9. 14. 09:00
1 ··· 12 13 14 15 16 17 18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