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뉴스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기자 다독다독 NIE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책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금 나와라, 뚝딱? 준비 시간 줄었지만…아직은 ‘글쎄’

    2023.06.2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2023.06.15
  •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2023.06.14
  • 전문 인력 양성에 집중, AI 리터러시 교육은 미흡

    2023.06.13
  •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2023.06.07
  •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2023.05.30
금 나와라, 뚝딱? 준비 시간 줄었지만…아직은 ‘글쎄’

챗GPT를 활용한 미디어교육 수업 준비 ​ written by. 김광희 (경기 진말초 교사) ​ 지난 2월 13일 교육부는 챗GPT와 관련해 전 직원 대상 공개 포럼을 개최했다. 챗GPT 시연을 지켜본 교육부 관계자 사이에서는 ‘앞으로 교육부 직원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걱정 섞인 우스갯말도 나왔다고 한다. 챗GPT가 교육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라는 전망이 있다. 만병통치약은 아닐지라도 수업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학교 수업 준비를 위해 챗GPT를 활용한 흥미로운 사례가 있어 소개한다. ​ 챗GPT의 대화형 알고리즘으로 인해 수업 자원 탐색 과정이 상당 부분 줄었을 뿐 아니라 챗GPT가 제안하는 활동 중 유의미한 활동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줄어든 시간이 ..

2023. 6. 20. 13:1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 노인과 장애인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와 미디어 콘텐츠 속에는 의외로 많은 차별과 혐오 표현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은 주로 노인, 여성,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소수자, 사회적 약자를 향하고 있다. 비장애인, 남성 등 주류의 시선으로 이들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순서는 바로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았다.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미디어 속 노인과 장애인의 모습은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 가공의 이미지이다. 다양한 현실의 모습이 아닌 하나의 전형적 이미지로 재현될 경우, 소수자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과 편견이 강화되어 공동체 사회의 다양성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 ​ ..

2023. 6. 15. 11:55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 기사형 광고는 기사 형식을 빌린 광고로, 구성이나 내용, 편집 방법 등으로 인해 독자로 하여금 ‘광고’가 아닌 ‘기사’로 오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지난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에서 다룬 내용이기도 한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기사형 광고! 오늘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 blog.naver.com ​ 기사형 광고는 언론사의 재정적 안정과 광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독자가 기사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만적이며, 잠재적 소비자인 독자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 ​ ​ ​ ​ 기사형 광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계와 광고계가 ..

2023. 6. 14. 17:50
전문 인력 양성에 집중, AI 리터러시 교육은 미흡

해외 AI 교육 정책 동향과 시사점 ​ written by. 황현정(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챗GPT가 쏘아올린 AI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AI가 새로운 기술은 아니지만 챗GPT는 기존의 AI와는 달리 ‘인간’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챗GPT를 향한 관심의 바탕에는 AI 기술의 효율성보다는 이 기술이 불러올지도 모를 디스토피아적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AI와 관련해 우리의 교육 정책은 어디를 향해 가야 할까? 우리보다 앞서 AI 교육 정책을 수립한 해외 여러 나라의 사례를 살펴보며 해답을 얻어보자. 인재 양성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우리 삶에 스며들고 있는 만큼 사회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이러한 기술에 ..

2023. 6. 13. 11:43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을 포함해서 사흘간의 연휴가 시작되었다’ ‘금일까지 과제 제출 바랍니다.’,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립니다’ 최근 문해력 논란을 불러왔던 문장들입니다. ​ ​ ​ ​ ​ 우리가 흔히 문해력이라고 생각하는 ‘리터러시’의 대상은 시대별로 계속해서 바뀌어갔습니다. 단편적으로 조선시대에는 한자를 잘 아는 것이 리터러시였다면 현재에는 한글을 넘어 미디어를 잘 읽는 것이 리터러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제시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 습득 방식은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말에서 글로, 듣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2023. 6. 7. 10:07
[숫자로 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작년 말 시작된 생성형 AI(인공지능)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해를 넘기면서 더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사람들이 챗GPT를 얼마나, 또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20~50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계간 와 함께 보시죠! ​ ​ ​ ​ ​ ​ 여러분은 챗GPT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혹은 이용해본 경험은 있으신가요? 가장 먼저, 설문조사에 참여하기 전부터 챗GPT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60.2%가 챗GPT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고 39.8%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이용해본 적 있는 응답자가 32.8%, 없다는 응답자가 67...

2023. 5. 30. 11:14
1 ··· 15 16 17 18 19 20 21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