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공모전 기자 NIE 신문 이벤트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미디어리터러시와 <유튜브 시대 언론사의 생존 전략> 같이 보기

    2023.10.31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사고 경직은 피하고, 활용법은 제대로 알아야 하는 챗GPT

    2023.10.26
  • 인공지능이 바꿀 미래 학교를 준비하며

    2023.10.23
  • 기획취재 아카이브 – <혐오발전소, 댓글창>

    2023.10.19
  •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2023.10.17
  • 10월의 추천 도서 – 책 읽는 인간, 호모 부커스

    2023.10.13
미디어리터러시와 <유튜브 시대 언론사의 생존 전략> 같이 보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여러분은 요즘 어디에서 뉴스를 보고 있나요?” 많은 분들이 포털 사이트나 유튜브에서 뉴스를 접하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신문을 읽는다는 표현을 들은 지도 꽤 오래된 것 같은데요. 유튜브를 자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많은 언론사들이 뉴스를 짧은 분량으로 편집해 업로드하거나, 1020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각종 유행어와 밈(meme)을 더해 시사 이슈를 재가공한 콘텐츠를 보셨을 것입니다. 오픈서베이가 전국의 15~59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검색포털에 관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48.5%가 유튜브를 '최신 정보를 얻기 좋은' 매체로 생각하며 ‘전문적인 정보가 많은' 매체로 생각하는 비율 역시 29.8%로, 인스타..

2023. 10. 31. 17:14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사고 경직은 피하고, 활용법은 제대로 알아야 하는 챗GPT

「우선 많이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써 보자」를 바탕으로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 이번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여름호(통권 제25호)에는 챗GPT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주제로 특별기획이 실렸다. 그 뒤를 이어 이번 에서는 그간 챗GPT를 사용하면서 느낀 생각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한다. 우연한 계기로 챗GPT를 알게 됐다. 질문을 하면 척척 답을 만들어준다는 홈페이지라기에 들어가서 몇 번 시험 삼아 질문을 던져봤다. 챗GPT에 대한 첫 인상은 단순히 ‘신기하다’에 머물렀다. 챗GPT가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지자 시대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사용했던 적도 있지만, 오히려 지금에 와서는 잘 사용하지 않게 된 듯하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아직까지는 ..

2023. 10. 26. 09:46
인공지능이 바꿀 미래 학교를 준비하며

서울교육포럼 ‘챗GPT 시대, 현장 교사에게 묻다’ ​ written by. 오은영 (서울특별시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장학사) ​ 교육 현장에서도 챗GPT가 뜨거운 관심사다. 이를 반영해 지난 4월 6일 서울시교육청은 챗GPT의 교육적 활용에 관해 현직 교사들의 목소리를 정취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교육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챗GPT를 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필요조건도 있었다. 먼저 교사들의 인식 개선 및 관련 연수 활성화, 윤리 가이드라인 제공이 요구됐다. 문해력, 글쓰기, 디지털 리터러시 등 학생의 기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사가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 ​ ​ ​ 서울시교육청은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현장 의견과 적용 사..

2023. 10. 23. 18:04
기획취재 아카이브 – <혐오발전소, 댓글창>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 되어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2월에 공개되었던, 국민일보의 을 소개합니다. 얼마 전 네이버는 신고 횟수가 일정 수를 넘은 이용자, 이른바 '악플러'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등을 공개하고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가 지금까지 작성한 댓글까지 공개했..

2023. 10. 19. 09:30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영국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젝트 사례로 보는 미디어 교육의 방향 ​ written by.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 영국 학술지 는 올 2월에 “포스트-팬데믹 시대 뉴스 리터러시 활동과 미디어 조직의 역할(The Place of Media Organisations in the Drive for Post-pandemic News Literacy)”1)이라는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는 ‘챗GPT’ 특집을 맞아 뉴스 미디어가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펴본 이 논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계간 시민 기획위원이 요약해 소개한다. 뉴스 미디어가 직접 운영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맡겨지는 현실을 우려하면서도, 전문 훈련을 받은 기자들이 수용자와 소통함으로써 저널..

2023. 10. 17. 09:30
10월의 추천 도서 – 책 읽는 인간, 호모 부커스

10월의 추천 도서 – 책 읽는 인간, 호모 부커스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요즘 사람들, 문해력이 떨어지는 게 문제라면서?” “긴 글을 집중해서 읽기가 어려워졌어. 어릴 땐 안 이랬는데…….” “책을 좀 읽어야 하는데, 막상 책을 구입하러 서점에 가도 뭘 읽으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한국 성인 절반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안 읽는대.” 최근 각종 뉴스와 신문기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독서량과 문해력에 대한 전문가들의 깊은 우려를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 전환하며 정보를 전달하고 습득하는 방법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영상 매체의 영향력 역시 부쩍 커졌습니다. 그러나 독서는 수많은 미디어 가운데에서도 ‘리터러시(l..

2023. 10. 13. 10:06
1 ··· 11 12 13 14 15 16 17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