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NIE 다독다독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신문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뉴스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7)

  •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2016.04.14
  •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2016.04.13
  • 이세돌 9단 vs 알파고 대결 영문기사 읽기

    2016.04.12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2016.04.12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5)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

    2016.04.11
  • 세상을 바꾼 보도, 참언론에 성역은 없다

    2016.04.11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 미디어 교육가 #들어가는 말 : 미디어는 메시지다 지하철의 풍경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예전엔 커다란 신문을 펴보는 사람, 소설책을 읽는 사람, 옆 친구와 담소를 나누는 사람 등 다양했지만 지금은 하나같이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를 손에 들고 쳐다보고 있다. 지금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풍경이지만, 사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낯선 풍경이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등장이 이처럼 우리의 일상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것이다. 미디어(media)는 그 말의 의미처럼 우리의 삶을 ‘매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고, 또 사람과 사회 사이를 매개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미디어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다. 그 시대에 지배적으로 사용되어지는 ..

2016. 4. 14. 11:56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요약] 내가 투표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내가 투표를 포기했을 때 일어나는 일, 내가 투표를 했을 때 달라지는 일을 비교하여 소개합니다. #그래, 투표하지 마라최근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랩 영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Let's Vote!(작사·작곡 눈노)입니다. 다가오는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이 영상은 제목과 반대되는 가사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다음은 랩 가사입니다. "혼자 벌어먹고 살기 힘들어서 맞벌이/ 내 자식 학교 학비 볼 때마다 간 떨림/ 애는 애대로 친구와 경쟁이고/ 휴가는 무슨 여가생활과도 기약 없는/ 작별인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선거날은 빨간날?/ha 그래, 투표하지 마라/ 무시하고 살아, 줄어드는 반찬에도/ 세상 욕 ..

2016. 4. 13. 09:30
이세돌 9단 vs 알파고 대결 영문기사 읽기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 (부장)·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안녕하세요! 작년 말에 연재를 하다가 이제야 다시 새로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오늘은 영어학습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 있었던 2가지 일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일단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세돌 9단이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를 상대로 마침내 첫 승을 거뒀죠. 3월 13일 열린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5번기 제 4국에서 180수 만에 알파고에 백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알파고는 사람을 상대로는 첫 패를 당했지요. 컴퓨터는 사람이 못하는 걸 아주 잘합니다. 저희는 예를 들어 복잡한 계산을 잘 못하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은 0.001초만에 연산을 통해 바로 답을 맞춥니다. 정확도 측면에서 보면..

2016. 4. 12. 19:00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요약] 고궁 야간개장, 야간 벚꽃놀이, 박물관 야간 개장에 이어 최근 보도된 해운대 해수욕장 야간 개장 소식까지! 낮보다 아름다운 밤을 보내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경복궁 또는 덕수궁 야간개장에 참여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어떤 느낌을 받으셨나요? 조명을 받아 빛나는 밤의 고궁은 고즈넉함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던 낮의 모습과는 다른 색다른 운치를 제공합니다. 최근 고궁에 이어 미술관, 동물원이 야간개장을 했고,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은 야간개장 운영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낮보다 아름다운 밤을 보낼 수 있는 야간개장, 이와 관련된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 야간개장의 첫 주자 고궁과 미술관 [경주: 동궁과 월지] ‘동궁과 월지’를 아시나요? 동궁과 월지는 신라왕궁 서쪽에 위치한 별궁터로 나라의 경사가..

2016. 4. 12. 14:00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5)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공화국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 오스트리아, 신문읽기의 즐거움 재발견! 오스트리아 신문발행인협회는 1996년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신문읽기의 즐거움을 재발견하고 저널리스트로서의 기초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교 신문읽기(Zeitung in der schule; Zis)’ 프로그램을 추진해왔습니다. 매년 10만 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신문만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 이해’, ‘비교연구’, ‘미디어교육 교사 세미나’, ‘..

2016. 4. 11. 16:56
세상을 바꾼 보도, 참언론에 성역은 없다

이규연 탐사저널리스트·JTBC 탐사기획국장 [보도 개요]1. 제목: 가톨릭의 아동 성추행 은폐2. 매체(나라): 보스턴글로브(미국)3. 취재: 월터 로빈슨 등 4명4. 최초 보도일: 2002년 1월 5일5. 수상: 2003년도 퓰리처상 대상(http://www.pulitzer. org/winners/6974) “사제 성추행이라는 은폐된 진실을 꿰뚫는 취재를 보여줬다. 용기 있고 포괄적인 보도로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 영향을 줬다. 그리고 로마가톨릭 교회의 변화를 가져왔다.” 2003년 4월, 미국 퓰리처상 이사회는 찬사를 보내며 대상을 수여했다. 탐사보도에는 여러 애칭이 있다. 워치독(감시견), 머크레이커(추문추적자) 등이 그것이다. ‘스포트라이트’도 그 반열에 오를 만큼 탐사보도의 대명사로 통한다. 필..

2016. 4. 11. 11:31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