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신문 공모전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독서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7)

  • 우리나라의 전문 도서관

    2016.04.26
  •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2016.04.26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2016.04.25
  •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2016.04.25
  •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3주차)

    2016.04.22
  •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2월 수상작 소개 ③

    2016.04.22
우리나라의 전문 도서관

[요약] 모든 분야의 책을 보관하고 있는 일반 도서관과 달리 특정 분야의 전문도서를 모아둔 전문 도서관과 이용 정보를 소개합니다. 도서관이라고 해서 다 같은 다 같은 도서관이 아니라는 사실! 모든 분야의 책을 고루 읽을 수 있는 도서관도 좋지만 가끔은 특정 분야의 전문도서와 정보를 모아둔 이색 도서관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한곳에서 찾는 인권정보 ‘국가인권위원회 인권도서관’ 인권 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인권전문도서관은 어린이부터 노약자까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 열람과 대출 이외에도 매월 4번째 목요일 오후 12시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인권영화 상영회’, 어린이 인권도서 전시회 ‘인권아, 놀자!’, 인권도서관 및 국가인권위원회 소개, 장애인보조공학기기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2016. 4. 26. 15:00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요약]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라는 생소한 개념이 입법 예고돼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알려드립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 지난 2월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Right to disconnect)’라는 생소한 개념을 노동개혁법안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일부 프랑스 회사들은 퇴근 시간 이후 회사 이메일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일본 역시 퇴근 후 상사가 업무상 연락하는 것을 노동기준법 상으로 금지해놨고 위반한 경우 벌칙규정도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자체적으로 근로시간 종료 30분 후에는 회사 스마트폰의 이메일 기능을 아예 차단시켜 버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무엇이고 해외에서 이 권리에 대해..

2016. 4. 26. 09:54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독일·헝가리·아일랜드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독일의 ‘차이퉁스 차이트’ 프로그램 독일의 신문활용교육(NIE)은 1979년 실행된 이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초기에는 8학년에서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후에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고등학생과 유치원생에게까지 확대되었습니다. 1) 차이퉁스 차이트(Zeitungs Zeit) : 최초의 NIE 프로젝트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정부와 그 지역 53개 출판사가 2006년 처음 시작한 대규모 캠페인 형태의 프로젝트입..

2016. 4. 25. 16:00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요약] 신문이나 방송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에 밀려 사라져 간다는 주장과 이에 반해 소셜 미디어를 뉴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소개합니다. 에밀리 벨 ‘우리가 알고 있던 뉴스의 종말’ 달라진 뉴스 환경 지난 5년 동안 가상현실, 실시간 동영상, 인공지능 뉴스봇, 문자 메시지, 채팅앱 등 엄청난 기술 혁신은 뉴스 생태계를 놀라운 수준으로 바꿔놓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저널리즘만 집어삼킨 것이 아니라 선거, 금융 시스템, 개인사, 여가 산업, 소매업, 정부와 보안까지 관여하게 됐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사안이 있다. 첫째, 뉴스 산업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 회사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

2016. 4. 25. 10:53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3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3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가고 싶은 길을 가기 위해서는정말 가고 싶지 않은 길에서 뛰쳐나와야 한다. 한기연『서른다섯의 사춘기』중에서 앞으로 나아감에 있어 가장 두려워해야 할 것은관성의 법칙을 충실히 따르려는 자신의 다리이다. 김은주『달팽이 안에 달』중에서 "네 생각의 크키가 네 세상의 크기다." 박서원 『생각하는 미친놈』중에서 효과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은 물론 쉽지 않다.이야기를 하는 게 어려운 게 아니라남들이 그 이야기를 믿게 만드는 게 어렵다.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중에서 어떤 길이든 네가 가고 싶으면 그것이 옳은 길이 될 것이다. 피천득『딸에게』중에서

2016. 4. 22. 17:30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2월 수상작 소개 ③

[요약] 소공인은 우리 산업의 모세혈관으로 1970~1980년대 경제 성장의 한 축을 담당했습니다. 서울경제신문의 강광우 기자 등은 35년이 지난 현재 값싼 해외 부품의 범람과 3D업종 기피현상 등으로 위기를 맞은 소공인들의 위기 상황을 독일, 미국 현지 취재 내용을 바탕으로 면밀히 비교하여 심층 보도했습니다. 해당 보도는 대기업 중심의 왜곡된 경제체제 개선이 필요한 시점에 대안까지 제시하여 호평을 받았습니다.2016년 2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여섯 작품 중 경제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던 소공인들의 위기 및 애환을 담은 서울경제신문 강광우·한동훈·박진용·백주연 기자, 사진부 권욱 기자의 ‘산업 모세혈관 소공인 살리자’시리즈를 소개합니다.경제보도부문산업 모세혈관 소공인 살리자’ 시리즈>서울경제신문 성장기..

2016. 4. 22. 11:30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