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신문 다독다독 NIE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미디어교육 독서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2023.01.06
  •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2023.01.05
  • 초인플레이션? 꼬리를 무는 경제 현상, 어렵지 않아요!

    2023.01.04
  •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2022.12.30
  • 12월의 추천 다큐 - 알고리즘의 편견

    2022.12.28
  •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2022.12.28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17개 근거 찾아 팩트체크, 결과 공유·확산에도 최선 다해 ‘제4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수상자 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하는 ‘제4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가 막을 내렸다.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처음으로 대학생도 출전이 가능했다는 점이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국민대 ‘미쓰리광일’ 팀의 수상 후기를 전한다. 미쓰리광일 팀 (고경명, 김성곤, 김수호, 최수현) 열정을 가지고 팩트체크에 임하면서 굉장한 자부심도 느꼈다. 단순히 팩트체크의 결과에만 관심을 갖기보다 과정을 경험해 보았다는 점이 특히 의미 있었다. 이전엔 어떤 것이 진실인가 거짓인가에만 몰두했다면 이번 대회를 통해 세상에는 온전한 진실과 온전한 거짓이 없다는 점을 깨달았다. ‘미쓰리광일’은 국민대에서 미디어를 공부하는 학생 세 명과,..

2023. 1. 6. 09:36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어린이·청소년 안전과 권리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2022 미디어교육 대상’ 수상자 대담 지난 11월 11일 마지막 행사로 미디어교육 대상 시상식이 있었다. 3년 이상 미디어교육을 수행한 교사, 대학교수,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산에 공로가 있다고 인정된 이들에게 교육부장관상, 문체부장관상,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상 등이 수여됐다. 수상자와 함께 그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임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철학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았다. 정선임 (미디어교육 강사·서강대 대학원 박사과정) 원래는 보호주의자가 아니었는데,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아이들은 보호받아야 하고 이들의 안전이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을 갖게 됐다. 그 시대의 미디어에 대해..

2023. 1. 5. 09:41
초인플레이션? 꼬리를 무는 경제 현상, 어렵지 않아요!

초인플레이션? 꼬리를 무는 경제 현상, 어렵지 않아요! 경제 뉴스 활용 수업 지난해 한국개발연구원이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제 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56.3점이었다. 특히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에 대한 문제는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제대로 된 경제 교육의 부재’다. 지금처럼 전 세계 경제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경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다. 경제 뉴스를 활용해 세계 경제라는 큰 숲을 보여주는 학교 수업 현장을 소개한다. 김나영 (서울 양정중 교사)1) 이론으로 접근하면 어려울 수 있는 주제지만, 직접 모의 상황 속에서 경험하면 어렵게 느끼지 않는 것 같다. 학생들은 통화 정책이 어떤 배경에서 시행되며, 또 그 효과는 어..

2023. 1. 4. 09:55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대담: ‘기후 위기와 학교 현장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장서윤 (대전구봉고 교사)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교육과 환경 생태 교육에 앞장서 지행일치의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세 명의 교사와 대담을 나누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3년 전만 해도 지구온난화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2년 전부터는 미디어에서 ‘기후 위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용어의 변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학생들에게 환경 파괴의 결과에 대한 지식적 측면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기후 위기의 원인과 과정, 현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체득..

2022. 12. 30. 11:36
12월의 추천 다큐 - 알고리즘의 편견

왜 흑인 여성의 얼굴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걸까? 인공지능은 인간과 달리 편견이나 차별을 가지지 않고 정확하고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데이터에 기반하고, 데이터는 우리의 역사를 반영하기 때문에 인간의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학습한 알고리즘은 인종이나 성별 등을 기준으로 사람들을 차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AI챗봇 ‘이루다’가 인공지능 윤리 문제로 인해 서비스를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알고리즘의 편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 문제를 지적하며, 인공지능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하고 알고리즘이 가진 편향성과 위험성을 감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 다큐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인간이 가진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경..

2022. 12. 28. 16:46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활동 소감 2022년은 계간 《미디어리터러시》가 의미 있게 변신을 꾀한 한 해였다. 통권 20호(2022년 봄호)를 넘어서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동안 웹진으로만 발행하던 데서 나아가 오프라인으로까지 독자와의 접점을 확대했다. 이뿐이 아니다. 그동안 미디어교육 전문가나 언론인, 언론학자 중심으로 구성됐던 기획위원에 처음으로 ‘시민 기획위원’을 모셨다. 올 한 해를 마감하며 시민 기획위원이 바라본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2022년을 정리해 본다.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현재 《미디어리터러시》는 일반 시민이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와 환경 아래 있다. ‘다양한 미디어 정보에 대한 진실성 ..

2022. 12. 28. 10:06
1 ··· 22 23 24 25 26 27 28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