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독서 스마트폰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뉴스리터러시 뉴스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2023.03.16
  • ‘20년간 4만 건’, 어린이 콘텐츠 품질 평가에 진심

    2023.03.13
  •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챗GPT, 올바르게 사용하기

    2023.03.13
  •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2023.03.10
  •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2023.03.09
  • 2023 미디어교육원 겨울방학 특강 : <미디어교육을 고민하다> 연수후기

    2023.02.28
안전한 디지털 환경, 플랫폼-부모-공동체 협력해야 가능

TalkTalk : 미디어톡톡 인터뷰 - 타미 바우믹 로블록스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 written by. 최숙 (타이밍포올 CEO) 1) https://www.timing4all.com/ ​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기업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용자들의 리터러시에 대한 책임이 단지 개인에게만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기업의 자발적 활동과 관심은 반갑다. 특히 자신이 속한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만을 위해서가 아닌, 더 나은 미래 세상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확대를 위해 활동하는 기업인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지난 2월, 한국을 찾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의 시민의식 및 파트너십 부사장 타미 바우믹(Tami Bhaumik)을..

2023. 3. 16. 11:32
‘20년간 4만 건’, 어린이 콘텐츠 품질 평가에 진심

특집 : 유아 미디어리터러시교육 미국 커먼센스미디어의 유아 미디어교육 자료 ​ written by. 최원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가) ​ 유아와 어린이는 분명한 디지털 미디어 소비자다. 아이들은 어른이 생각하는 것보다 오랜 시간 다양한 곳에서 미디어에 노출된다. 아이가 독립적인 판단력을 갖추기 전에는 미디어 현상과 그 내용을 적절히 선별하고 또 설명하는 역할을 보호자 또는 주변인이 맡아야 한다. 그러나 어린이에게 무엇을 어떻게 알려줘야 하는지, 나이나 주제를 기준으로 어떤 미디어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대다수 성인에게 무척 어렵다. 이런 배경에서 미국 비영리 미디어교육 단체 커먼센스미디어(Common Sense Media)는 유아 미디어교육에 참고하기에 좋은 자료를 20년 가까이 미국 사..

2023. 3. 13. 13:18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챗GPT, 올바르게 사용하기

놀라운 성능으로 연일 뉴스 보도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생성형 AI 챗GPT ​ 그런 챗GPT가 엉뚱한 답변을...?? 한 트위터 이용자는 챗GPT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 사건에 대해 알려줘” 챗GPT의 답변이 이어집니다.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 사건은 역사서적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일화로, 15세기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새로 개발한 훈민정음(한글)의 초고를 작성하던 중, 문서 작성 중단에 대한 담당자에게 분노하여 맥북프로와 함께 그를 방으로 던진 사건입니다.” 이렇게 엉뚱한 답변이 나온 이유는 바로 챗GPT의 작동 원리에 있습니다. ​ 챗GPT는 학습한 데이터를 토대로 확률·통계적으로 가장 적절한 단어를 선택해 문장을 재구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인..

2023. 3. 13. 10:26
인간을 위한 AI 첫걸음, ‘개발자&이용자 윤리 교육’

미디어교육 현장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 어떻게 할까?​ written by. 김예현 (백마초 교사) ​ 인공지능 챗봇 ‘챗GPT’로 전 세계가 술렁인다. 1초만에 에세이를 뚝딱 써내고, 증권사 보고서도 단숨에 분석해내는 똑똑한 인공지능의 출현이 인류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의견이 분분하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인공지능이 존재하지 않던 시간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학교 수업을 고민해 본다. ​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술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 인공지능 윤리를 배우는 까닭은 인공지능 개발자와 이용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

2023. 3. 10. 14:26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기획연재: 미디어 바로알기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2004년 처음 시작된 공동체 라디오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지역 결속에 기여해 온 공동체 미디어의 대표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의의 공동체 미디어는 단순히 한 마을의 미디어나 라디오를 넘어 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다 깊은 의미를 지닌다. 네 번째 순서로 ‘공동체 미디어’를 들여다본다.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속적으로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공동체를 통해 주체성을 지닌 다중들의 미디어교육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주체적인 미디어 이용과 공동체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다. 공동체 미디어가 비난과 악플이 아닌 ..

2023. 3. 9. 14:38
2023 미디어교육원 겨울방학 특강 : <미디어교육을 고민하다> 연수후기

2023 미디어교육원 겨울방학 특강: 연수 후기 영등포고등학교 김병련 방학은 시작입니다. 쉼표가 아닌 새 학기 수업 준비를 위해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수집하고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고민합니다. 그러던 중 평소 관심이 있던 미디어 리터러시 연수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미디어 교육 기관은 많이 있지만 언론진흥재단 연수는 시의성이 있고 주제나 내용도 다양합니다. 이번도 흥미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첫날, 김아미 박사님의 책 이야기 미디어를 사용하는 세대별 아이들의 모습, 어른의 눈으로 아이들의 미디어를 바라보면 항상 걱정이 앞섭니다. 그렇지만 아이들도 그 안에서 나름대로 생각하면서 고군분투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의 유년 시절은 어떤 모습이었을까를 떠올렸습니다. 그 시절의 고민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

2023. 2. 28. 15:35
1 ··· 20 21 22 23 24 25 26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