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NIE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미디어 책 신문읽기 다독다독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6)

  • [웹진 다시보기]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2022.10.28
  • 4회 뉴스읽기 온라인 양식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

    2022.10.28
  • 10월의 추천 다큐 - AI 사피엔스 시대 : 당신은 진화하고 있습니까?

    2022.10.26
  •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2022.10.25
  •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2022.10.24
  •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2022.10.21
[웹진 다시보기]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기후 위기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김주영(김제검산초 수석교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세계 시민 교육이 중요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정작 행동하는 우리 청소년의 모습은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현 교과서에 대한 아쉬움은 ‘직접 만들어 수업을 해 보자’라는 생각으로, 그리고 한국언론진흥재단 포미(ForME) 사이트의 기후 위기 수업 시리즈물 개발로 이어졌다. 기후 위기 수업 시리즈를 토대로 실제 수업에서 다른 나라의 청소년들이 기후 위기에 대해 어떻게 목소리를 내는지 알아보고자 뉴스를 시청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희망이 아니라 행동입니다. 행동에 나서야만 다시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6살 환경운동가 툰베리의 연설문을 접한 후, ..

2022. 10. 28. 18:13
4회 뉴스읽기 온라인 양식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

아쉽게도 제4회 뉴스일기 실물 일기장 신청을 못했다구?!🤔 이미 제4회 뉴스일기장을 꽉 채워 양식이 부족하다구?!📙✏ 정~말 쉬운 뉴스일기장 양식 다.운.로.드 방법!📥 뉴스읽기뉴스일기.org에서 양식을 바로 다운로드 해봐! 온라인 양식 다운로드 받아 나만의 일기장을 만들어보자!✨📝🤸🏻‍♀️ 자, 얼른얼른 다운로드 받으로 가보자고~🏃🏻‍♂️🏃🏻‍♀️ 금요일 업로드되는 카드뉴스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s://www.뉴스읽기뉴스일기.org 🌈인스타그램 :@kpf_medialiteracy 💡카카오톡 : '뉴스읽기뉴스일기' 채널에서 상담요청! 📞문의처 : 070-4128-2796(운영사무국) *평일기준 월~금 10:00~18:00 #나의이야기 #일상이야기 #일상 #소통 #소듕 ..

2022. 10. 28. 09:42
10월의 추천 다큐 - AI 사피엔스 시대 : 당신은 진화하고 있습니까?

무인 주문 기계, 인공지능 배달로봇 등 디지털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며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장애인 및 노약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고 사용되어 디지털 격차와 소외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기술이 모두에게 기회일까요? 어르신을 위한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 산골 학교 학생을 위한 코딩 교육 등의 사례를 보여주며,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면 좋을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다큐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인공지능의 기회를 누릴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 「AI 사피엔스 시대 : 당신은 진화하고 있습니까?」 바로가기 ↓↓ 특집 다시보기(무료) - AI 사피엔스 시대 - ..

2022. 10. 26. 10:24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오픈넷 미디어 리터러시 월례 특강 :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필요한 법적 지식1)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하고 소셜 미디어가 일반화된 지금은 과거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담론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본적 인권이며 민주주의의 기본 구성 요소인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맞아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류영재 (대구지방법원 판사)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우리 사회에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형사 처벌의 신설 및 강화를 선호한다는 지점이다. 미디어의 자율 규제를 시도하지 않고, 곧바로 형사 처벌을 택할 경우 표현의 자유 제한으로 인한 부작용이 현실화될 수 있다. ..

2022. 10. 25. 15:03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이해 초등학생의 장래 희망이 유튜버가 된 지는 이미 오래고, ‘1인 미디어 전성시대’라는 표현도 진부하게 여겨질 만큼 이제 1인 미디어는 자연스러운 시대 흐름이 됐다. 두 번째 순서로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정의와 유형, 사례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해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하지만 개선점 역시 제기되는데, 창작자의 윤리 측면에서 소수자 혐오 발언으로 조회 수를 높여 수익 창출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성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과 MCN이 창작자를 위한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우리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 커뮤니케이션..

2022. 10. 24. 17:09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양소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정치적 가짜뉴스의 문제로 시작해 코로나라는 인포데믹의 시기를 지나면서 허위정보는 시급한 대처가 필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이로 인해 몇 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허위정보 대응 능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게임이 개발됐다. 게임의 교육적 효과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팩트체크 게임이 개발돼 게임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 팩트체크센터가 개발한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를 소개한다. ‘팩트, 플리즈’는 전문가의 팩트체크 과정을 일반 이용자 수준으로 전환하여 시뮬레이션해 보는 게임이다. 게임을 구성하는 디..

2022. 10. 21. 15:52
1 ··· 32 33 34 35 36 37 38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