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독서 신문읽기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뉴스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 이벤트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2022.10.25
  •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2022.10.24
  •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2022.10.21
  •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2022.10.18
  •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2022.10.17
  • [웹진 다시보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2022.10.14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허위정보, 혐오 표현 규제와 표현의 자유 보장 오픈넷 미디어 리터러시 월례 특강 :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필요한 법적 지식1)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하고 소셜 미디어가 일반화된 지금은 과거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담론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본적 인권이며 민주주의의 기본 구성 요소인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맞아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류영재 (대구지방법원 판사)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우리 사회에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형사 처벌의 신설 및 강화를 선호한다는 지점이다. 미디어의 자율 규제를 시도하지 않고, 곧바로 형사 처벌을 택할 경우 표현의 자유 제한으로 인한 부작용이 현실화될 수 있다. ..

2022. 10. 25. 15:03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이해 초등학생의 장래 희망이 유튜버가 된 지는 이미 오래고, ‘1인 미디어 전성시대’라는 표현도 진부하게 여겨질 만큼 이제 1인 미디어는 자연스러운 시대 흐름이 됐다. 두 번째 순서로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정의와 유형, 사례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해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하지만 개선점 역시 제기되는데, 창작자의 윤리 측면에서 소수자 혐오 발언으로 조회 수를 높여 수익 창출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성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과 MCN이 창작자를 위한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우리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 커뮤니케이션..

2022. 10. 24. 17:09
[웹진 다시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양소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정치적 가짜뉴스의 문제로 시작해 코로나라는 인포데믹의 시기를 지나면서 허위정보는 시급한 대처가 필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이로 인해 몇 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허위정보 대응 능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게임이 개발됐다. 게임의 교육적 효과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팩트체크 게임이 개발돼 게임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 팩트체크센터가 개발한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를 소개한다. ‘팩트, 플리즈’는 전문가의 팩트체크 과정을 일반 이용자 수준으로 전환하여 시뮬레이션해 보는 게임이다. 게임을 구성하는 디..

2022. 10. 21. 15:52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뉴스로 공부하는 ‘기후 위기 행동 필요성’ 기후 위기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얼마 전 서울과 수도권에 내린 115년만의 기록적 폭우에 이어 역대급이라는 태풍 힌남노까지 찾아왔다. 기후변화, 기후 위기의 시대다. 이제는 학교에서도 본격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정확히 알리고, 시민 행동의 필요성을 가르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관련해 뉴스를 교재 삼아 기후 위기 수업을 진행하는 한 초등학교 수업 속으로 들어가 본다. 김주영(김제검산초 수석교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세계 시민 교육이 중요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정작 행동하는 우리 청소년의 모습은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현 교과서에 대한 아쉬움은 ‘직접 만들어 수업을 해 보자’라는 생각으로, 그리고 한국언론진흥재단 포미(ForME) 사이트의 기후..

2022. 10. 18. 17:10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게임을 통한 허위정보 대응 역량 기르기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 ​ ​ 허위정보, 가짜뉴스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몇 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허위정보 대응 능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게임이 개발됐다. 게임의 교육적 효과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팩트체크 게임이 개발돼 게임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팩트체크 시뮬레이션 게임 ‘팩트, 플리즈’를 소개한다. ​ ​ 양소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교수) ​ ​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게임은 허위정보 분별 능력을 높이는 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게임에 참여한 경우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경우보다 허위정보 분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측면에서 교육용 게임이 상당히 효과적..

2022. 10. 17. 17:51
[웹진 다시보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 수강 후기 디지털 시민으로 거듭나는 방법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립중앙도서관은 지난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미디어 소비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생활 속에서 다양한 정보를 현명하게 소비하기를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번 교육의 주요 내용을 수업 자료 및 참가자 경험 수기를 바탕으로 재구성해 소개한다.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시대 전후의 모든 매체와 의사소통 수단에 접근해서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더 나아가 정보를 만들어 실제로 사회 행동에 나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접근, 분석, 평가, 창조, 행동 등 크게 5가지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며,..

2022. 10. 14. 10:14
1 ··· 29 30 31 32 33 34 35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