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미디어 다독다독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뉴스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신문읽기 이벤트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7월의 추천도서 – 유튜브 쫌 아는 10대

    2022.07.27
  • 서양 외신 의존하는 후진적 취재 시스템 바꿔야

    2022.07.25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2022.07.22
  • [웹진 다시보기]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2022.07.22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신뢰 하락과 선택적 뉴스 회피 증가

    2022.07.21
  • 자녀 지도를 위한 실용적 미디어교육 정보 한가득

    2022.07.19
7월의 추천도서 – 유튜브 쫌 아는 10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6명은 유튜브를 매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자세히 보기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10명 중 6명은 유튜브를 매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유튜브 ... blog.naver.com 이렇게 유튜브가 우리의 일상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유튜브는 누구든 개성을 발휘하며 자신만의 가치를 가꿔 갈 수 있는 장이자, 서로 배우는 배움터이며,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사회 곳곳의 목소리를 전하는, 넓은 매체입니다. 하지만 차별·혐오 표현, 가짜 뉴스라고 ..

2022. 7. 27. 10:35
서양 외신 의존하는 후진적 취재 시스템 바꿔야

​ ​ 서양 외신 의존하는 후진적 취재 시스템 바꿔야 국제 분쟁·전쟁 보도와 피부색에 따른 차별 ​ ​ ‘글로벌’이란 단어가 새삼스러울 것 없는 요즘이지만 소위 글로벌 표준에 가장 못 미치는 분야를 꼽으라면 국내 언론사의 ‘국제 뉴스 취재 보도’일 성싶다. 해외 특파원 규모가 턱없이 부족함은 물론, 이슈 또한 특정 국가, 특정 지역에 치우쳐 있어 균형 잡힌 보도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국제 전쟁 보도와 관련한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 ​ 박영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 ​ 국제 뉴스를 해외 언론을 거쳐 전해 듣다 보면, 외국의 관점이나 이해관계가 부지불식간 우리 뉴스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독자들은 우리의 주체적 시선으로 세계를 해석하지 못하고 서구의 색안경을 끼고 바라볼 수밖에 없..

2022. 7. 25. 18:11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 ​ 디지털 생태계와 인권의 문제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홍남희(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 ​ ​ ​ 매일매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는 더욱 진보한다. 동시에 혐오 표현, 사이버 괴롭힘 등 사회적, 윤리적, 인권의 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 ​ 인터넷 초기부터 악성 댓글이나 혐오 표현, 허위정보, 사이버 성폭력 등의 문제는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가 더욱 불거지는 이유는 수많은 개인들이 생산한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가 유통되는 미디어 환경과 수많은 정보 속에서 더 많은 대중의 눈을 끌기 위한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정보의 생산, 그리고 그것이 독려되는 ‘주목 경제’의 기술적..

2022. 7. 22. 17:39
[웹진 다시보기]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 ​ 미디어 속 ‘인권’ 침해 사례 파헤치기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김언경(미디어인권연구소 뭉클 소장) ​ ​ ​ ​ 언론은 기본적으로 권력을 감시하고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순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부적절한 용어 사용이나 특정 성,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적 보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 ​ ​ ​ 성차별적 표현을 여과 없이 보도 언론은 성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외모와 신체, 나이에 따라 사람의 가치를 매기거나, 이를 조롱하고, 비난, 비하, 멸시하는 표현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성희롱, 성폭력, 가정 폭력, 성매매를 정당화할 우려가 있는 표현, 성범죄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2022. 7. 22. 16:19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신뢰 하락과 선택적 뉴스 회피 증가

3명 중 2명은 뉴스를 의도적으로 회피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참여하고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수행한

2022. 7. 21. 17:46
자녀 지도를 위한 실용적 미디어교육 정보 한가득

자녀 지도를 위한 실용적 미디어교육 정보 한가득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 참가 후기 ​ ​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립중앙도서관은 지난 6월 8일부터 약 열흘간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미디어를 올바로 이해하고 자녀의 미디어 과몰입 방지 등 자녀를 위한 올바른 미디어 지도법 학습을 희망하는 초등 학부모를 대상으로 열린 이번 교육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권안젤라(학부모 연수 참가자) ​ ​ 디지털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해 아이들과 열린 대화를 나누고 디지털 미디어의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저학년용 스마트 보안관 앱을 설치하여 사용 제한을 할 수 있다는 점도 이번 수업을 통해 알게 된 좋은 팁이었다. ​ 초등학교에 들어간 아이가..

2022. 7. 19. 15:05
1 ··· 37 38 39 40 41 42 43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