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다독다독 스마트폰 기자 뉴스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성공한 분야별 리더의 독서습관 살펴보니

    2012.09.20
  • 작가에게 직접 듣는 ‘미생’의 숨은 이야기

    2012.09.20
  • 프랜드 원칙 등 사회를 뜨겁게 달군 용어들

    2012.09.19
  • 말 잘하는 우리 아이, 신문으로 태교한 비결

    2012.09.19
  • 지방대생이 신문으로 얻게 된 깨달음 3가지

    2012.09.18
  • 장애인 할아버지 기사를 시로 쓴 딸

    2012.09.18
성공한 분야별 리더의 독서습관 살펴보니

세상에는 남보다 뛰어난 사람이 참 많습니다. 미술, 음악, 건축, 영화, 수학, 체육 등 분야도 다양합니다.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의 성공습관을 살펴보면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재미를 느끼고 열정적으로 집중 하죠.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에 혁신을 갖고 오기도 하고요. 지금부터 성공한 분야별 리더들의 독서습관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들을 지금의 성공한 리더로 만들어준 독서습관은 뭔가 있을까요? ▲(왼쪽 아래부터 오른쪽으로)공병호 박사, 이소연 박사, 허영만 화백[출처-서울신문] 한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박사, 한번 시작한 책은 끝까지 몇 달 전 한 방송에 출연한 이소연 박사를 TV에서 우연히 봤습니다. 대한민국 어느 누구도 해보지 못..

2012. 9. 20. 13:26
작가에게 직접 듣는 ‘미생’의 숨은 이야기

월화수목금금금의 빡빡한 스케쥴, 어쩌다 있는 휴일은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가족을 위해 헌납. 그리고 또다시 찾아오는 월요병. 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그런 회사라도 어떻게든 들어가려고 발버둥 치는 젊은 날들. 대한민국에서 직장인의 애환과 취업의 중압감은 한두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 게 아닐 겁니다. 바로 이런 직장인들의 삶을 화요일과 금요일 두 번이나 위로해 주는 것이 있습니다. 직장인 힐링 웹툰 ‘미생’인데요. 직장인 필독 웹툰으로 꼽히는 미생의 작가 윤태호를 다독다독이 만나고 왔습니다!~ 웹툰 미생 속에 담지 않은 이야기도 잔뜩 듣고 왔습니다. 미생의 창작 이유가 무엇인지, 장그래랑 안영이가 잘 이어질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함께 살펴봐요~ [출처-윤태호/누룩미디어/위즈덤하우스/DAUM] 샐러리맨과 바둑의 ..

2012. 9. 20. 10:13
프랜드 원칙 등 사회를 뜨겁게 달군 용어들

신문은 바로 지금 발생한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자주 지면으로 다루는 의제들은 앞으로 꾸준히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신문을 통해 시사현안을 잘 정리해두시면 미래를 내다보는 데에 큰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올림픽이 끝난 직후 다독다독에서 시사현안 네 가지를 정리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한 달이 지난 요즘 회자되고 있는 현안 몇 가지를 다시 한 번 정리해드릴까 합니다. 소아기호증, 어린 아이를 노리는 검은 손 전남 나주시에서 안타까운 어린이 성폭행 문제가 발생하면서, 아동 성폭행과 아동 포르노물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지난해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성범죄 동향분석에 따르면 아동 성범죄 가해자들의 대부분이 ‘소아기호증’을 보였다고 합니다. 소아기호증(혹은 소아애호증)은 사춘기 이전의 어린이와 성적 ..

2012. 9. 19. 13:40
말 잘하는 우리 아이, 신문으로 태교한 비결

“튼튼아, 오늘 신문을 보니 지휘자 정명훈 씨가….” “튼튼아, 이번 주에는 태풍이 올 것 같다고 하네. 태풍은….” 튼튼이(태명)를 임신한 사실을 알고부터 저는 태교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10개월의 태교가 생후 10년의 교육보다 아이에게 주는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해 태아와 많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대화 주제를 찾기 위해 신문을 매일매일 읽었고, 신문 기사 중에서 아이에게 알려 주고 싶은 내용은 태교 일기에 쓰고, 그 내용을 다시 읽어 주며 태담을 나누었지요. 아이가 태어나서도 신문 구독을 계속했고, 그래서 저의 예쁜 딸 예지는 저절로 신문을 가까이했습니다. 백일 전까지 많이 울던 예지는 신문을 구겨서 바스락 소리를 내면 신기하게도 울음을 그쳤습니다. 그리고 6개월 정도가 ..

2012. 9. 19. 10:21
지방대생이 신문으로 얻게 된 깨달음 3가지

‘당신은 꿈이 무엇입니까?’ 우리가 태어난 순간부터 수 백 번은 들은 질문이다. 또한 내가 대학교에 입학한 첫날 교수님께서 하셨던 질문이다. 교수님께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6개월에 걸친 신문 수업을 통해서 우리 스스로 찾을 수 있게 해주셨다. 이제 나는 대학교 입학 첫날로 돌아가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신문이 나에게 알려준 정답, 바로 꿈을 이루기 위한 3가지 정답에 대해 말하겠다. 이 3가지 정답을 깨달았을 때 난 마치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을 때의 환희를 맛볼 수 있었다. ▲세명대 경영학과 김계수 교수님의 신문 활용 수업 모습 신문은 36페이지에서 많게는 40페이지로 이루어져있다. 신문의 크기를 생각해보면 약 200페이지 정도의 책 한 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책과는 다르게 신문은 여러 분야..

2012. 9. 18. 13:25
장애인 할아버지 기사를 시로 쓴 딸

올해 중학생이 된 딸이 초등학교 5학년 때의 일이다. “학교에서 장애인의 날을 맞아 백일장을 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 하며 걱정을 늘어놓았다. 어떤 글을 쓰고 싶은지 물어보니 힘겨운 장애인의 삶을 살면서도 좌절하지 않고 열심히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하여 감동을 주고 싶단다. 때마침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앞두고 특집 기사를 다룬 신문이 눈에 들어왔다. 충북 보은에 사는 ‘시각장애인’ 추찬혁(71) 할아버지가 온 동네의 칼을 갈아 주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는 기사였다. 속리산의 아주 작은 산골 마을 회인면 갈티리에서 ‘칼갈이 도사’로 불리는 추 할아버지는 다섯 살 무렵 갑작스러운 홍역으로 시력을 잃었다. 비록 앞을 볼 수 없는 처지였으나 아버지가 낫을 갈 때마다 들리던 소리가 좋아 열 ..

2012. 9. 18. 10:03
1 ··· 433 434 435 436 437 438 439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