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공모전 이벤트 책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독서 신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웹툰 4화-신문 도둑을 잡았어요!

    2012.08.31
  • 개인정보 유출 사례로 살펴보는 정보보안책

    2012.08.30
  • '종군'위안부라는 말을 쓰지 않게 된 까닭

    2012.08.29
  • 소말리아 해적만 알던 아이들, NIE 수업 후

    2012.08.29
  • TV 없는 집, 어떤 부모가 되고 싶습니까?

    2012.08.28
  • 직접 찍은 우리땅 독도, 바닷속 풍경

    2012.08.28
웹툰 4화-신문 도둑을 잡았어요!

©다독다독

2012. 8. 31. 09:44
개인정보 유출 사례로 살펴보는 정보보안책

5월에는 EBS, 지난달에는 KT까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KT의 경우는 전 국민이 쓴다고 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87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후 텔레마케팅에 활용되어 파장이 더 컸는데요. 1차적으로야 해킹한 범인들이 나쁘지만 이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하지 않은 KT에도 문제가 있었죠. 공식 사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집단소송과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취소 등 안 좋은 소식들이 계속 되었는데요. 오늘은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통해 정보보안책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출처-서울신문] (전략) 최씨 등은 KT 고객정보를 몰래 조회할 수 있는 해킹 프로그램을 제작, 지난 2월부터 최근까지 5개월간 가입자 870만명가량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빼냈다. KT 휴대전화 ..

2012. 8. 30. 09:25
'종군'위안부라는 말을 쓰지 않게 된 까닭

인터넷을 하다가 한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주제로 한 글이었다. 그 기사를 읽게 된 이유는 ‘종군 위안부라니 무슨 그런 망발을…’ 하는 과격한 제목 때문이었다. 평소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해 관심도 많았지만, 제목이 제목인지라 읽고 싶다는 호기심이 크게 생겼다. 그러곤 천천히 읽어 나갔다. ▲서울 종로구 중학동 위안부 소녀상의 어깨 너머로 보이는 주한일본대사관[출처-서울신문] 다 읽어 보고 나서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핵심 내용은 1930년대부터 1945년 일본이 패망하기까지 강제로 전선에 끌려가 일본군의 성노예가 된 여성들을 지칭하는 말인 ‘위안부’와 ‘종군위안부’는 같다고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지만, 사실 뜻이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이다. 설명을 하자면 우선 종군위안부라는 말은 군대를..

2012. 8. 29. 11:45
소말리아 해적만 알던 아이들, NIE 수업 후

인쇄 미디어보다 영상 미디어 대해 관심이 더 많은 요즘 학생들과 신문활용교육 (NIE) 수업을 진행할 때면 신문과 친해지기 과정은 필수이다. 어떻게 하면 신문 읽기에 관심을 높일 수 있을까 늘 고민한다. 그래서 신문활용교육 수업을 시작하면 몇 차시는 신문과 친해지기 과정을 거친다. 아이들에게 미션을 제시하고 수행하게 한다. ‘오늘의 미션은 신문에 실린 기사나 광고, 사진 등에서 나라이름 찾아 스크랩하기예요, 오늘의 미션은 가장 소중하고 가치 있는 한 글자 낱말 찾고 이유 말하기예요’ 등등. 이렇게 하나의 미션이 제시되면 아이들은 신문을 펼치며 도전을 시작한다. 아이들은 마치 독립투사(?)처럼 미션의 주제를 품고 신문의 바다에 풍덩 뛰어든다. 재밌는 놀이처럼 수업에 관심이 높아질 즈음 학생들과 ‘지구촌 어..

2012. 8. 29. 10:07
TV 없는 집, 어떤 부모가 되고 싶습니까?

"결국 마음씨 나쁜 마녀는 벌을 받고, 공주님은 멋진 왕자님의 손을 잡고 궁전으로 가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주부 김은경씨는 지난해 거실에 있는 TV를 없앤 후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시간이 부쩍 늘었습니다. 올해 6세가 된 딸을 위해 가장 잘한 일이 TV를 없앤 것이라고 말하는 이 주부, 다른 엄마들과는 어떤 차별화된 교육관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어느 순간 집안에 아이 우는 소리와 TV소리 밖에 안 들리더라구요. 그걸 깨닫게 되니까 아이 교육상 TV가 무척 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죠." 아이의 교육을 위해 TV를 '유보'한건 특별한 자녀교육관 때문은 아니었습니다. 그저 아이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자'는 생각 아래 내린 결정이었죠. "TV를 틀어 놓으면 사실 아이를 보는 제 입장에서는..

2012. 8. 28. 13:38
직접 찍은 우리땅 독도, 바닷속 풍경

독도 바닷속은 실내 수영장보다 맑고 투명하다. 독도가 450만 년 전 화산폭발로 만들어진 바위 덩어리다 보니 바닷속에는 부유물이 없다. 파도와 바람에 깨끗하게 씻긴 돌덩이 위에 동해의 맑은 물이 머물고 있는 격이다. 암반에는 한류인 북한해류와 난류인 쓰시마해류가 실어온 다양한 바다생물이 어우러져 살고 있다. ▲독도 해중림을 동도를 배경으로 반수면 촬영했다 독도 바닷속의 가장 큰 특징은 감태, 대황, 미역, 모자반 등의 해조류가 암반에 부착한 채 숲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높이가 2~3m에 달하는 해조류 숲속으로는 돌돔, 용치놀래기, 볼락, 자리돔들이 오가는데…. 나침반을 보지 않고 해중림(海中林) 안으로 들어갔다가는 길을 잃어버리기 십상이다. ▲돌돔 무리가 해조류 위를 지나고 있다 해조류는 독도 바다 ..

2012. 8. 28. 10:18
1 ··· 435 436 437 438 439 440 441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