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미디어 뉴스 신문 공모전 기자 스마트폰 신문읽기 다독다독 독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인문학을 말하는 과학자’ 최재천 교수의 통섭형 인재란?

    2011.09.15
  • 취재보도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는?

    2011.09.14
  • 뉴스에는 없고, 신문에는 있는 것은?

    2011.09.14
  • 구독자 260만명,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열광하는 이유는?

    2011.09.09
  • 아이들 책 읽기, 입시 교육과 연관 짓는 부모가 가장 문제

    2011.09.09
  • 신문을 활용한 정신재활치료, 들어보셨나요?

    2011.09.08
‘인문학을 말하는 과학자’ 최재천 교수의 통섭형 인재란?

애플 CEO로 전세계적 유명인사인 ‘스티브 잡스’는 IT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는 아이폰을 개발하면서 “이곳에 인문학을 담았다”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이 말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요? 인터넷 세상 속에 모든 정보가 들어있고, 전자기기들로 새로운 세상이 열리고 있는 요즘 인문학이란 시대에 뒤쳐지는 학문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많은 명사들은 다시 한번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인문학은 모든 학문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런 인문학의 매력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과학자가 있습니다. 그는 바로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인 최재천 교수입니다. 그는 인문학이란 어느 분야에서도 절대 빼놓을 수 없는..

2011. 9. 15. 08:59
취재보도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는?

가정추론- 박범신의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신문 방송 기사를 읽고 보다 보면 ‘왜 이렇게 멍청하고 말도 안되는 기사를 썼지?’ 라든가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와 같은 다양한 반응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상반된 반응을 가져오게 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저널리즘 또는 저널리스트의 가설, 가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취재의 가설, 가정을 무엇을 향해 어떻게 세우느냐에 따라 확인의 방향과 방법, 결과적으로 기사의 방향과 내용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저널리즘적 비판 의식과 상상력의 차이를 가져올 수도 있는 취재의 가설, 가정의 설정은 그래서 취재보도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자 절차,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널리즘, 취재 보도는 구체적인 팩트(fact), 단서, ..

2011. 9. 14. 13:07
뉴스에는 없고, 신문에는 있는 것은?

“원래 언론이라는 것이 사람들의 알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있는 거야.” 중절모를 쓴 도서관 관장이 입을 열었다. “저도 그건 알아요! 알권리라는 것이 있으니까 기자들이 취재할 수 있는 것 아니에요?” 한 소년이 알고 있었다는 듯 말했다. “그래, 신문을 왜 봐야 하냐고 물었지? 나는 신문이 흥미롭기 때문에 본단다.” “신문이 흥미롭다고요? 하나도 재미없던데요. 뉴스는 재미있는 영상도 있고, 아나운서들이 읽어주니까 집중도 잘 되고, 인터넷은 원하는 대로 찾아보기 쉽지만 신문은 그 어떤 것도 없잖아요.” 소년이 미간을 찌푸리며 말했다. “그렇게도 보일 수 있겠구나. 그래도 얘야, 뉴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집중하면서 보게 되니? 궁금한 점은 없었고?” 관장이 소년을 응시하며 물었다. “집중 무지 잘 돼요! ..

2011. 9. 14. 08:53
구독자 260만명,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열광하는 이유는?

희망은 처음부터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도 생겨나는 것이 희망입니다. 희망은 희망을 갖는 사람에게만 존재합니다. 희망이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는 희망이 있고, 희망 같은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실제로도 희망은 없습니다. -2001년 8월 1일 첫 현대인의 일상은 녹록치 않습니다. 매일 아침 허기진 배를 김밥으로 때우며 출근을 하고, 자리에 앉으면 그때부터 하루종일 바쁜 업무에 매달립니다. 그러다 상사에게 불려가 꾸지람을 듣기도 하고, 변덕 심한 거래처의 비위를 맞추느라 억지 웃음을 지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렇게 바쁜 하루를 보내고 문득 시계를 보면 저녁 6시를 훌쩍 넘긴 시간. 퇴근길 지친 몸을 지하철에 실으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나는 과연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

2011. 9. 9. 14:02
아이들 책 읽기, 입시 교육과 연관 짓는 부모가 가장 문제

읽기문화 캠페인의 필요성 독서는 청소년의 창의성 계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간접 경험을 통한 상상력, 이해력, 사고력의 증진을 도모하는 활동이다. 우리나라의 부모들은 독서 장려보다는 학습지나 과외교습을 통해 성적을 올리는데 치중한다. 그러나 실제로 책을 많이 읽는다면 자연스럽게 학습능력이 향상되며, 역사나 외국의 문화 등도 배울 수 있게 된다. 즉, 독서는 두뇌를 계발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므로 읽기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독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읽기문화 조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는 좋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읽기문화 장려를 위한 공익 캠페인의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음으로써 지..

2011. 9. 9. 09:16
신문을 활용한 정신재활치료, 들어보셨나요?

일상생활에서 '신문'은 매우 고마운 존재입니다. 정확한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주기도 하고, 우리가 몰랐던 정보를 자세히 전해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신문은 다양한 곳에서 교육에 응용되기도 하는데요. 그것이 바로 신문활용교육, 즉 NIE입니다. 실제로 많은 학교에서 NIE수업을 진행하며 신문에 실린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토론도 하고, 기사나 사설을 샘플로 하여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런 NIE교육을 통해 '정신재활치료'까지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 분들은 많지 않을 듯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하냐구요? 이유는 신문에 담긴 많은 기사를 통해 간접적인 사회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용상안동병원'에서는 NIE를 활용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한..

2011. 9. 8. 16:06
1 ··· 493 494 495 496 497 498 499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