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독서 신문 다독다독 이벤트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공모전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해운대>윤제균 감독, 평범한 직장인에서 영화감독이 되기까지

    2011.09.23
  • 북한 신문에 광고가 실리지 않는 이유

    2011.09.23
  • 학교에서 잠만 자던 아이가 공부에 관심 갖게 된 이유

    2011.09.22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이 말하는 ‘읽기’란?

    2011.09.21
  • 아이를 리더로 키우고 싶은 부모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은?

    2011.09.21
  • 영화 <해운대> 윤제균 감독이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원천은?

    2011.09.20
<해운대>윤제균 감독, 평범한 직장인에서 영화감독이 되기까지

1999년 한 달 동안 쓴 시나리오가 한 시나리오 공모전에서 대상 수상 2001년 처음으로 연출한 영화의 관객수 330만명 2009년 각본, 연출, 제작한 영화 관객수 1,131만명 2010년 제 4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수상 2010년 제 1회 서울문화예술대상 영화감독부문 대상 화려한 경력을 가진 이 사람, 그는 바로 의 윤제균 감독입니다. 한 분야에서 성공한 많은 사람들은 일찍부터 자신의 길을 깨닫고 매진해 온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그런데 이렇게 화려한 경력을 가진 그가 영화감독으로 데뷔하기 전에는 영화 연출은 커녕 단편 영화 한 편 찍어 본 적이 없는 평범한 샐러리맨이었다면, 먼저 어떤 생각이 떠오르세요? 게다가 IMF 시절 무급 휴직 기간에 밖에 나갈 차비도 없어 방에서 돈 없이 할 수 있는 ..

2011. 9. 23. 14:07
북한 신문에 광고가 실리지 않는 이유

앞선 글을 통해 북한 신문의 종류와 기자들의 생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북한 노동신문의 면별 배치와 편집 특성을 살펴볼까 합니다. 노동신문의 경우 6개 면을 발행합니다. 북한에서 6개 면을 발행하는 신문은 노동신문이 유일하고 다른 신문은 4개 면을 발행합니다. 신문은 접었다가 한 장씩 넘기면서 보는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면이 4개면씩 늘거나 줄어듭니다. 요즘 한국 신문들은 보통 32면을 발행하며 광고가 적게 들어와 감면할 때는 28면을, 증면할 때는 36면을 발행합니다. 그런데, 노동신문의 6개 면은 쉽게 말해서 신문용지 3장입니다. 그래서 2장은 서로 접혀 연결되지만 남은 1장은 속지 형식으로 끼워져 나옵니다. 북한 주민들도 1~4면을 본지, 5, 6면은 속지라고 부릅니다. ..

2011. 9. 23. 09:15
학교에서 잠만 자던 아이가 공부에 관심 갖게 된 이유

민재는 공부를 놓은 지 6년이 넘었습니다. 부모님이 장사를 하다 보니 아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고 한 번 공부에 흥미를 잃은 아이는 아무리 비싼 과외 선생님을 붙여줘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과외비로 집 한 채는 날렸다'고 할 정도로 많은 과외도 받았습니다. 민재는 중학교 3년을 내리 잤습니다. 점심시간에 누군가 깨워주지 않으면 밥을 굶을 정도로 학교에 가면 잠이 잘 온다고 했습니다. 밤늦도록 게임하느라 늘 지쳐 있으니 어련했겠습니까? 그렇다고 특별히 지능이 낮거나 둔한 아이는 아닙니다. 네 살 때 천자문을 외울 정도여서 사람들이 천재라고 했던 아이였습니다. 민재는 기초가 많이 부실했습니다. 어휘력은 물론 이해력이 바닥이었지요. 최근에 읽은 책이 뭐냐고 물었더니 언제 책을 읽었는지 기억조차 안 난다고 했..

2011. 9. 22. 09:18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이 말하는 ‘읽기’란?

전국적인 답사 신드롬을 일으켰던 인문학 대표 밀리언셀러 를 읽어보신 분들 많으시죠? 우리가 몰랐던 문화유산의 숨은 재미와 감동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이 책의 저자 유홍준 교수는 얼마 전 인기 토크 프로그램에도 출연해 재치있는 입담을 보여주었는데요. 그는 올해 더 큰 감동을 담은 제6권을 새로 펴냈습니다. 미술평론가로서 ‘문화재청장’도 역임했던 그는 우리나라 미술사와 문화유산에 대해 누구보다 깊은 애정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를 만나 우리나라 문화유산과 인문학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습니다. 얼마 전 출연하신 ‘무릎팍도사’의 반응이 아직까지도 뜨겁습니다. 아마 안철수 원장 이후 최대의 센세이션이 아니었을까 싶은데요. 학자로서 쉽지 않으셨을텐데 출연을 결심하신 결정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섭외가 처음 들어..

2011. 9. 21. 13:02
아이를 리더로 키우고 싶은 부모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은?

이 책은 ‘스스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당당한 아이로 키우는 양육법’이란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 자녀들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교훈을 주는 책이다. 우리 부모들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도 알려져 있어서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기회 있을 때마다 우리의 예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뉴스를 통해 접했던 카이스트 로봇영재의 죽음과 연이어, 학생들의 극단적인 행동은 우리의 자화상을 보는 듯해 부끄럽기까지 했다. 왜 미래의 우수한 인재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는 없었을까? 이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 게 과연 누구일까? 부모가 먼저 깊은 생각과 반성을 해야 할 것이고, 또한 사회가 반성을 해야 될 것이다. 서열화 되어있는 학력구조가 이들을 몰아냈고, 아이의 자존감이 무너지게 만들었기에 이런 결과가..

2011. 9. 21. 09:06
영화 <해운대> 윤제균 감독이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원천은?

한 줄의 광고카피가 주는 매력, 마음을 울리는 시나 소설. 우리는 주변에서 각종 매체를 통해 짧은 글에 감동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이런 말이 떠오르고 또 이것을 글로 표현할 수 있었을까?’라고 느끼며 글을 쓴 사람들에게는 무언가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기도 하죠.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는 ‘스토리텔링’. 즉, 이야기 전달의 기법은 마음먹는다고 쉽게 키울 수 없는 능력일텐데요. 아주 오랫동안 자신의 내면에 쌓이고 쌓여서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나온다고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이런 능력의 원천은 어디에 있을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멋진 광고카피를 만들거나 책을 쓰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오랫동안 읽기를 즐겼고, 주변의 다양한 현상과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고 합니다. 이런 이..

2011. 9. 20. 13:15
1 ··· 491 492 493 494 495 496 497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