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스마트폰 기자 뉴스리터러시 독서 신문 신문읽기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공모전 미디어교육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직장인이 책을 신나게 읽을 수 있는 10가지 방법

    2011.06.16
  • 고등학생들이 만든 신문 일면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

    2011.06.15
  • 독일인의 집에 책이 없는 이유

    2011.06.14
  • 한남대 김형태 총장의 특별한 신문 사랑법

    2011.06.14
  • 신문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생존 방법은?

    2011.06.13
  • 국어 홀대하고 영어만 중시하면 나라 망한다?

    2011.06.10
직장인이 책을 신나게 읽을 수 있는 10가지 방법

제가 책을 좋아하다 보니, 사람들을 만나면 자연스레 책이 화제로 떠오르곤 합니다.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나도 책 좀 봐야 하는데….'하는 걱정을 내뱉는 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구요. 영화 좀 봐야 하는데, 게임 좀 해야 하는데 하는 사람은 드물지만 책 읽는 것에 대해서는 유독 부담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습니다. 연초가 되면 으레 ‘독서 몇 권’을 목표로 삼기도 하죠. 그만큼 독서가 이로운 점이 많으니 그럴테지만, 다른 취미에 비해 자연스레 다가가기 어려워하는 듯하여 못내 안타까울 때가 많았습니다. 내게는 드라마나 쇼 프로그램을 보는 것보다 더 즐겁고, 게임을 즐기거나 공연을 관람하는 것 이상으로 가슴 두근거리는 게 책 읽기입니다. 이에 책을 좀 더 가까이하는 법에 대해 알고 있는 몇 가지를 소개해볼까 ..

2011. 6. 16. 09:02
고등학생들이 만든 신문 일면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

지난 13일 프레스 센터 12층에서는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홍대부고)’ 학생들의 일일 기자체험 교육이 진행됐습니다. 이 날 홍대부고 학생들은 기획회의를 거쳐 취재와 인터뷰도 하고 기사까지 써보며 진짜 기자가 되어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학교 C/A활동으로 평소 신문과 언론에 관심이 많던 학생들은 개교기념일 임에도 아침 일찍부터 프레스 센터로 모였답니다. 오전 9시부터 시작해 5시까지 진행된 기자체험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신문을 만들었을까요? 그 현장을 소개하겠습니다. 13명의 학생 기자들이 보는 세상 이 날 교육은 학생들이 2인 1조로 취재 아이템을 선정해 각자 역할을 분담한 후, 현장취재를 통해 기사를 작성하는 순으로 진행됐는데요. 사설, 인터뷰, 해설기사, 보도기사 등 실제 발행되는 일..

2011. 6. 15. 09:08
독일인의 집에 책이 없는 이유

멋진 휴식시설, 도서관 같은 독일 서점 한국도 물론이지만 미국이나 독일, 영국 등 선진국의 낮은 독서율은 통계를 통해서도 곳곳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독일도 물론입니다. 특히 청소년이나 젊은 층이 책을 읽지 않는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그러나 여기서는 한여름 잔디공원이나 바닷가 휴양지에서 길게 누워 일광욕을 하면서 책 읽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휴가를 가면서도 반드시 책을 가져가더라고요. 그런 것으로 봐서 낮은 독서율과는 달리 생활 속에 독서가 자연스럽게 스며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특히 마음만 있으면 돈 들이지 않고도 얼마든지 읽을 수 있는 분위기입니다. 도서관 시설도 곳곳에 잘 되어 있지만 서점도 도대체 판매를 위한 곳인지 도서관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독서를 위한 ..

2011. 6. 14. 13:43
한남대 김형태 총장의 특별한 신문 사랑법

지난 3월 17일, 대전에 있는 목원대학교에서는 2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이 진행되었습니다. 특강의 주제는 ‘왜 신문을 읽어야 하는가?’였는데요. 이날 강사로 나선 사람은 이웃 대학인 한남대 김형태 총장이었습니다. 한 대학의 총장이 다른 학교에 가서 강의를 하고, 그것도 거창한 담론이 아닌 ‘신문’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 각종 뉴미디어가 발전하고 있는 지금 이 때, 그는 왜 대학생들이 신문을 읽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을까요? 한남대를 직접 방문해 김형태 총장의 신문 사랑법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총장님의 신문사랑이 각별하다고 들었습니다. 평소 어떻게 활용하시는지요? 외부 출장이 잦아 이동하는 시간이 많은 편입니다. 그럴 때면 늘 신문을 읽습니다. 보다가 좋은 기사가 있으면 스..

2011. 6. 14. 09:23
신문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생존 방법은?

미디어 산업에는 짝수 해의 신화가 있습니다. 월드컵,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 국제적인 스포츠 이벤트가 유독 짝수 해에 몰려 있고, 이들 이벤트에 광고가 몰려 특수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죠. 지난해에는 밴쿠버 동계올림픽, 남아공 월드컵, 광저우 아시안게임이 잇달아 열렸고, 국내에서는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라는 국제행사가 더해졌습니다. 그 결과 2010년은 총 광고비가 사상 최초로 8조 원을 돌파했는데요. 이에 따라 광고가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내 신문산업도 경영실적이 다소 호전됐으리라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 이벤트 등 ‘짝수 해 효과’ 톡톡 전체 광고비에서 신문을 포함한 4대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조만간 절반 이하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2006년 60.6%, 2007년 58..

2011. 6. 13. 09:20
국어 홀대하고 영어만 중시하면 나라 망한다?

일본 ‘활자문화진흥법’ 만든 문부과학성 이케노보오 야스코 전(前) 부대신 "국어는 그 자체가 그 나라의 문화, 역사, 가치관, 이념입니다. 세계에 진출하기 위해 영어가 필요하겠지만 영어교육에만 비중을 두고 국어교육을 홀대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입니다. 나라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일본 문부과학성의 이케노보오 전(前) 부대신은 자공연립여당(공명당) 의원 출신으로서, 지난 2005년 일본 국회에서 '문자•활자문화진흥법'을 제정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정치인입니다. 이케노보오 야스코 부대신은 "일본에서도 영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국어를 더 소중히 하자는 여론이 많다"면서 "한국인이 한국어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전혀 매력이 없을 것이다. 한국어를 정확하게 말하고, 이해하는 ..

2011. 6. 10. 14:22
1 ··· 513 514 515 516 517 518 519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