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독서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이벤트 뉴스 NIE 신문읽기 신문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신문의날 표어, 그 시절 시대상 담겨있네

    2011.04.13
  • '한장의 호소력' 가던 길 멈추게 했던 신문의 날 포스터

    2011.04.12
  • 방자전 김대우 감독이 말하는 Reader가 되는 방법이란?

    2011.04.12
  •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이 말하는 행동실천 5단계

    2011.04.11
  • 신문논술대회 대상 수상자 ‘전교 1등 비결은 신문읽기’

    2011.04.08
  • 시골의사 박경철이 추천하는 4가지 독서법은?

    2011.04.08
신문의날 표어, 그 시절 시대상 담겨있네

4월에는 많은 기념일이 있답니다. 새봄을 맞이하는 식목일을 비롯해 독재를 타도한 4.19 혁명기념일, 몸이 불편한 이웃을 돌아보는 4.20 장애인의 날 등이 있는데요. 혹시 이중 신문과 관련된 기념일도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바로 4월 7일 신문의 날인데요. 잘 모르셨다구요? 이래봬도 올해로 55회를 맞이한 유서 깊은 기념일이랍니다. 신문의 날은 1957년 4월 7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기리는 의미로 만들어졌는데요. 신문의 날을 전후한 1주일 동안은 신문주간으로 정해 언론 자유의 중요성과 신문의 역할을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행사로 한국 신문의 지향점을 짧은 문구로 정리한 ‘신문의 날 표어 공모전’을 들 수 있는데요.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각..

2011. 4. 13. 09:27
'한장의 호소력' 가던 길 멈추게 했던 신문의 날 포스터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책 같은 새로운 기기의 등장으로 기존 인쇄매체들도 점차 디지털화되어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한장 한장 종이를 넘기는 ‘손맛’과 특유의 잉크 냄새 때문에 손에서 신문을 놓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답니다. 이렇게 신문은 100년이 지나도록 사라지지 않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이런 신문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기 위해 매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습니다. 학창시절, 특별한 날이나 기념일에 포스터를 그렸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신문협회에서는 신문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도록 ‘신문의 날 포스터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올해로 55회를 맞는 신문의 날에도 개성있고 아이디어 넘치는 재미있는 포스터들이 많이 출품되었습니다. ..

2011. 4. 12. 12:59
방자전 김대우 감독이 말하는 Reader가 되는 방법이란?

2011의 시작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추위도 끝나고 따뜻한 봄이 시작되는 4월입니다. 연초에 세우는 계획 중 ‘독서’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표일텐데요. 혹시 새해 첫날 큰 맘 먹고 구입한 책이 지금 책상에 쌓여있지는 않나요? 우리나라 국민 10명중 4명은 한해 동안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더불어 신문 구독률 역시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면, 요즘 우리는 무언가를 읽는 것에 소홀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막상 책을 읽으려 해도 피곤하다는 이유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처음엔 의욕에 넘쳐 읽던 책이 점차 손에서 멀어지던 경험, 다들 한 번씩은 있겠죠? ^^ 지난 4월 4일 의 세 번째 강연자, 책읽기라면 누구보다도 자신 있다는 다독의 왕 김대우 감독을 만나 진정한 Reade..

2011. 4. 12. 09:47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이 말하는 행동실천 5단계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에는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가 있습니다. 바로 ‘독도’ 문제인데요. 물론 문제의 원인은 우리나라 영토임이 명백한 ‘독도’를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하는 일본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지진과 쓰나미로 경황이 없는 와중에도 또다시 독도 영유권 주장을 담고 있는 교과서를 발표해 논란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와 가수 김장훈씨도 적극적으로 독도를 알리겠다며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었죠. 한국홍보전문가 1호라는 수식어가 붙는 서경덕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독도 전면 광고를 주기적으로 내며, 한국을 알리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4일에 열렸던 의 두 번째 강연자로도 나서 젊은이들의 도전과 창의적인 활동을 위한 본인만의 노하우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주..

2011. 4. 11. 11:59
신문논술대회 대상 수상자 ‘전교 1등 비결은 신문읽기’

제55회 신문의 날이었던 4월 7일 어제,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신문논술대회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신문논술대회는 신문 읽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신문의 가치를 되새기기 위해 작년부터 시작된 행사인데요.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는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1,438명이 참여해 다양한 사람들의 신문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최근 신문 뿐 아니라 읽기 문화의 전반적인 쇠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여전히 많은 명사들이 신문 읽기를 본인의 성공 비결로 꼽고 있고, 독자가 줄었다고 해서 그 가치가 바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날 수상한 많은 학생들이 신문을 통한 읽기 습관이 성적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대변해 주었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기획한 이번 행..

2011. 4. 8. 15:28
시골의사 박경철이 추천하는 4가지 독서법은?

요즘은 ‘정보의 홍수’라는 말 대신 ‘정보의 쓰나미’라는 표현을 써야 할 정도로 헤아릴 수 없는 뉴스와 소식을 접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9시 뉴스와 석간신문 등 제한된 경로를 통해 하루간 일어났던 일들을 정리했다면, 요즘은 트위터나 페이스북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속보를 접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늘어났지만, 이 중에서 개인이나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알짜 정보’는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포털사이트 메인화면에 나란히 뜬 ‘MC몽 발치사건’과 ‘물가대란’ 기사를 보며 사람들은 어떤 정보가 더 가치있다고 생각할까요? 똑같은 비중으로 배열된 제목을 보며 사람들은 뉴스의 중요도를 판단하는데 있어 혼란을 겪게 되는데요. 이는 올바른 읽기 훈련을 거..

2011. 4. 8. 13:58
1 ··· 526 527 528 529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