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NIE 미디어교육 미디어 이벤트 책 신문 다독다독 독서 스마트폰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2011.04.21
  • 엄마의 목소리로 아이와 소통하는 ‘잠자리 동화책 교육’

    2011.04.21
  • 종이 편집을 알아야 온라인 뉴스가 재미있어진다?

    2011.04.20
  •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2011.04.20
  • 책보다 사람 만나는 재미, 독서모임 참여해보니

    2011.04.19
  •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2011.04.18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요즘 대학생들이 가장 관심 있어하는 분야 중 하나는 언론과 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신문방송학과’같은 언론분야 학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큰 뜻을 품고 좀 더 열정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빛내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언론인이 되고 싶어하는 많은 학생들을 위해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하고 기자라는 꿈을 이룬 언론인을 만나봤는데요. 서울신문의 김소라 기자(26)를 만나 기자가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을 물어보고, 기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어떤 말을 들려줬는지 김소라 기자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 힘든 만큼 보람도 큰 일이 기자 아닐까요? 작년 10월 4일 입사해 정신없던 6개월간의 수..

2011. 4. 21. 13:27
엄마의 목소리로 아이와 소통하는 ‘잠자리 동화책 교육’

어느 위인전을 보든, 육아서를 접하든 아이들 양육과 관련된 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잠자리 동화' 인데요. 솔직히 저도 제 아이가 18개월 되기 전까지는 잠자리 동화의 영향에 대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들을 알지 못했답니다. 그런데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세계 위인들이며, 현존하는 존경스런 분들의 공통점을 찾다보면 꼭 유·아동기에 잠들기 전 부모님이 읽어주신 동화책 이야기가 빠짐없이 등장하더라구요. 그렇게 무의식적으로 동화되고 매료되어 읽어주기 시작한 '잠자리 동화' 독서도 습관이라고 하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분명 습관도 중요하지만, 유아의 경우에는 얼마만큼 아이가 책읽기에 대해 긍정적이고, 자신의 선택이 반영되느냐에 따라서 잠자리동화가 주는 의미는 확연하게 달라진다고 생..

2011. 4. 21. 09:17
종이 편집을 알아야 온라인 뉴스가 재미있어진다?

요즘은 뉴스와 정보에 대한 경계가 희박해진 상황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유통되는 가장 큰 정보의 리소스는 여전히 뉴스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뉴스를 소비하며 생활합니다. 온라인 및 모바일 접촉 환경이 크게 부각되면서 과거에 비해 종이나 방송으로 뉴스를 소비하던 때 보다 미디어 절대량은 훨씬 많아졌습니다. 매체가 다양해지고, 매체의 진입장벽도 거의 없습니다. 많은 신생 언론사들이 등장했고, 그리고 블로그-유튜브-트위터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무료로 게재하고 소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됐습니다. 검색엔진은 잠재적으로 개방된 온라인 정보들을 모아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다시 확산시킵니다. 스마트 기기와 소셜네트워크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에 촉매제가 됐습니다. 미디어 세..

2011. 4. 20. 13:22
‘김태평’은 안 되고 ‘현빈’은 왜 뉴스가 될까?

우리가 사는 세상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살며, 하루에도 많은 사건들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생기는 사건 중 어떤 사건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고, 어떤 사건들은 알려지지 않는데요.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바로, 알려진 사건에는 알려지지 않은 사건보다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어떤 요건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뉴스에 대해 흔히 ‘그 날 일어난 새로운 일’이라고 합니다. 다르게 말하면, ‘하루에 일어난 일 중에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것’ 이라고 할 수도 있겠는데요. 이처럼 뉴스란 신문기자가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하거나 흥미로운 사건을 신문에 실어 놓은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가 사람을 물면 뉴스가 되지 않지만, 사람이 개를 물면 뉴스가 된다” 라고 말했던 저명한 언론인 찰스 대너..

2011. 4. 20. 09:08
책보다 사람 만나는 재미, 독서모임 참여해보니

“책 읽는 게 재미있어요? 책 그냥 읽기 귀찮아요. 시간이 없어요.” 그동안 책 블로그를 운영하며 들어온 제일 많이 들은 말이 '읽을 시간이 없다'는 것과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는 두가지였습니다. 없는 시간도 쪼개서 책 읽을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바로 '흥미'랍니다. 책 읽는 즐거움을 알게 되면 짬짬이 남는 시간에 친구와 메신저나 트위터로 수다 떠는 시간보다 책을 읽는 시간이 자연스레 늘어납니다. 요즘은 전자책(e-book) 어플이 많아져서 언제든지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었으니 책에 대한 흥미만 가지면 언제든 책과 함께할 수 있습니다. 책 읽는 흥미, 독서토론 모임에서 찾아라 저는 책읽기가 어렵다는 분들에게 독서모임에 참여해 책이야기를 나누어 보라고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독서모임에 참여..

2011. 4. 19. 09:49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대한민국 신문사의 연합체, 신문협회에서는 2006년부터 격년으로 신문이용에 관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독자 프로파일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0년 세 번째 프로파일 조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종이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뉴스 콘텐츠를 접하는 온라인 독자들까지도 집계에 포함시켰는데요. 모든 매체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요즘, 기존 종이신문의 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신문의 위기가 찾아온 것일까요? 그런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이번 신문 독자 조사는 기존의 포괄적 의견이나 태도를 묻는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개별 신문기사 및 광고를 독자들이 직접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신문 이용 행태와 관..

2011. 4. 18. 13:30
1 ···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