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NIE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책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0)

  • 엽문, 이소룡, 최배달과 <주먹쥐고 소림사 여자편>은 어떤 관계?

    2015.11.18
  • 신이 되길 원하는 검색 기술

    2015.11.17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3주)

    2015.11.17
  • 채널 해방! 방송 콘텐츠의 온라인 출사표

    2015.11.16
  • [백년간 뉴스]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 배추수송작전

    2015.11.16
  •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2015.11.13
엽문, 이소룡, 최배달과 <주먹쥐고 소림사 여자편>은 어떤 관계?

1. 은 달마대사나 무협소설 속 소림권과는 관계 없다? “소림사” 하면 많은 사람들이 머릿속에 특정한 그림을 떠올립니다. 이마에 동그란 흉터를 찍은 우락부락한 승려들, 소림사 주방장, 소림사 출신인 영화배우 이연걸, 창시자 달마대사와 제자 혜가 사이의 에피소드, 깨달음을 얻으려 한쪽 팔을 자른 혜가를 기리기 위해 한 손으로 합장하는 소림승려들의 온갖 무협소설에 나온 신묘한 무공과 화려한 발차기 등등……. 에도 소개되었던 소림사는 모든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공유하는 “공통기억”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방영중인 은 달마대사의 소림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왜냐고요? 달마대사가 창시했다는 소림무술로 유명한 소림사는 중국 북부 숭산에 있는 북소림사입니다. 의 배경이 되었던 곳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의 소림사는 중국..

2015. 11. 18. 09:00
신이 되길 원하는 검색 기술

인터넷은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를 올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급성장했습니다. 하지만 검색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만 해도 이 자유로움 때문에 인터넷은 수많은 글이 난무하는 쓰레기장으로 가까운 시간 내에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는 전문가가 많았습니다. 빌 게이츠도 그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구글이 등장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이런 논란은 사라졌습니다. 현재까지 검색 기술은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아보는 검색입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입력하면 알려 주는 수동적 검색입니다. 하지만, 이제 검색은 내가 물어보지 않아도 알려주는 능동적 검색으로 발전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검색 기술은 경제학과 결합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필자는 경제학을 전공했는데 학부 시절 교수님에게 제일 많이 들었던 이..

2015. 11. 17.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3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점점 여미게 합니다. 이러다가 금방 겨울이 될 것만 같은데요~ 2015년도 벌써 한 달 조금 넘게 남았습니다..ㅠㅠ 다독다독 여러분들은 올해 목표했던 독서량은 모두 채우셨나요? 남은 기간 동안이라도 열심히 해보자구요! 이번주 새로 나온 책입니다~!! 1위는 남성다움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중세의 기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는 “남자의 품격”, 2위는 월경이 어떻게 인류의 역사 가운데 여성 억압과 권력 생산의 수단이 되었는지 고찰한 “월경의 정치학”, 3위는 천재성과 광기의 비밀스런 메커니즘을 역사 속 유명인들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분석해보는 “미쳤거나 천재거나”입니다. 1위 : 남자의 품격 차용구 지음 | 책세상 | 2015년..

2015. 11. 17. 09:00
채널 해방! 방송 콘텐츠의 온라인 출사표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스토리캠프 대표 김해원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죄인들에게도 기회를 주는구나…! 인터넷이니까….” “형, 왜 여기서 MC를 하려고 해? 여긴 인터넷이잖아!” -‘신서유기’ 1, 2회 중에서-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의 스타 플레이어였던 강호동, 이수근, 은지원은 그들의 표현대로 “매일 아침 댓글로 욕먹으며” 하루를 시작하던, 이른바 ‘좀비’ 연예인이었습니다. 그들이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 2015년 여름, 드디어 부활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주어진 무대는 이름하여 ‘인터넷’. 이곳은 모든 잡탕 문화가 뒤섞여 소용돌이치는 B급의 고향, 떠돌이들의 안식처입니다. ‘신서유기’는 과연 구원을 위한 면죄부가 될 수 있을까요?..

2015. 11. 16. 14:00
[백년간 뉴스]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 배추수송작전

아침에 일어나면 으슬으슬, 벌써 겨울이 성큼 다가온 것 같습니다. 더위가 물러간지도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말이죠. 요즘은 장롱에서 조금씩 두꺼운 옷을 꺼내면서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있는데요. 어릴 적에는 어머님이 김장을 위해 소금에 한아름 절여놓은 배추를 보면서 '아, 이제 곧 겨울이구나.' 했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바로 그 '김장 김치'에 대한 얘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밥상에 김치가 없으면 얼굴에 코가 없는 거 같고 지금이야 냉장고가 일반화되어 한여름에도 보관에 문제가 없지만, 예전에는 신선한 채소의 영양소를 보존하면서 오랫동안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생존에 필수적이었습니다. 이런 연유로 나온 게 우리의 대표 음식인 김치인데요.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김장을 '겨울의 반 양식'이라 할 정도로 중..

2015. 11. 16. 09:00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홍원식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영화 ‘백투더퓨처’에 나왔던 많은 장면들이 새삼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손바닥보다도 작은 핸드폰이 우리 세상을 이렇게 바꾸리라는 것은 그 어떤 영화에서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일 듯합니다. 가히 우리 삶의 모든 것이 모바일 기기로 통섭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도 모바일의 특성에 기반한 디지털 플랫폼은 점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생태계에서 탄생한 넷플릭스, 훌루 등과 같은 OTT 사업자들은 날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화려함 뒤에서 기존 방송 사업자들은 제로TV, 코드커팅 같은 암울한 용어들에 점점 더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방송사들의 적극적 대응 시작 2014년부터..

2015. 11. 13. 14:00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