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이벤트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뉴스리터러시 신문 NIE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8)

  • 올바른 읽기습관으로 모의고사 성적이 올랐어요!, ‘다독다독 멘토링’ 결과 보고회

    2015.12.03
  • 셀프 출판을 위한 글 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2015.12.03
  • 역사시험을 준비하는 우리들의 자세

    2015.12.02
  • “나와 맞는 작가를 찾아라!” 시인 이병률의 독[讀]한 습관

    2015.12.02
  • 힘든 날들은 '벽'이 아니라 '문'이다

    2015.12.01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2월 1주)

    2015.12.01
올바른 읽기습관으로 모의고사 성적이 올랐어요!, ‘다독다독 멘토링’ 결과 보고회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재미있는 볼거리, 즐길거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SNS는 손쉽게 다량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무분별한 출처와 바르지 않은 정보로 인해 잘못된 가치관을 갖게 되는 경우가 종종있죠. 특히 청소년들에게 읽기습관은 무척 중요한데요. 다독다독 멘토링에서는 중고등학생의 멘티와 대학생 멘토가 만나 신문읽기를 바탕으로 올바른 읽기습관을 다지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대단원의 마지막인 지난 11월 27일, 서로를 격려하며 바른 읽기문화를 만들었던 시간을 추억하기 위해 결과 보고회가 열렸는데요. 그 현장 속으로 가볼까요? 5개월 간의 활동기간을 마치고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 ‘다독다독 멘토링 결과 보고회’가 열렸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읽기문화 확산을 위해 7월부터 11..

2015. 12. 3. 14:00
셀프 출판을 위한 글 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자신의 콘텐츠를 책으로 내기 위한 셀프 출판의 첫 번째 과정은 무엇일까요. 아이디어를 어떻게 기획으로 구체화할까요.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출판사는 기획과 편집과 디자인, 인쇄와 제본, 유통과 판매라는 과정을 통해 책을 출간하고 판매합니다. 이 과정에 편집자, 기획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이 결합됩니다. 하지만 개인이 스스로 책을 저술하여 출판하려고 할 때는 우선, 책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대해 출판사 중심 시각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은 막막함과 자신감이 공존한 채 셀프 출판(self publishing)을 하려는 사람들이 그 첫걸음을 딛는 과정에서 글쓰기와 기획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세계사를 가르치던 박 선생님은 오랜 준비 끝에 ..

2015. 12. 3. 09:00
역사시험을 준비하는 우리들의 자세

최근에 역사관련 이슈가 많아졌습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전 국민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이고, 한국사 능력검정시험이 취업필수 스펙으로 자리 잡은 지는 오래되었습니다. 게다가 수능시험에서 한국사는 필수로 지정되었고 기업 인적성 시험에서 한국사를 보는 곳도 많아졌습니다. 이처럼 역사교육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글을 쓰고 있는 저는 어릴 적부터 역사를 좋아했습니다. 사극을 보면서 감동하고 더 나아가 그 시대를 조사하기도 했었고, 다른 책은 안 봐도 역사책은 꾸준히 봐왔습니다. 수능시험에서도 역사과목을 선택했었고 성적도 좋게나왔습니다. 게다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출범초기부터 봤으며, 고급인 1급과 2급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관심이 있는 분야여서 그런지 몰라도 재미있게 공부를 했습니다..

2015. 12. 2. 14:00
“나와 맞는 작가를 찾아라!” 시인 이병률의 독[讀]한 습관

찬바람이 불던 지난 19일 저녁, 군포시청 대회의실에서는 ‘2015 독(讀)한 습관’ 8번째 강연이 열렸습니다. 강연의 연사를 맡은 인물은 시집 「눈사람 여관」,「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뿐만 아니라 여행 산문집「끌림」,「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내 옆에 있는 사람」등 다수의 책을 출간한 이병률 시인이었습니다.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좋은 사람들'로 처음 등단한 그는, 이후 따뜻한 감성을 담은 글로 많은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나와 맞는 작가를 찾고, 그에 대해 전문가가 되어라” 담담한 목소리로 강연을 시작한 이병률 시인은 책 읽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나와 맞는 작가를 찾으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말투가 비슷하고, 성장 배경이 유사하다고 느껴지는 작가를 찾고, 해당 작가에 ..

2015. 12. 2. 09:00
힘든 날들은 '벽'이 아니라 '문'이다

젊은 날은 순수하기에 더 많이 상처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당신은 먼 훗날 비로소 알게 될 것입니다. 그 상처는 아름다운 보석이었던 것을… 한 권의 책을 읽은 것이 아니라, 굉장히 따뜻한 격려를 받은 느낌이었습니다. 바쁜 도시 삶을 접고 지금은 지리산 자락에 소박하게 살고 계시다는 이 저자 아저씨를 만나러 당장에라도 지리산에 내려가고 싶은 마음을 움켜 잡아야 했습니다. ‘오늘도 힘겹다, 힘겹다’ 라는 말을 하고 있는 나에게 얼마나 따뜻한 격려가 되었었는지, ‘삶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 없는 고민에 대해서 다른 데서 들을 수 없었던 해결책을 발견한 셈이니까 말입니다. 세상에 힘 안들이고 사는 사람은 없다 똑같이 힘겨운 상황에도 흔히 이야기 하듯 맷집이 좋은 사람들이 있..

2015. 12. 1.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2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벌써 올해 마지막 달 12월입니다. 12월은 왠지 모를 축제 분위기에 다들 들떠있는 기분으로 한 달을 보내는 것 같아요. 괜히 들뜬 마음에 독서는 뒷전으로 미루게 되죠? 이번 주엔 어떤 새로 나온 책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다시 마음을 다잡아 봅시다! 1위는 인류학, 사회학, 생물학 등 분야를 넘나드는 인간 역사의 오랜 연구 결과물인 “사피엔스”, 2위는 국가감시에 관한 우리 시대 정상급 논객들의 라이브 토론 배틀을 담은 “감시국가”, 3위는 합법적 권력이 가난을 어떻게 지배하는지를 다룬 “가난이 조종되고 있다”입니다. 1위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지음 | 김영사 | 2015년 11월 24일 출간 이 책은 약 135억 년 빅뱅으로 물리학과 화학이 생겨나..

2015. 12. 1. 09:00
1 ··· 220 221 222 223 224 225 226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