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4)
-
학교의 눈물, 천종호 판사가 들려주는 학교폭력과 소년재판 이야기
출처_ 오마이뉴스 / 법정에서 사과한 부장판사, 왜 그랬을까 / 2014, 09, 25 학교폭력이라는 단어는 이제 우리에게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대구에서 학교를 다녔던 한 중학생의 자살 사건 이후 물 밑에서 덮어지기만 했던 학교 폭력 사건이 물 위로 올라왔고, 많은 사람이 학교 폭력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요. 그러나 이런 일련의 노력에도 여전히 ‘왜 한국은 학교 폭력을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가?’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일은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신의 아이가 가해 학생이 되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부모는 피해 학생의 모자람을 탓하고, ‘내 아이는 착한 아이인데, 나쁜 친구를 만나서 망가졌다’고 말하곤 하는데요, 대체로 그런 부모는 진심으로 잘못을 뉘우치지 못하고 피해 학생과 그..
2014.12.11 -
아이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어른들 때문입니다!
우리가 처음 책 읽기를 접하는 건 언제일까요? 지금은 기억마저 희미해진 아주 어린 시절, 부모님께서 읽어주신 책이 처음 우리가 접한 독서일 것입니다. 이제는 TV 속 모습을 통해 기억할 수도 있는데요. 최근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면 연예인 송일국을 비롯한 슈퍼맨 아빠들이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보내는 시간은 아이의 정서 안정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하지요. 이는 이미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어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위해 꼭 실천하는 습관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 아빠와 엄마의 모습들은 이제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흔한 광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의 자유를 보장해주세요 어린 시절 부모님의 다정한 책 ..
2014.10.28 -
알랭 드 보통이 알려주는 뉴스 사용설명서
출처_ genk 우리는 정보가 과다하게 흘러넘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누가 기존에 만들어 놓은 정보도 있고, 자신이 만드는 정보도 있죠. 그래서 이 시대를 사는 사람은 범람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요자의 역할과 정보를 가공하고 다시 퍼뜨리는 공급자의 역할까지 함께 하고 있죠. 이런 식으로 가공되고, 전달되는 정보를 일컬어 우리는 '뉴스‘라고 하죠. 인터넷만 열어도 당장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뉴스가 우리 눈앞에 나타납니다. 그런 엄청난 양의 뉴스가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이 일상이 됐습니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릿 PC 등의 기기가 보급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언제나 손쉽게 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었죠. 인터넷에 굳이 접속하지 않아도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페이스..
2014.10.21 -
파워블로거가 꿈꿨던 '세상을 바꾸는 글쓰기'란?
누구나 이 분야만큼은 자신 있다고 생각하는 분야가 있다. 그런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에는 여러 계기가 있겠지만, 대부분 자신이 한 노력에 대해 칭찬을 받았기 때문이 아닐까?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게 된 건 바로 그 때문이다. 그저 시험 성적도 보통이고, 생활에 있어서도 오히려 보통 아이들처럼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이 아니라 홀로지내는 시간이 더 많았던 내게 유일한 친구는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꾸준히 독후감을 썼었는데, 중학교 시절 독후감 숙제에서 국어 선생님께 공개적으로 아이들이 보는 앞에서 칭찬을 받았었다. 그때 나는 정말 기분이 좋았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사회문제를 이야기하는 글과 지역 글쓰기 대회에서도 수상을 하면서 내게 글쓰기는 하나의 자부심으로 자리 잡..
201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