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독서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NIE 공모전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기자 책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세대별 신문읽기 노하우, 직접 들어보니

    2014.07.31
  • 조선 건국, 청일전쟁… 뜨겁고 치열했던 우리의 역사 속 7월

    2014.07.31
  • 스토리가 있는 팩트, ‘내러티브 저널리즘’의 세계

    2014.07.30
  • 초등학생들이 궁금한 우리 부모님의 여름방학 모습은?

    2014.07.30
  • '기자'라는 직업, 대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2014.07.29
  • 뜨는 노래의 숨은 공통점, 우리가 몰랐던 ‘스토리’의 힘

    2014.07.29
세대별 신문읽기 노하우, 직접 들어보니

출처_Flickr by Pranav Bhatt “신문 어떻게 읽는 건지 모르겠어요…”, “신문 읽는 방법을 몰라서 스마트폰으로 봐요.” “글이 너무 빼곡해서 읽기가 어려워요.”, “ 양이 너무 많아요” 요즘 젊은이들이 신문 읽는 모습을 보기가 참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들에겐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시간이 없다거나, 읽는 방법을 모른다거나 등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죠. 주변 사람들을 보면 주로 ‘신문 읽는 방법을 모르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렇다면 신문은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요? 자칭 신문 고수들에게 신문읽기 노하우와 신문을 읽으면 무엇이 좋은지를 물어봤습니다. 먼저, 중년층의 대표 양봉춘(55) 씨를 만나봤습니다. 약 45년째 신문을 읽어오고 있다고 하시는데요. 그는 초등학교 3학년 때 소..

2014. 7. 31. 13:00
조선 건국, 청일전쟁… 뜨겁고 치열했던 우리의 역사 속 7월

출처_Flickr by H o l l y. 한 해의 절반이 지나고 여름의 폭염이 대지를 달구는 7월 한 달도 어느덧 마무리 됐습니다. 장마와 태풍 그리고 무더위까지 하루하루 건강하게 잘 지낸다는 게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우리는 다시 한 번 느껴보곤 합니다. 이런 7월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 유난히 계절만큼 뜨거웠던 일들이 많았습니다. 세계의 흐름을 뒤바꿔 놓은 일들도 많았던 역사 속 7월로 타임머신을 타고 잠시 떠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1947년 7월 2일 뉴멕시코주의 한 시골마을인 로스웰에 미확인 비행물체가 추락했고, 미국 정부가 이 비행접시와 외계인의 시신을 수습해 비밀에 부쳤다는 사건으로 유명한 ‘로스웰사건(Roswell UFO incident)’은 미스터리 사건에 관심이 많거나 혹은 관심이 없다..

2014. 7. 31. 09:16
스토리가 있는 팩트, ‘내러티브 저널리즘’의 세계

출처_ flickr by Antonio Tajuelo 로봇이 기사를 쓰는 시대가 왔습니다. 신문 읽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로봇 저널리즘’이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컴퓨팅 알고리즘(computing algorithm, 컴퓨터가 특정 문제를 해결할 때 인식하는 규칙과 절차)에 의해 기사가 자동 생성되는 것이죠. 시각과 주관이 없으므로, 기계는 보다 신속하게 사실(fact)을 전달해줄 수 있을 법도 합니다. 실제로 올해 3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진도 2.7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가장 빨리 1보를 내보낸 기자는 로봇이었습니다. LA타임즈가 온라인 보도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진 기사 전문 로봇 ‘퀘이크봇(Qualkebot)’이었죠. 기사 작성부터 발행까지 소요된 시간은 8분..

2014. 7. 30. 11:00
초등학생들이 궁금한 우리 부모님의 여름방학 모습은?

출처_ 경향신문 1981. 7. 22. 학교에 다니는 학생 시절 가장 간절히 바라던 시간을 꼽으라고 하면 방학이 아닐까 싶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등교의 압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늦잠도 자고 마음껏 놀 수 있었으니까요. 신 나게 놀다가 문득 궁금했던 것이 있었습니다. ‘엄마, 아빠는 여름방학 때 뭐했을까?’ 말입니다. 최근에 방학을 맞이한 초등학생 조카도 매일 놀 수 있다고 신이 나서 만나는 사람마다 붙잡고 여름방학에 뭐 하고 보냈는지 묻습니다. 뭐가 그리 궁금한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물음표를 던져서 대답을 해주느라 곤혹을 치르는 사람도 더러 있었습니다. 어릴 적에는 어른들의 방학이 참 궁금한 이야기 중의 하나였습니다. 지금도 아이들의 궁금증은 여전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다독다독에서 60~80년대 여름방학..

2014. 7. 30. 08:58
'기자'라는 직업, 대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출처_ flickr by crowd expedition 최근 각종 사고가 연이어 터지면서 언론의 역할이 주목받았습니다. 많은 사람은 언론에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요구했지만, 대다수 언론은 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혹평을 받았습니다. 심지어 인터넷상에서는 ‘기레기’라는 표현이 떠돌고 있습니다. 이 말은 ‘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용어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언론을 비꼬는 표현입니다. 이렇게 언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거센데도, 언론인을 지망하는 젊은이들이 있고 열정적입니다. 이들은 무엇 때문에 언론인이라는 직업에 열광하는 걸까요? 요즘 대학생들 사이에서 ‘취업스터디’는 취업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직군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대학생들이 모여 정보공유를 하거나..

2014. 7. 29. 13:43
뜨는 노래의 숨은 공통점, 우리가 몰랐던 ‘스토리’의 힘

출처_경향신문 트위터나 페이스북 그리고 유튜브 등 SNS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콘텐츠 들의 공통점은 화려하고 놀라운 영상미나 숨을 막히게 할 정도의 미사여구가 있다는 것일까요? 물론 이런 요소가 콘텐츠를 더 빛나게 해주지만 대중들은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는, 사람을 끌어당기게 하는 이야기에 더욱 주목하곤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상기술의 발달 속에서도 결국은 스토리텔링이 좋은 즉, 이야기가 있는 콘텐츠가 사랑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야기의 힘이 최근에는 멜로디 중심이었던 대중가요에서도 주목 받고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노래에 혹은 노래를 부른 가수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가 대중의 마음을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어쩌면 디지털로 표현되는 음악에 따뜻한 감성을 담았..

2014. 7. 29. 09:03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