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경영(6)
-
직장인, 인문학에 '입문'하다
이공계의 위기를 바라보며 '너희는 위기이기라도 하지, 우리는 이미 죽기 직전'이라고 하소연하던 인문학. 학문의 기본이 되는 인문학이지만 그간 홀대를 받아온 경향도 없지 않은데요. 그랬던 인문학이 최근에는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특히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스터디와 인문학 아카데미까지 열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인문학 열풍의 이유를 한 번 살펴볼까요? 출처 - 서울신문 자기계발과 힐링을 동시에 해결하는 인문학 “소크라테스와 한 끼 식사를 함께 할 수 있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을 내놓을 수 있다.” 아이팟과 아이폰으로 세계를 혁신한 애플의 전 CEO 고 스티브 잡스가 한 말입니다. 실제 스티브 잡스는 살아생전에 애플을 애플답게 만드는 것은 기술과 인문학의 결합에서 나온다고 누누이 강조했었죠. 세계적으..
2013.06.26 -
독서경영 2.0 시대, 올바른 토론 문화는?
얼마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 『디테일의 힘』의 저자 왕중추가 방한했습니다. 그는 기업의 디테일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기업경영 시스템의 단계를 세 가지로 나눴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능력 있는 CEO가 이끄는 ‘인치(人治)의 단계’입니다. 직원들은 강력한 카리스마와 전략을 제시하는 CEO를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 거죠. 두 번째 단계는 법률 또는 제도를 통해 기업을 경영하는 ‘법치(法治)의 단계’입니다. 능력 있는 한두 사람이 아니라 회사의 축적된 매뉴얼과 시스템이 회사를 굴러가게 한다는 말입니다. 가장 높은 단계는 문화를 통해 경영하는 ‘문치(文治)의 단계’로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일치된 비전과 가치에 따라 경영해야 한다고 합니다. 2011년 7월. 국내의 한 유통 대기업의 지역 본부 회의실. 필립 코..
2012.02.23 -
독서경영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
독서경영의 본질 21세기 화두 중 하나인 ‘지식기반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가 ‘독서’라 생각합니다. 특히 경영환경의 혼돈 속에 새로운 경영 혁신기법이 절실한 상황에서 ‘독서’와 ‘경영’을 접목한 ‘독서경영’이 새로운 이슈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서경영은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책 속에서 지식과 정보기술, 노하우, 아이디어, 영감 등을 얻고 이를 공유하여 다양한 방식의 관리를 통해 전파하거나 공유함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가치와 생산성을 높여가는 새로운 경영기법입니다. 또한 독서경영은 급변하는 세계 경제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되고 있고, 세계적인 리더들의 공통적인 경쟁력의 요소입니다. 그리고 오늘을 이해하고 내일을 준비하는 요소이며, 평생교육을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독서경영은 ..
2012.01.05 -
새로운 환경변화에서 직장인들이 살아남기 위한 현명한 방법은?
독서의 생활화가 중요하며, 글로벌경쟁시대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 대해서는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독서경영은 단순히 책을 읽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책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나 정보 등을 토론하고 공유하면서 새로운 정보를 축적해 개인의 발전이나 기업의 성장에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독서경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새로운 트렌드가 등장하고 있다는 겁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의 “부의 미래(2006년)”를 보면 새로운 신조어가 등장을 하고 있습니다. 바로 압솔리지(Obsoledge)라는 단어입니다. 이것은 쓸모없는 지식 또는 낡은 지식이라는 뜻인데요. obsolete(시대에 뒤떨어진, 폐물)와 knowledge(지식)가 결합된 신조어입니다..
2011.11.25 -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왜 독서경영인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많은 자양분 중에 독서만큼 소중한 자양분은 없을 것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사업이나 직장 생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성을 극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독서는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가 된다. 전문성보다 더 소중한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훌륭한 인격을 갖추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세상을 바르게 보고 균형감각을 갖고 사람을 대하며,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고 남을 더 이해하는 사람이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기 위해서는 선현들의 지혜로운 삶과 철학을 본받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는 노력을 해야만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
2011.10.26 -
정주영, 이병철, 워런 버핏의 공통점 ‘리딩으로 리드하라’
『리딩으로 리드하라』 서평 기본으로 돌아가자(Back to the Basic) 이지성씨가 저자인 『리딩으로 리드하라』는 “세상을 지배하는 0.1퍼센트의 인문고전 독서법”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아인슈타인, 처칠, 에디슨이 사고뭉치에서 위대한 천재로 탈바꿈한 비결은 뭐였을까? 또한 둔재들만 가던 삼류 학교 ‘시카고 대학’이 노벨상 왕국이 된 사연은 과연 뭘까? 그리고 카네기, 워런 버핏, 이병철, 정주영이 황금 손이 될 수 있었던 밑바탕과 알렉산더 대왕, 세종, 정조 등 희대의 국가 경영자들의 공통점은 어디에 있을까? 이 모든 것의 해답이 바로 인문고전 독서에 있다. 0.1퍼센트(%)가 세상을 지배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인문학에 빠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문고전은 인류의 역사를 새로 쓴 진정한 천재들..
201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