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공모전 신문 이벤트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신문읽기 책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76)

  • 미디어를 도구로 활용하고 즐겨 보아요!

    2023.09.06
  •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2023.08.31
  •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여름호(25호)

    2023.08.29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대학 공동체를 취재하는 ‘대학언론’

    2023.07.14
  • 7월의 추천 도서 –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2023.07.13
  • ‘지피지기’면 AI는 인류의 유능한 친구!

    2023.07.05
미디어를 도구로 활용하고 즐겨 보아요!

미디어교육 운영 학교 수업 현장 written by. 박미영 (한국NIE협회 공동대표)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학교 미디어교육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매년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전국 유치원·초·중·고등학교이며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학교에는 미디어 강사가 파견돼 미디어교육을 진행한다. 올해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중 3개교에서 진행된 생성형 AI 관련 미디어 수업 내용을 소개한다. ​ 과연 학생들은 AI에게 어떤 별명을 붙였을까요? 지나는 ‘화산’이란 별명을 붙여 주며,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화산처럼 언제 인간을 뛰어넘을지 모르기 때문에 조금 위험하다 싶으면 잠시 개발을 멈춰야 한다”고 제안했죠. ​ ​​ "♬ 꽃향기만 남기고 갔단다." 흥겨운..

2023. 9. 6. 09:00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여름호 의 퀴즈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번 호 를 읽고 퀴즈 2개의 정답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정답을 모두 맞힌 분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10분께 교보문고 기프트카드 교환권 1만 원권을 드립니다. Q1. 이번 여름호의 특별기획 주제는? 정답: ○○ 리터러시 교육 Q2.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일컫는 단어는? 정답: ○○○ ○○ (힌트: 특별기획 2-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p.14 中) 특별기획 본문 바로가기: https://www.kpf.or.kr/synap/skin/doc.html?fn=1691537754235.pdf&rs=/synap/resul..

2023. 8. 31. 11:55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여름호(25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3년 8월 미디어리터러시 여름호(통권 25호)를 발행하였다. 미디어리터러시 여름호에서는 을 주제로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미디어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I. 특별기획 : AI 리터러시 교육 오세욱 / 우선 많이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써 보자 김현철 / 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이준환 / 20년간 쌓은 리뷰 4만 건 어린이 콘텐츠 품질 평가에 진심 황현정 / 전문 인력 양성에 집중, AI 리터러시 교육은 미흡 ​ ​ ​ II. 인터뷰/대담 : 미·리·Talk 김아미, 강용철, 김광희 / 미디어 과의존, 소통 역량은 하락…성찰과 표현 기회 늘려야 ​ ​ ​ Ill. 교육현장 : 미디어교육, 들여다보기 박미영 / 인간을 위한 ..

2023. 8. 29. 09:00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대학 공동체를 취재하는 ‘대학언론’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 ​ 이번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통권 제24호) 「기획연재」 에는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인 ‘공동체 미디어’를 소개하는 글이 실렸다. 이번 에서는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공동체 미디어’ 중에서 대학 공동체를 다루는 대학언론을 살펴본다.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2004년 처... blog.naver.com ​​ 일반적으로 공동체는 근린(neighborhood) 개념이 중요한데, 즉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야 함을 의미한다. 사회학자..

2023. 7. 14. 15:16
7월의 추천 도서 –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7월의 추천 도서 –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읽기 전략 전자책보다 종이책이 공부가 더 잘된다는 믿음은 사실일까? 디지털 스크린과 오디오를 활용한 깊이 읽기는 불가능할까? 오디오와 동영상 자료가 교실에서 종이책을 밀어낼까? 연구 자료는 웹사이트 화면으로 봐도 될까, 출력해서 읽는 게 나을까? 전자책, 종이책, 컴퓨터 화면, 태블릿 화면, 스크린, 그리고 오디오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읽기 방법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졌습니다. 이와 함께 읽기 매체와 읽기 다양성, 그리고 문해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발전되었는데요. ​ ​ ​ ​​ 책 에서 읽기 연구의 전문가이자 언어학자인 나오미 배런 교수는 최..

2023. 7. 13. 14:47
‘지피지기’면 AI는 인류의 유능한 친구!

디지털 미래의 동반자 AI, 그리고 사용자의 역할 ​ written by.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인공지능의 미래는 영화 에 나오는 ‘스카이넷’이 아닐까? 인공지능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고 결국엔 인류를 멸망시키려 할까? 인공지능과 관련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상상을 해보았을 것이다. 이는 지나친 두려움일 수 있지만 준비가 부족하다면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정적 영향은 상상이 아닌 현실이 될 수도 있다. 일반 수용자 입장에서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살펴보았다. ​ 가장 중요한 것은 AI에 대한 깊은 이해와 교육일 테다. 교육을 통해 AI가 생성하는 콘텐츠 및 정보의 출처와 신뢰성에 대한 판단 능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AI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

2023. 7. 5. 13:11
1 ··· 9 10 11 12 13 14 15 ··· 9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