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스마트폰 신문 이벤트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책 신문읽기 뉴스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내가 쓴 글의 무게와 책임감 느껴요

    2021.11.16
  •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나만의 방법 만들기

    2021.11.12
  • 미디어 리터러시 사행시 이벤트에 당첨된 사행시를 소개합니다!

    2021.11.11
  • 사행시 이벤트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2021.11.1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플랫폼 자율 규제’ 투 트랙

    2021.11.10
  •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함께 작성하기

    2021.11.05
내가 쓴 글의 무게와 책임감 느껴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며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한 정보 교류 및 의사소통이 우리 사회 전체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한 여러 긍정적 변화도 많지만 악의적 가짜뉴스 등 허위 사실 유포에 따른 폐해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국민 보건과 생명에 관련된 가짜뉴스가 유포되며 사회 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런 만큼 디지털 기술에 친숙하면서도 허위정보에 취약할 수 있는 청소년에게 정보를 구별하는 능력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지도사가 본 체커톤 대회 청소년지도사로서 평소 청소년과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인 나는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는 지루한 수업이 아닌 새롭고도 공감할 수 있는 학습..

2021. 11. 16. 18:48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나만의 방법 만들기

나만의 뉴스일기장은 창작을 위한 어떤 형태로도 될 수 있어요! 시를 쓴다면 시집이 되고, 그림을 그리면 캔버스가 될 수 있답니다~ 지난 참가자들은 어떤 자신만의 방법을 만들었을까요? 함께 확인해요!! 첫 번째, 나만의 자작시를 지어요! 산문보다는 좀 더 간결하게 뉴스에 대한 내 생각을 전달하고 싶다면? 비유를 통해 자신의 감상을 시로 창작해요!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스일기를 통해 시인으로 거듭날 수 있어요~ 두 번째, 뉴스와 관련된 인물을 직접 인터뷰해요! 뉴스를 꼼꼼히 읽는 것이 뉴스일기의 첫 번째 단계라면, 이 뉴스가 진짜인지 팩트체크를 하는 것은 그다음 필수 단계예요! 직접 뉴스와 관련된 인물을 인터뷰하며 팩트체크하고, 뉴스 리터러시를 실천할 수 있답니다~ 세 번째, ..

2021. 11. 12. 12:48
미디어 리터러시 사행시 이벤트에 당첨된 사행시를 소개합니다!

미디어를 보며 올바르게 분별하고 활용하며 소통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더 많은 분이 아시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리터러시’ 네 글자로 사행시를 지어보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는데요! 당첨자분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궁금하실 것 같아 준비해봤습니다! 리 리얼리? 터 터무니 없는 소리야 러 너 믿는거야?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으면 언젠간 시 시한폭탄이 터지게 되어 있어 리 리트라이를 해도 달라지지 않는 터 터질듯한 미디어 정보들 러 러시아, 중국, 한국 불문 어디서든 넘쳐나죠 시 시발점이 되는 곳에서 올바르게 얻어보도록 합시다! 리 리터러시..

2021. 11. 11. 11:11
사행시 이벤트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 늦어서 죄송합니다! 오래기다리셨죠? 여러분들의 댓글들이 하나하나 너무 재밌어서 당첨자를 뽑기 너무 어려웠습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진행하는 미디어리터러시 사행시 이벤트 드디어 당첨자 발표를 진행합니다! ​ 내일 당첨자분들의 신선하고 의미있는 ‘리터러시’ 사행시 결과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기대 바랍니다! ​ ​ ​ ​ 정소정 / 정은옥 / 각설탕 / 나무바른 / 고지연 도지은 / 김루다 / 한가옥 / 구고은 / 강주형 ​ ​ ​ ​ nikkorr_ / jkh73129 / ksyangela11114 / daybooks_rina / blazmablayd1 eric01790179 / ___aquair___ / da_..

2021. 11. 10. 17:54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플랫폼 자율 규제’ 투 트랙

여성 혐오(misogyny)는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고 멸시, 비하하는 정서·표현· 태도로서 고대 그리스 신화 및 문학에도 나타날 정도로 그 뿌리가 깊다. 한국 사회에서 사이버상의 여성 혐오는 2000년대 이후 특정 사이트를 중심으로 디지털 하위문화인 놀이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여성 혐오 문제는 사이버상의 단순한 ‘표현’ 문제가 아니다. 표현이 갖는 위력은 위계적 권력 구조에서 화자의 권력에 따라 달라진다. 여성 혐오 표현은 권력의 문제이다. 여성 혐오를 다루는 미디어의 권력 구조가 잘 드러난 사례로 지난여름 도쿄 올림픽 여자양궁 금메달 3관왕인 안산 선수에 대한 일련의 온라인 폭력 사건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당시 사건의 진행과 언론의 보도 과정을 살펴보고, 디지털 미디어에서 전..

2021. 11. 10. 16:35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함께 작성하기

뉴스를 읽고 나서 주변의 누군가가 떠오른 적은 없나요? 좋은 기사를 읽고 여러 사람에게 추천해 주고 싶지는 않았나요? 뉴스일기를 작성할 때도 가족, 친구들, 선생님 등 동료들과 함께한다면 풍성한 이야기를 담을 수 있어요! 첫 번째, 뉴스 속의 주제로 함께 토론을 해봐요! 가끔 뉴스를 접하다 보면, 상반된 의견을 띠는 주제들이 있는데요. 내 입장을 정하고 고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찬성과 반대 의견 양쪽 입장을 동시에 뉴스일기에 작성하고 고려한다면, 세상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더 깊어질 거예요! 두 번째, 뉴스를 보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봐요! 뉴스일기에는 기사를 보고 든 내 생각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어요. 하지만, 더 많은 사람과 생각을 나누면 어떨까요? 뉴스일기 속 더 다양한 생각의 꽃이 피어날 거예..

2021. 11. 5. 14:25
1 ··· 48 49 50 51 52 53 54 ···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