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2)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책 독서 신문읽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뉴스 공모전 스마트폰 미디어 NIE 다독다독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신문(535)

  • 뉴스일기를 작성하면 좋은 점 :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2021.12.03
  •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나만의 방법 만들기

    2021.11.12
  •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함께 작성하기

    2021.11.05
  •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2020.04.24
  • 읽다, 알다 - 신문 논술대회 수상자 인터뷰

    2016.12.27
  •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 인성교육 사례발표회

    2016.12.16
뉴스일기를 작성하면 좋은 점 :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다양한 미디어가 쏟아져 나오는 요즘, 미디어 리터러시는 필요역량이 아니라 생존역량이래요! 특히 미디어 이용률이 높은 청소년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려면 에 참여해 보아요! 자유롭게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10대들의 뉴스 이용이 늘었대요! 그렇다면 청소년들은 뉴스 미디어를 얼마나 선별적, 비판적, 균형적으로 이용하고 있었을까요? 그 결과는 모두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점 이하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뉴스 이용 행태는 뉴스의 신뢰도를 떨어트리고, 가짜뉴스를 쉽게 접할 수밖에 없어요! (출처 : 소년중앙)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고등학생용 교과서 를 개발했어요! 2020년 서울시교육청 승인 인정교과서로 선정되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속한 모든 학교 고등학생..

2021. 12. 3. 14:34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나만의 방법 만들기

나만의 뉴스일기장은 창작을 위한 어떤 형태로도 될 수 있어요! 시를 쓴다면 시집이 되고, 그림을 그리면 캔버스가 될 수 있답니다~ 지난 참가자들은 어떤 자신만의 방법을 만들었을까요? 함께 확인해요!! 첫 번째, 나만의 자작시를 지어요! 산문보다는 좀 더 간결하게 뉴스에 대한 내 생각을 전달하고 싶다면? 비유를 통해 자신의 감상을 시로 창작해요!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스일기를 통해 시인으로 거듭날 수 있어요~ 두 번째, 뉴스와 관련된 인물을 직접 인터뷰해요! 뉴스를 꼼꼼히 읽는 것이 뉴스일기의 첫 번째 단계라면, 이 뉴스가 진짜인지 팩트체크를 하는 것은 그다음 필수 단계예요! 직접 뉴스와 관련된 인물을 인터뷰하며 팩트체크하고, 뉴스 리터러시를 실천할 수 있답니다~ 세 번째, ..

2021. 11. 12. 12:48
다양한 뉴스일기 작성법 : 함께 작성하기

뉴스를 읽고 나서 주변의 누군가가 떠오른 적은 없나요? 좋은 기사를 읽고 여러 사람에게 추천해 주고 싶지는 않았나요? 뉴스일기를 작성할 때도 가족, 친구들, 선생님 등 동료들과 함께한다면 풍성한 이야기를 담을 수 있어요! 첫 번째, 뉴스 속의 주제로 함께 토론을 해봐요! 가끔 뉴스를 접하다 보면, 상반된 의견을 띠는 주제들이 있는데요. 내 입장을 정하고 고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찬성과 반대 의견 양쪽 입장을 동시에 뉴스일기에 작성하고 고려한다면, 세상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더 깊어질 거예요! 두 번째, 뉴스를 보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봐요! 뉴스일기에는 기사를 보고 든 내 생각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어요. 하지만, 더 많은 사람과 생각을 나누면 어떨까요? 뉴스일기 속 더 다양한 생각의 꽃이 피어날 거예..

2021. 11. 5. 14:25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유아 대상 미디어교육 ‘미디어랑 나랑 꼬꼬마 미디어 리터러시’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쉽지 않다. 어른의 눈높이로 어린이를 판단하면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되기 마련이다.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놀이와 접목해서 미디어교육을 하는 현장을 찾아가본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앞으로 아이들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미디어 세상을 더 많이 만나게 될 것이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미디어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고 어른보다 더 현명하고 똑똑한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이용자로 자라주길 희망한다. 지금 어린이들이 만나는 미디어 세상은 부모 세대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다. 부모들은 아이들의 미디어 노출 시..

2020. 4. 24. 09:00
읽다, 알다 - 신문 논술대회 수상자 인터뷰

양정환,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많은 학생이 신문 읽기에 대해 가지는 의문은 “왜 읽어야 하나요?”입니다. 정말 신문은 '왜' 읽어야 할까요? 신문 논술대회 최우수상을 받은 박서아 씨와 이푸르메 군을 만나 두 사람이 느낀 신문이 주는 도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습니다 교육 강국 핀란드는 젊은 세대의 약 51%가 종이신문을 구독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1995년 53.5%에 달했던 신문 구독률이 2014년 20.7%까지 줄었고 학생들의 구독률 또한 점점 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많은 학생이 신문 읽기에 대해 가지는 의문은 “왜 읽어야 하는가?” 입니다. 언제부턴가 ‘지루한’, ‘읽기 어려운’ 이라는 수식어가 신문 앞에 자연스럽게 따라다니게 되었습니다. 과연 신문 읽기는 지루하고 어..

2016. 12. 27. 12:00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 인성교육 사례발표회

장두원&윤상아, 2016년 다독다독기자단 [요약] 교육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활성화 업무협약 기관’인 한국신문협회는 진로교육법과 인성교육법 시행에 맞춰 지난 11월 8일 화요일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인성교육 사례발표회’를 개최했습니다. 전문교사의 교수경험을 공유하고 수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된 이번 발표회에는 초・중・고등학교의 많은 선생님들이 참석했습니다. ▲강의를 듣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의 모습 지식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다양한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 수많은 매체를 접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합니다. 그 중 특히, 신문 매체는 ‘세상을 보는 창(窓)’이라 불릴 만큼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여론을 형성해 사회..

2016. 12. 16. 16:00
1 2 3 4 5 ··· 9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