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547)
-
기획취재 아카이브 – <혐오발전소, 댓글창>
written by. 계간 편집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 되어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2월에 공개되었던, 국민일보의 을 소개합니다. 얼마 전 네이버는 신고 횟수가 일정 수를 넘은 이용자, 이른바 '악플러'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등을 공개하고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가 지금까지 작성한 댓글까지 공개했..
2023.10.19 -
미디어를 도구로 활용하고 즐겨 보아요!
미디어교육 운영 학교 수업 현장 written by. 박미영 (한국NIE협회 공동대표)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학교 미디어교육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매년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전국 유치원·초·중·고등학교이며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학교에는 미디어 강사가 파견돼 미디어교육을 진행한다. 올해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중 3개교에서 진행된 생성형 AI 관련 미디어 수업 내용을 소개한다. 과연 학생들은 AI에게 어떤 별명을 붙였을까요? 지나는 ‘화산’이란 별명을 붙여 주며,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화산처럼 언제 인간을 뛰어넘을지 모르기 때문에 조금 위험하다 싶으면 잠시 개발을 멈춰야 한다”고 제안했죠. "♬ 꽃향기만 남기고 갔단다." 흥겨운..
2023.09.06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대학 공동체를 취재하는 ‘대학언론’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이번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봄호(통권 제24호) 「기획연재」 에는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인 ‘공동체 미디어’를 소개하는 글이 실렸다. 이번 에서는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공동체 미디어’ 중에서 대학 공동체를 다루는 대학언론을 살펴본다.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2004년 처... blog.naver.com 일반적으로 공동체는 근린(neighborhood) 개념이 중요한데, 즉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야 함을 의미한다. 사회학자..
2023.07.14 -
7월의 추천 도서 –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7월의 추천 도서 –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읽기 전략 전자책보다 종이책이 공부가 더 잘된다는 믿음은 사실일까? 디지털 스크린과 오디오를 활용한 깊이 읽기는 불가능할까? 오디오와 동영상 자료가 교실에서 종이책을 밀어낼까? 연구 자료는 웹사이트 화면으로 봐도 될까, 출력해서 읽는 게 나을까? 전자책, 종이책, 컴퓨터 화면, 태블릿 화면, 스크린, 그리고 오디오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읽기 방법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졌습니다. 이와 함께 읽기 매체와 읽기 다양성, 그리고 문해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발전되었는데요. 책 에서 읽기 연구의 전문가이자 언어학자인 나오미 배런 교수는 최..
2023.07.13 -
‘지피지기’면 AI는 인류의 유능한 친구!
디지털 미래의 동반자 AI, 그리고 사용자의 역할 written by.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인공지능의 미래는 영화 에 나오는 ‘스카이넷’이 아닐까? 인공지능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고 결국엔 인류를 멸망시키려 할까? 인공지능과 관련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상상을 해보았을 것이다. 이는 지나친 두려움일 수 있지만 준비가 부족하다면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정적 영향은 상상이 아닌 현실이 될 수도 있다. 일반 수용자 입장에서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살펴보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AI에 대한 깊은 이해와 교육일 테다. 교육을 통해 AI가 생성하는 콘텐츠 및 정보의 출처와 신뢰성에 대한 판단 능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AI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
2023.07.05 -
‘수동적 감상자’에서 ‘능동적 참여자’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미술 수업 written by. 이재예 (서울대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 전공 강사) 이정은 (중앙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강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이라고 정의한다면,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이 생활 그 자체인 지금의 어린이·청소년에게는 어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할까? 이러한 질문에 답을 얻고자 미술(교육)을 전공한 연구자 두 명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시각 예술 수업을 시도했다. 수업 진행 과정과 내용을 소개한다. 체험형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수동적 디지털 감상자’에 머물지 않고 ‘능동적 참여자’로 활동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