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뉴스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공모전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신문 스마트폰 NIE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2023.06.28
  • “우선 많이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써 보자” - 챗GPT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2023.06.26
  •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2023.06.22
  • 금 나와라, 뚝딱? 준비 시간 줄었지만…아직은 ‘글쎄’

    2023.06.2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2023.06.15
  •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2023.06.14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미국-생성형 AI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written by. 박유신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장·삼광초 교사) ​ 챗GPT, 바드 등 생성형 AI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쁜 의도를 가지고 AI를 악용할 경우 허위정보가 무분별하게 대량으로 퍼져나갈 수 있고, 허위정보의 유통은 뉴스 신뢰도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우려 속에 미국의 미디어교육 기관들이 AI 시대에 맞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2023년 4월 3일자 는 포토 저널리즘의 윤리와 생성형 AI의 문제에 대해 다룬다. 생성형 AI는 더욱 정교한 가짜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선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경계해야 한다고 는 주장한다. ​ ​..

2023. 6. 28. 14:00
“우선 많이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써 보자” - 챗GPT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챗GPT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 written by.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챗GPT가 불러온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뜨겁다. 거의 매일 인공지능에 대한 뉴스가 보도된다. 인공지능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도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정작 챗GPT를 제대로 써 본 이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어떤 대상에 대한 찬반에 앞서 그 대상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일이 더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챗GPT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관련 연구자들도 발전의 속도를 쫓아가기 어려울 정도다. 현재 단계에서 기술 발전 방향과 결과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섣부른 진단이나 예측보다는 리터러시 차원에서 우선 많이 써 보자..

2023. 6. 26. 15:26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지원 규모는 일반 연재보도 지원 건당 20,000천원 이내, 디지털 스토리텔링 뉴스 제작 건당 40,000천원 이내, 실감형 뉴스 제작 건당 50,000원 이내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되어 있기도 한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0월에 공개되었던, 씨네21의 을 소..

2023. 6. 22. 10:50
금 나와라, 뚝딱? 준비 시간 줄었지만…아직은 ‘글쎄’

챗GPT를 활용한 미디어교육 수업 준비 ​ written by. 김광희 (경기 진말초 교사) ​ 지난 2월 13일 교육부는 챗GPT와 관련해 전 직원 대상 공개 포럼을 개최했다. 챗GPT 시연을 지켜본 교육부 관계자 사이에서는 ‘앞으로 교육부 직원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걱정 섞인 우스갯말도 나왔다고 한다. 챗GPT가 교육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라는 전망이 있다. 만병통치약은 아닐지라도 수업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학교 수업 준비를 위해 챗GPT를 활용한 흥미로운 사례가 있어 소개한다. ​ 챗GPT의 대화형 알고리즘으로 인해 수업 자원 탐색 과정이 상당 부분 줄었을 뿐 아니라 챗GPT가 제안하는 활동 중 유의미한 활동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줄어든 시간이 ..

2023. 6. 20. 13:1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양성의 가치’ 가르치자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 노인과 장애인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와 미디어 콘텐츠 속에는 의외로 많은 차별과 혐오 표현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은 주로 노인, 여성,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소수자, 사회적 약자를 향하고 있다. 비장애인, 남성 등 주류의 시선으로 이들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순서는 바로 미디어의 소수자 재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았다.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미디어 속 노인과 장애인의 모습은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 가공의 이미지이다. 다양한 현실의 모습이 아닌 하나의 전형적 이미지로 재현될 경우, 소수자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과 편견이 강화되어 공동체 사회의 다양성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 ​ ..

2023. 6. 15. 11:55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보는 해외 사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 기사형 광고는 기사 형식을 빌린 광고로, 구성이나 내용, 편집 방법 등으로 인해 독자로 하여금 ‘광고’가 아닌 ‘기사’로 오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지난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에서 다룬 내용이기도 한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기사형 광고 알아채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기사형 광고! 오늘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 blog.naver.com ​ 기사형 광고는 언론사의 재정적 안정과 광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독자가 기사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만적이며, 잠재적 소비자인 독자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 ​ ​ ​ ​ 기사형 광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계와 광고계가 ..

2023. 6. 14. 17:50
1 ··· 5 6 7 8 9 10 11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