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NIE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독서 미디어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뉴스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휴가철 맞아 현직 작가들에게 듣는 여행

    2012.07.27
  • 21세기 글쓰기 위해 ‘문장강화’ 읽어야 하는 이유

    2012.07.26
  • 한국을 강타했던 가장 강력한 태풍 Top3

    2012.07.26
  • 아동 성범죄, 한국과 외국의 처벌 방법

    2012.07.25
  • 미국 사는 우리 아이가 한국을 배우는 방법

    2012.07.25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이 공중전화박스?

    2012.07.24
휴가철 맞아 현직 작가들에게 듣는 여행

여행. 단 두음절로 이토록 많은 이들을 가슴 뛰게 하는 단어가 또 있을까요? 우리는 삶의 다양한 굽이에서 여행을 꿈꿉니다. 하품 나는 대도시의 쳇바퀴 같은 일상을 벗어나고 싶을 때, 생각을 정리하며 다음 도전을 위한 재충전의 시간을 필요로 할 때, 사랑하는 사람과 단 둘만 놓이고 싶을 때, 마음을 다쳐 조용한 힐링이 절실할 때. 때론 단순히 물놀이나 하이킹이 그리워 배낭을 둘러매기도 하고요. 떠나는 이유가 어찌됐건 여행이란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것임에 분명합니다. 그래서 지금 이 순간에도 그토록 수많은 사람들이 낯선 이국의 골목을 거닐며 ‘사서 고생’을 하고 있을 테지요. 여기, 여행이 곧 일터이고 직업이며, 꿈이고 미래인 이들이 있습니다. 여행작가 배장환, 조명화 씨가 그 주인공인데요. 휴가철..

2012. 7. 27. 10:29
21세기 글쓰기 위해 ‘문장강화’ 읽어야 하는 이유

바야흐로 21세기는 콘텐츠의 시대라고 합니다. Contents,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어떤 형식 안에 채워지는 내용물입니다. 책과 글, 카메라와 사진, 캔버스와 그림, 무용가와 몸짓, 가수와 노래... ...전자가 형식이면 후자는 내용, 후자가 바로 콘텐츠입니다. 요즘 일본과 동남아는 물론 유럽까지 뒤흔드는 한류(韓流)가 바로 한국 문화, 한국이란 형식에 채워진 문화인데 그 문화가 바로 콘텐츠입니다. [출처-서울신문] 그런 콘텐츠는 대부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없던 것에서 읽고, 보고, 듣고, 만지고, 느끼게 해주는 그 무엇들입니다. 책이나 글, 사진이나 동영상, 조각이나 그림, 무용, 음악 등 우리의 오감을 자극시키고 감동시키는 그 모든 것들이 콘텐츠입니다. 그런 콘텐츠 중에 아주..

2012. 7. 26. 13:27
한국을 강타했던 가장 강력한 태풍 Top3

지난 7호 태풍 카눈(KHANUN) 때문에 걱정 많으셨죠? 7월이 되자 누가 여름 아니랄까봐 물폭탄이 기습적으로 쏟아지곤 합니다. 인명 피해와 정전, 항공기 결항 등 태풍 카눈으로 인한 피해가 잇따랐지만 그나마 사흘만에 급격히 소멸하여 다행이었어요. 태풍 카눈으로 전국 12개 시·군 2만 6236가구의 전기가 끊겼고, 선박 10척이 좌초, 유실됐습니다. 어마어마한 피해죠? 8호 태풍 비센티는 현재 중국 남부, 홍콩에 이재민 47만명과 100여 명 부상자를 내는 등 인명피해가 크네요. 항공편도 대거 결항됐다고 하고요. 아직까지 한국은 비센티의 영향권이 아닌 것 같아 그나마 다행이지만요. 연일 신문에서 다루는 태풍에 대한 기사를 보다 보니 궁금해졌습니다. 역대 우리나라가 입은 태풍 피해는 어느 정도였을까요?..

2012. 7. 26. 10:56
아동 성범죄, 한국과 외국의 처벌 방법

‘최근 5년간 4,000건 이상, 하루 평균 2.2건 발생...’ 과연 어떤 통계일까요? 끔찍하게도 우리나라의 아동성범죄 발생 건수입니다. 어린이를 상대로 한 성범죄가 하루에 2건 이상 수사기관에 집계된다는 것, 부끄러운 우리 사회의 자화상입니다. (출처-MBC) 최근 성폭행 전과자가 10세 여아를 성폭행하려다 실패하자 살해 후 암매장한 ‘통영 초등생 피살사건’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살해 용의자로 긴급체포된 김점덕은 목격자인 양 방송국 인터뷰까지 해서 사람들의 공분을 일으켰는데요. 아동 성범죄는 이처럼 가해자의 절반 이상이 주변에 알고 있는 사람, 친족, 친지라는 것이 더욱 우리를 슬프게 합니다. 더 안타까운 것은 아동 성범죄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미 우리 ..

2012. 7. 25. 12:30
미국 사는 우리 아이가 한국을 배우는 방법

2010년부터 미국에서 살게 되었다. 아이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영어를 배울 수 있지만, 부모 입장에서 이국땅에 살면서 가장 걱정되는 것은 아무래도 한국어 교육이었다. 한국에서 초등학교 4학년을 마쳤으니 한국말을 잊을 리는 없겠지만, 부모와 대화가 가능하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미국에 사는 교민 아이들 중 생활 한국어는 곧잘 하지만 짧은 편지를 쓸 때조차 받침이나 띄어쓰기가 엉망인 것은 물론 유치원생 수준의 어휘를 쓰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미국에 정착하면서부터 ‘미국에서 사는 한국인’임을 강조하였고 그 실천 사항으로 한국어를 꾸준히 공부하기로 하였다. 한국말에서 좀 더 나아가 한국어로 쓰인 글을 통해 우리 문화와 역사를 알아야만 문화의 용광로라는 미국 사회에서 흔들리지 않고 살아갈 수 있기..

2012. 7. 25. 09:55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이 공중전화박스?

얼마 전 서울 성동구청을 지나다가 특이한 것을 보았습니다. 분명 공중전화박스인데 외관에는 알록달록 그림이 그려져 있고 부스 안에는 무언가가 빼곡히 차 있었습니다. 가까이에서 보니 겉은 공중전화박스지만 속은 도서관이더라고요. 세상에서 제일 작은 도서관으로 태어난 공중전화박스, 함께 살펴볼까요? ▲성동구청 내부 공중전화박스 도서관 ‘책뜨락’ 공중전화박스 도서관 외부에는 두 가지 안내가 있었는데요. 책 대여에 관한 이용 규칙과 이용자 준수사항이 그것이죠. 책을 빌리려면 내부에 비치된 신청함에 대출증을 작성해 내야 해요. 부스의 책은 “시민들이 직접 채우는 것” 문구도 있어요. 즉, 공중전화박스 도서관은 각자 다 읽은 책, 혹은 읽지 않는 책 등을 가져와 꽂아 두고 다른 책을 빌려 읽는 등 책을 품앗이 하는 형..

2012. 7. 24. 13:19
1 ··· 84 85 86 87 88 89 90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