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공모전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NIE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뉴스 다독다독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저널리즘(46)

  • 기획취재 아카이브 – <혐오발전소, 댓글창>

    2023.10.19
  •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2023.06.22
  • 지금 한국 미디어는 ‘젠더 갈등 증폭기’

    2021.10.29
  •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2020.11.18
  •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2020.06.12
  • 대학언론 신뢰 하락, ‘팩트체크’가 필요해

    2019.12.20
기획취재 아카이브 – <혐오발전소, 댓글창>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 되어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2월에 공개되었던, 국민일보의 을 소개합니다. 얼마 전 네이버는 신고 횟수가 일정 수를 넘은 이용자, 이른바 '악플러'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등을 공개하고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가 지금까지 작성한 댓글까지 공개했..

2023. 10. 19. 09:30
기획취재 아카이브 – 씨네21 <어느 신인 작가의 고백>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 지원사업’은 심층 뉴스콘텐츠의 취재·보도·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저널리즘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뉴스콘텐츠 발굴 및 언론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인데요. 지원 규모는 일반 연재보도 지원 건당 20,000천원 이내, 디지털 스토리텔링 뉴스 제작 건당 40,000천원 이내, 실감형 뉴스 제작 건당 50,000원 이내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엔 역대보도물이 아카이빙되어 있기도 한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 그중 지난해 10월에 공개되었던, 씨네21의 을 소..

2023. 6. 22. 10:50
지금 한국 미디어는 ‘젠더 갈등 증폭기’

6. 갈등을 풀고 신뢰를 북돋우는 토론장을 제공한다 윤리적 언론은 다양한 사회 집단과 세력이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고 소통함으로써 합의를 모색하는 공론의 장을 제공한다. 다양한 사람의 참여를 보장하고, 이들의 의견이 공정하게 전달되고 교류되도록 한다. 대립하는 관점과 주장이 표출되고 조정될 수 있는 토론장을 제공함으로써 사회가 갈등과 이질성을 조화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윤리적 언론은 사회적 신뢰를 창출하고, 공동체가 믿음에 기초해 운영되도록 제 역할을 다한다. 진영 논리에 빠져 특정 세력을 편들거나 반대 세력을 과도하게 공격하지 않으며, 차이와 불화를 침소봉대해 갈등을 극대화하는 보도 태도를 지양한다.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는 시도에 대해서는 그 배경과 맥락을 파악해 비판적으로 전달한다. -한국기..

2021. 10. 29. 16:59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 나온 책-‘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최근 많이 회자되는 ‘가짜뉴스’라는 용어는 흔히 사용되지만 동시에 매우 부정확한 표현이다. “뉴스란 공중이 관심을 갖는 것 중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런 기준에 맞지 않는 거짓 정보를 ‘뉴스’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 문제로 떠오른 허위정보 문제와 구별법 등을 깊이 있게 다룬 신간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를 소개한다. 글 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이론과 실습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각 모듈별로 명확한 학습 목표와 학습 결과, 그리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널리즘 교재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도 눈에 띈다. ‘가짜뉴스’란 말..

2020. 11. 18. 15:01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개관 미디어교육의 허브, 언론-시민의 배움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서울시 중구 정동빌딩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을 개관했다. 미디어교육원은 언론인 교육과 미디어교육 사업을 통합 수행하는 기관으로 뉴스‧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뒤섞이고, 사회적 소통 양상이 급변하는 상황에 대응코자 설립됐다. 글 박수종·신나라·안유미·원태경(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미디어교육원은 언론과 시민의 접점이 되어, 언론은 뉴스 생산자로서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소비 행태를 이해하고, 시민은 언론인과 함께 저널리즘을 복원하고 언론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이 개관했다. 지난 5월 12일 서울 중구 정동빌딩 2층에서 열린 개관식 행사에..

2020. 6. 12. 13:28
대학언론 신뢰 하락, ‘팩트체크’가 필요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 참가기 대학언론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가 들린다. 과거에는 학내 소식에 관한 가장 빠르고 믿을 만한 매체가 대학방송, 대학신문(학보)이었지만 최근에는 학생 수용자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더 좋은 뉴스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는 ‘대학생 언론인’들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을 개최했다. 글 박은지 (연세대 교육방송국YBS 보도부장) 이번 ‘미디어 리터러시 워크숍’은 사실과 거짓 정보를 구별하는 것에 관한 청사진을 알려줬다. 더 나아가 리터러시 개념과 이론에만 국한하지 않고 실습과 체험 등으로 채워진 실무 경험은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끔 해줬다. 학내 언론이 위기란 말은 예전부터 들어왔지만, 필자가 ..

2019. 12. 20. 17:06
1 2 3 4 ··· 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