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732) N
    • 웹진<미디어.. (9)
    • 특집 (55)
    • 수업 현장 (81)
    • 포럼 (73)
    • 해외 미디어.. (57)
    • 언론진흥재단.. (39)
    • 공지사항 (94)
    • 다독다독, 다.. (2286) N
      • 현장소식 (174)
      • 이슈연재 (1044)
      • 미디어 리터.. (152) N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종이신문 미디어 영자신문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서포터즈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기자 책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신문읽기 독서 NIE

최근글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 체계적 미디어교육 교수법 기⋯
  • 인포데믹 주의하세요! 거짓⋯
  • 미디어 리터러시 SNS 만족도⋯

댓글

  • 안녕하세요 티참작가 입니다. 이제막 시⋯
  • 그건 좀 말이 심한것 같은데요, 님의 생⋯
  • 안녕하세요! 영어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 안녕하세요 클릭몬 김연주입니다. 배너⋯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1/02
  • 2021/01
  • 2020/12
  • 2020/11
  • 2020/10

저널리즘(43)

  •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2020.11.18
  •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2020.06.12
  • 대학언론 신뢰 하락, ‘팩트체크’가 필요해

    2019.12.20
  • 인류의 새로운 질병 ‘디지털 미디어 중독’

    2019.12.04
  • 저널리즘의 길, 팩트체크 원칙의 ‘일상화’

    2019.11.13
  • 미디어오늘 '유튜브 저널리즘'

    2019.08.09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 나온 책-‘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최근 많이 회자되는 ‘가짜뉴스’라는 용어는 흔히 사용되지만 동시에 매우 부정확한 표현이다. “뉴스란 공중이 관심을 갖는 것 중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런 기준에 맞지 않는 거짓 정보를 ‘뉴스’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 문제로 떠오른 허위정보 문제와 구별법 등을 깊이 있게 다룬 신간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를 소개한다. 글 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이론과 실습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각 모듈별로 명확한 학습 목표와 학습 결과, 그리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널리즘 교재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도 눈에 띈다. ‘가짜뉴스’란 말..

2020. 11. 18. 15:01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개관 미디어교육의 허브, 언론-시민의 배움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서울시 중구 정동빌딩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을 개관했다. 미디어교육원은 언론인 교육과 미디어교육 사업을 통합 수행하는 기관으로 뉴스‧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뒤섞이고, 사회적 소통 양상이 급변하는 상황에 대응코자 설립됐다. 글 박수종·신나라·안유미·원태경(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미디어교육원은 언론과 시민의 접점이 되어, 언론은 뉴스 생산자로서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소비 행태를 이해하고, 시민은 언론인과 함께 저널리즘을 복원하고 언론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이 개관했다. 지난 5월 12일 서울 중구 정동빌딩 2층에서 열린 개관식 행사에..

2020. 6. 12. 13:28
대학언론 신뢰 하락, ‘팩트체크’가 필요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 참가기 대학언론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가 들린다. 과거에는 학내 소식에 관한 가장 빠르고 믿을 만한 매체가 대학방송, 대학신문(학보)이었지만 최근에는 학생 수용자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더 좋은 뉴스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는 ‘대학생 언론인’들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을 개최했다. 글 박은지 (연세대 교육방송국YBS 보도부장) 이번 ‘미디어 리터러시 워크숍’은 사실과 거짓 정보를 구별하는 것에 관한 청사진을 알려줬다. 더 나아가 리터러시 개념과 이론에만 국한하지 않고 실습과 체험 등으로 채워진 실무 경험은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끔 해줬다. 학내 언론이 위기란 말은 예전부터 들어왔지만, 필자가 ..

2019. 12. 20. 17:06
인류의 새로운 질병 ‘디지털 미디어 중독’

미디어 과몰입, 과의존 현상이란?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게임에 깊이 빠져드는 청소년들을 향한 우려와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게임과 스마트폰에 몰두하는 원인이 아이들의 ‘의지 부족’ 때문만은 아닐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에 지나치게 몰입하고 의존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적이고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소개한다. 글 구본권 (한겨레 미래팀 선임기자 / 《뉴스, 믿어도 될까?》 저자) 2019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ICD)을 개정해 2022년부터 게임 중독(게임이용장애 Gaming Disorder)을 공식질병으로 분류하기로 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전문가들의 오랜 논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통과됐지만, 국내에서는 논란과 반대가 치열한 사안..

2019. 12. 4. 17:27
저널리즘의 길, 팩트체크 원칙의 ‘일상화’

방송기자연합회 전문 팩트체커 양성 과정 연수 후기 허위정보는 우리나라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이다. 그만큼 허위정보를 가려내기 위한 언론과 시민의 노력도 상당하다. 방송기자연합회에서는 “팩트체크를 할 수 있는 시민이 많아져야 허위조작정보의 확산을 막고, 기존 언론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전문 팩트체커 양성 과정을 신설 운영했다. 제1기 양성 과정에 참여한 한 언론인의 연수 후기를 소개한다. 글 조을선 (SBS 보도본부 기자) "언론의 자유가 언론인 스스로의 무능과 무기력으로 인해 수호되지 못한 것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중요한 사실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음으로써 국민의 참다운 여론은 방향을 잃고 있으며 국민들 사이엔 근거 없는 소문이 나돌아 국민의 결속을..

2019. 11. 13. 17:21
미디어오늘 '유튜브 저널리즘'

미디어오늘은 지난 5월부터 한 달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자유언론실천재단과 함께 ‘유튜브 저널리즘’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 여러 현장 기자들의 경험과 전망이 담긴 세미나의 내용이 e-book으로 발간됐습니다. 유튜브가 저널리즘의 도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 드립니다. .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 http://bit.ly/youtubejournalism . #미디어오늘 #유튜브 #저널리즘 #유튜브저널리즘 #동영상 #시청자 #콘텐츠 #플랫폼 #미디어먼데이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8. 9. 17:47
1 2 3 4 ··· 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