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NIE 스마트폰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1)

  • 베스트셀러도 꼼꼼히 따져가며 읽어요

    2014.08.18
  • 한류를 이끌었던 TV 드라마의 지금

    2014.08.18
  • 화룡점정, 저널리스트라면 데이터 그래픽으로

    2014.08.14
  • 대림동 문화복합공간 ‘언니네 작은도서관’ 탐방

    2014.08.14
  • 도서관에서 만난 나를 바꾸는 기적

    2014.08.13
  • 페이스북, 네이버, 다음도 적용한 '딥러닝'이란?

    2014.08.13
베스트셀러도 꼼꼼히 따져가며 읽어요

출처_ 교보문고 북뉴스 한 해에 출간되는 책이 수 만권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는 책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베스트셀러라는 것은 다수의 사람이 선택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베스트셀러로 좀 더 세분화하면 분야에 따라 베스트셀러가 달라지지만 대체로 분야를 막론하고 이 주의 베스트 내지 이달의 베스트 50위 안에 들었다고 하면 상당히 많은 사람에게 선택을 받은 책입니다. 많은 사람에게 선택을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그 책에서 많은 사람이 얻을 것이 있고 깨달을 것이 많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특히, 출시된 지 보름도 되지 않은 작품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경우에는 약간 뒤집어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짧은 시간에 베스트셀러가 되는 책은 먼저 책의 ..

2014. 8. 18. 11:16
한류를 이끌었던 TV 드라마의 지금

출처_ SBS 별에서 온 그대 최근 한류의 바람이 분지 20년 가까이, 그 중심에는 TV 드라마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계속해서 그 바람은 계속 불고 있죠. 하지만 어느 분야 어떤 시기라도 ‘지금이 위기’라는 얘기가 늘 있기 마련입니다. 요즘 같이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대중 예술계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처음 대중 예술이 발달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경제 발전으로 중산층이 급증하고 노동자에게 휴일을 주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영상 예술은 대중문화가 발달하면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죠. 하지만 받아드리는 대중도 함께 성장하면서 ‘반응-리액션’을 통해서 공급자의 질과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지금의 여론이죠. 폭발적인 인기로 한류를 이끌었던 TV 드라마도 이젠 점점 시들해지고 있습니다...

2014. 8. 18. 11:06
화룡점정, 저널리스트라면 데이터 그래픽으로

출처_ flickr by david 중요한 일의 마지막 마무리를 해 넣는 것을 화룡점정(畵龍點睛)이라 부릅니다.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마무리함으로써 일을 완벽하게 마친다는 뜻이죠. 그런데 와튼 비즈니스 스쿨에서 조사한 결과 1986년보다 현재의 인간은 5배 이상의 정보를 접촉한다고 합니다. 이것을 숫자로 표현하면, 하루에 사람들은 일과 놀이를 통해 뇌에서 34GB의 정보를 소비하는 것이죠. 한 편의 영화가 거의 2GB이니 하루 동안 영화 17편에 해당하는 정보를 받아드리고 있는 셈입니다. 거의 쉴 틈을 주지 않고 정보가 빼곡하게 들어오고 있는 것이죠. 그만큼 우리 감각기관이 역할을 마무리하고 쉴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합니다. 이젠 감각기관에도 쉴 수 있는 여유를 주어야겠죠?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

2014. 8. 14. 16:47
대림동 문화복합공간 ‘언니네 작은도서관’ 탐방

사실 도서관은 우리 삶에서 가깝고도 먼 곳이었습니다. 학교를 다닐 때에도, 졸업을 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도서관은 늘 우리 곁에 있었지만 왠지 큰맘을 먹고 가야 하는 곳이었지요. 요즘엔 카페가 그 역할을 대신 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가볍게 책을 보거나, 공부에 열중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마 도서관보다는 조금 더 편하고, 집보다는 집중이 잘 되는 곳이라 그렇겠지요. 요즘 전국 곳곳에 ‘작은도서관’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공공도서관보다 작은 규모로 지역사회에서 직접 운영을 하는 도서관을 말하지요. 2012년 ‘작은도서관 진흥법’이 만들어진 이후 더욱 탄력을 받아 많은 작은도서관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가깝고도 멀었던 도서관과 좀 더 우리 곁..

2014. 8. 14. 08:54
도서관에서 만난 나를 바꾸는 기적

출처_ flickr by Lotus Carroll 저는 어릴 때부터 혼자 보내는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많았습니다. 갑작스러운 전학과 함께 벌어진 불의의 사고로 친구가 적기도 했지만, 가정환경이 그리 좋지 않은 탓에 다른 사람과 쉽게 친해지기보다 늘 혼자 방에 틀어박혀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자연스럽게 혼자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게 게임이었는데요. 정말 어릴 때에는 내일 당장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게임을 하고 있을 정도로 열심히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이런 게임보다 더 집중했던 것이 있었으니 바로 '독서'입니다. 제가 책 읽기를 시작했던 건 누가 시켜서가 아니었습니다. 책을 읽는 데에는 꽤 많은 시간을 사용했기에 혼자 시간을 보내는 데에는 책만큼 좋은 것..

2014. 8. 13. 13:03
페이스북, 네이버, 다음도 적용한 '딥러닝'이란?

출처_ pixabay by geralt ‘딥러닝’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가트너에서 2014년 주목해야 할 기술로 꼽기도 한 ‘딥러닝’은 컴퓨터 인공지능 학습법 중에 하나입니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 등과 같은 곳에서도 굉장히 핫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지요. 컴퓨터의 인공지능 기술 하나로 전 세계가 들썩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딥러닝’이 세상에 가져올 변화 때문입니다. 컴퓨터를 아주 단순하게 표현하면 ‘계산기’와 같습니다. 우리가 계산기에 숫자와 연산기호를 입력하고 ‘=’ 버튼을 누르면 계산된 값을 보여주지요.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도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그와 똑같습니다.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하면 그것은 연산처리하여 그 결과값을 보여줍니다. 입력은 키보드와 마우스, 혹은 터치로 ..

2014. 8. 13. 09:08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