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4. 14. 17:00ㆍ다독다독, 다시보기/미디어 리터러시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이화여대 국어교육과 겸임교수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신문활용교육이든 뉴스 또는 미디어활용교육이든 그것들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교육의 중심이 신문에서 미디어로의 이동은 어찌 보면 시대 상황을 고려한다면 당연한 선택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미디어교육을 통해 길러주고자 하는 비판적 사고력은 신문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길러줄 수 있다. 그럼에도 교육의 초점을 신문에서 뉴스 또는 미디어로 교육의 범위를 확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신문의 경우 기사를 읽고, 기사의 주장과 근거 또는 기사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파악하고, 그 정보나 근거가 합리성이나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식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게 된다. 물론 미디어 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방금 언급한 절차나 방법에 따라 비판적으로 읽으며 사고력을 키울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이는 기사의 내용에 대한 비판적 접근에 가깝다.
#뉴스를 둘러싼 맥락을 파악할 수 있어야
<!--[if !supportEmptyParas]--> <!--[endif]-->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에 접근하여 메시지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있는 사람은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해석하고, 평가하고 분석하고 생산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순히 어떠한 기술의 습득이 아니며, 미디어 산업이나 일반적인 미디어 내용의 패턴, 그리고 매체 효과와 관련된 지식구조를 습득하는 능력이다. 이는 뉴스의 내용뿐 아니라 뉴스를 둘러싼 맥락까지 살피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읽기, 쓰기, 말하기, 컴퓨터 사용, 정보의 시각적 제시의 해독, 심지어는 음악적 제시의 해독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미디어 리터러시가 있는 의사 소통자는 개인적으로 또는 공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미디어 또는 매체의 특성에 대해 이해가 높아야 한다. 또한 청중이 미디어나 미디어의 내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도 살필 줄 알아야 한다. 또한 미디어의 내용이 어떤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산출되는지에 대해 성찰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상업적 성격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미디어 교육연합(AMLA : Allinance for a Media Literate America)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메시지에 대한 접근(access), 분석(analyze), 평가(evaluate), 소통(communicate)로 정의한 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추구하는 비판적 사고력은 뉴스의 내용뿐 아니라 뉴스가 생산되고, 유통되며, 소비되는 전 과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글쓴이는 어떤 의도로 이런 기사를 쓰게 되었는가’, ‘생산된 뉴스가 어떤 맥락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가’, ‘정보가 어떤 목적으로 제시되고 유통되는가’ 등을 분석하고 비판적 입장에서 살피는 것이다. 결국 미디어 리터러시는 뉴스에 대한 비평, 즉 일종의 미디어 비평이 된다.
'다독다독, 다시보기 > 미디어 리터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에 관련된 기사, 어떻게 읽어야 할까 (0) | 2016.04.27 |
---|---|
뉴스 리터러시, 결국은 교육의 문제이다 (0) | 2016.04.21 |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0) | 2016.04.14 |
본격! 총선 읽기 (0) | 2016.04.05 |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0) | 2016.04.04 |